목차
[방통대 유아교육과 3학년 교육사회학 공통]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장의 강약점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사회학의 개념
1) 교육사회학의 정의
2) 교육사회학의 역할
3)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2. 교육사회학의 이론
1) 거시적 접근이론
(1) 기능이론
(2) 갈등이론
2) 미시적 접근이론
(1) 해석학적 이론
(2) 신교육 사회학
3.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의 비교
1) 기능이론
(1) 기능이론의 개념
(2) 기능이론의 교육관
(3) 기능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
(4) 주요 이론가
(5) 기능이론의 강약점
2) 갈등이론
(1) 갈등이론의 개념
(2) 갈등이론의 교육관
(3) 갈등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
(4) 주요 이론가
(5) 갈등이론의 강약점
3)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4. 해석학적 이론과 신교육 사회학
1) 해석학적 이론
2) 신교육 사회학
Ⅲ. 결론
<참고문헌>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사회학의 개념
1) 교육사회학의 정의
2) 교육사회학의 역할
3)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2. 교육사회학의 이론
1) 거시적 접근이론
(1) 기능이론
(2) 갈등이론
2) 미시적 접근이론
(1) 해석학적 이론
(2) 신교육 사회학
3.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의 비교
1) 기능이론
(1) 기능이론의 개념
(2) 기능이론의 교육관
(3) 기능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
(4) 주요 이론가
(5) 기능이론의 강약점
2) 갈등이론
(1) 갈등이론의 개념
(2) 갈등이론의 교육관
(3) 갈등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
(4) 주요 이론가
(5) 갈등이론의 강약점
3)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4. 해석학적 이론과 신교육 사회학
1) 해석학적 이론
2) 신교육 사회학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의 독자성보다는 사회 혹은 경제구조로 일컬어지는 거대한 실체의 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인간 개개인의 독자적 사고나 행동은 한낱 부속품 혹은 반영물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상정되었다. 인간은 궁극적으로 자신의 의지도 자유도 없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존재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조적으로 미시적 이론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사회적인 삶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이고 복잡한 현상의 서술을 중요시했다. 또, 이론의 내적 일관성을 중시하고, 객관적 자료보다는 참여자의 해석이나 ‘주관적 의미’에 중점을 두고,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작은 규모의 집단이나 개별적 인간의 특성을 택한다.
(2) 평가
해석학적 이론은 기능주의 이론과 마르크스주의 이론과는 달리 교육의 능동적인 역할을 인정하고, 정치나 경제와 같은 객관적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관심보다도 교사와 학생들의 행동에서 주관적인 의미를 찾으려 하는데 관심을 집중했다. 이들은 교육의 주체성을 인정하고,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여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교사와 학생들의 유형이 어떻게 해서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설명이 없고, 또 학생들의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육의 제도적인 측면을 소홀히 여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비판은 교육의 능동성을 강조한 나머지 교육에 제약을 주는 정치, 경제 등 외부적인 요인을 너무 무시했기 때문에 이상에 치우친 나머지 교육을 현실적으로 이해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는 점이다. 즉, 교육의 주체적인 성격을 너무 강조하다 보니까 교육을 비현실적으로 보게 되었다는 것인데 이것은 교육은 주체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지만 또한 외부적인 요인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인 것 같다.
2) 신교육 사회학
(1) 개념
종래의 사회학이 이룬 성과를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소급하여 반성하고 만든 것이다. 신교육학자들의 기본적 입장들은 지금까지 교육자들에게 자명한 것으로 인식되던 여러 전제들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새로이 문제시하는 태도라고 말할 수 있다. 교육의 기능면에서 블랙박스로 취급되어온 학교 교육의 내적과정을 문화의 전달과 통제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정의하게 되었고 학교 내부에서 발견되는 교육지식의 구성과 전달, 교수법과 평가의 범주 및 학급에서의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적 과정의 관찰과 설명이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신교육사회학의 대두에 의하여 영국 교육 사회학회는 이제 교육기능의 사회학에서 교육과정의 사회학으로 그 초점을 크게 바꾸었다.
(2) 평가
① 교육의 주체성과 적합성 강조
㉠ 교육의 사회성을 인정하고 교육이념과 가치 등을 강조하면서 교육에서의 학습자의 주체적인 참여를 중요시한 것은 교육의 본질적인 기능을 우리에게 일깨워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어진 틀에 인간을 맞추려고 하는 것보다 ‘스스로 인간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② 역사적 문화유산 무시
㉠ 큰소리만 했을 뿐 구체적인 연구결과나 실적이 얼마 없고 실천 모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 지식의 보편성을 부인하고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전통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지식과 진리에 대한 상대주의의 난점
낙인이론과 자기 충족적인 이론은 낙인과 사실의 서술을 혼동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진리와 진리의 타당성이 상대적이라고 하는 주장은 그들 자신의 이론도 마찬가지 운명에 빠지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그들의 주장을 그들 자신에게는 결코 적용하지 않는 편협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들의 주장은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진리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것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기에 자가당착에 빠져있다.
Ⅲ. 결론
교육사회학의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은 상대적 비교의 의미만 가질 뿐이다. 어떤 교육사회학 연구가 사회과학 일반에서 엄격하게 분류되는 수준으로 거시적이라면 그 연구는 개별인간에 대한 관심을 철회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교육학의 영역을 벗어나 있고 당연히 교육사회학 영역에서도 벗어나 있다. 반대의 경우로 앞의 기준이 미시적이라면 사회구조의 영향을 무시하기 때문에 사회학적 속성을 벗어나있고 당연히 교육사회학 영역에서도 벗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사회학자가 자신의 학문적 성향을 거시적이어서 거대하다던가 미시적이어서 치밀하다는 주장은 공감을 얻을 수 없다. 교육사회학은 사회변화에 관심을 가져야하며 변화의 주체로서 인간을 어떻게 교육하느냐 하는 질문 역시 중심 주제로 삼아야 한다. 따라서 어떤 사회를 목표로 하느냐 하는 질문과 그러한 사회를 위해서 어떠한 교육이 실현되어야 하느냐 하는 질문은 교육사회학에서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이며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구분은 무의미하며 가능하지도 않다. 교육사회학에서 상반된 접근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은 서로 보완관계에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병환(2014) 새로운 교육사회학, 태영출판사
김병욱(2013) 교육사회학, 학지사
차경수 외(2012)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신재흡(2011) 교육사회학, 동문사
강재태 외(2007)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안병환(2010) 교육사회학의 이해, 공동체
허은주 외(2011)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고벽진 외(2006) 신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강창동(2014) 교육사회학의 이해, 학지사
허은주 외(2010)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D.F.Walker and Jonas.F.Soltis(2004) 교육과정과 목적, 교육과학사
이홍우(2000)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이혁규(2008)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신진욱(2008) 시민, 책세상
로크리지연구소, 조지 레이코프(2007) 프레임 전쟁, 창작과비평사
김신일(2005)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김정호(2006) 신교육사회학, MJ미디어
전인철,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재고, 용인대학교 눈문집, 1995
오욱환,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교육사회학연구, 2006
(2) 평가
해석학적 이론은 기능주의 이론과 마르크스주의 이론과는 달리 교육의 능동적인 역할을 인정하고, 정치나 경제와 같은 객관적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관심보다도 교사와 학생들의 행동에서 주관적인 의미를 찾으려 하는데 관심을 집중했다. 이들은 교육의 주체성을 인정하고,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여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교사와 학생들의 유형이 어떻게 해서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설명이 없고, 또 학생들의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육의 제도적인 측면을 소홀히 여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비판은 교육의 능동성을 강조한 나머지 교육에 제약을 주는 정치, 경제 등 외부적인 요인을 너무 무시했기 때문에 이상에 치우친 나머지 교육을 현실적으로 이해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는 점이다. 즉, 교육의 주체적인 성격을 너무 강조하다 보니까 교육을 비현실적으로 보게 되었다는 것인데 이것은 교육은 주체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지만 또한 외부적인 요인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인 것 같다.
2) 신교육 사회학
(1) 개념
종래의 사회학이 이룬 성과를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소급하여 반성하고 만든 것이다. 신교육학자들의 기본적 입장들은 지금까지 교육자들에게 자명한 것으로 인식되던 여러 전제들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새로이 문제시하는 태도라고 말할 수 있다. 교육의 기능면에서 블랙박스로 취급되어온 학교 교육의 내적과정을 문화의 전달과 통제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정의하게 되었고 학교 내부에서 발견되는 교육지식의 구성과 전달, 교수법과 평가의 범주 및 학급에서의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적 과정의 관찰과 설명이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신교육사회학의 대두에 의하여 영국 교육 사회학회는 이제 교육기능의 사회학에서 교육과정의 사회학으로 그 초점을 크게 바꾸었다.
(2) 평가
① 교육의 주체성과 적합성 강조
㉠ 교육의 사회성을 인정하고 교육이념과 가치 등을 강조하면서 교육에서의 학습자의 주체적인 참여를 중요시한 것은 교육의 본질적인 기능을 우리에게 일깨워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어진 틀에 인간을 맞추려고 하는 것보다 ‘스스로 인간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② 역사적 문화유산 무시
㉠ 큰소리만 했을 뿐 구체적인 연구결과나 실적이 얼마 없고 실천 모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 지식의 보편성을 부인하고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전통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지식과 진리에 대한 상대주의의 난점
낙인이론과 자기 충족적인 이론은 낙인과 사실의 서술을 혼동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진리와 진리의 타당성이 상대적이라고 하는 주장은 그들 자신의 이론도 마찬가지 운명에 빠지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그들의 주장을 그들 자신에게는 결코 적용하지 않는 편협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들의 주장은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진리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것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기에 자가당착에 빠져있다.
Ⅲ. 결론
교육사회학의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은 상대적 비교의 의미만 가질 뿐이다. 어떤 교육사회학 연구가 사회과학 일반에서 엄격하게 분류되는 수준으로 거시적이라면 그 연구는 개별인간에 대한 관심을 철회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교육학의 영역을 벗어나 있고 당연히 교육사회학 영역에서도 벗어나 있다. 반대의 경우로 앞의 기준이 미시적이라면 사회구조의 영향을 무시하기 때문에 사회학적 속성을 벗어나있고 당연히 교육사회학 영역에서도 벗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사회학자가 자신의 학문적 성향을 거시적이어서 거대하다던가 미시적이어서 치밀하다는 주장은 공감을 얻을 수 없다. 교육사회학은 사회변화에 관심을 가져야하며 변화의 주체로서 인간을 어떻게 교육하느냐 하는 질문 역시 중심 주제로 삼아야 한다. 따라서 어떤 사회를 목표로 하느냐 하는 질문과 그러한 사회를 위해서 어떠한 교육이 실현되어야 하느냐 하는 질문은 교육사회학에서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이며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구분은 무의미하며 가능하지도 않다. 교육사회학에서 상반된 접근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은 서로 보완관계에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병환(2014) 새로운 교육사회학, 태영출판사
김병욱(2013) 교육사회학, 학지사
차경수 외(2012)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신재흡(2011) 교육사회학, 동문사
강재태 외(2007)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안병환(2010) 교육사회학의 이해, 공동체
허은주 외(2011)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고벽진 외(2006) 신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강창동(2014) 교육사회학의 이해, 학지사
허은주 외(2010) 현대 교육사회학, 양서원
D.F.Walker and Jonas.F.Soltis(2004) 교육과정과 목적, 교육과학사
이홍우(2000)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이혁규(2008)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신진욱(2008) 시민, 책세상
로크리지연구소, 조지 레이코프(2007) 프레임 전쟁, 창작과비평사
김신일(2005)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김정호(2006) 신교육사회학, MJ미디어
전인철,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재고, 용인대학교 눈문집, 1995
오욱환,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 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 교육사회학 이론의 반성적 검토, 교육사회학연구,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