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혈압
1) 정의
2) 발생기전
3) 원인
4) 치료방법
2. 고혈압의 치료약
1) 약물선택의 원칙
2) 혈압강하제의 원리
3) 고혈압 치료약의 분류
4) 주요 고혈압 치료약
1) 정의
2) 발생기전
3) 원인
4) 치료방법
2. 고혈압의 치료약
1) 약물선택의 원칙
2) 혈압강하제의 원리
3) 고혈압 치료약의 분류
4) 주요 고혈압 치료약
본문내용
l, quinapril, ramipril
Nonpeptide Angiotensin Ⅱ 수용체 봉쇄 약물
Losartan
Serotonin 수용체 봉쇄 약물
Ketanserin
4) 주요 고혈압 치료약
① Hydralazine(Apresoline)
- 작용 : 세동맥 평활근을 직접 확장 이완시켜 혈압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
- 적응증 : 고혈압 치료
- 용법 용량 : oral(25mg/정)
소아- 1일 0.75mg/kg을 분할 투여, 2~3주 동안 1일 7.5mg까지 서서히 증가.
성인- 처음 2~4일은 1일 4회 10mg씩 투여, 그 다음 1주는 1일 4회25mg, 그 다음은 1일 4회50mg씩 투여.
parenteral(IM, IV) - 20mg/amp
소아- 1일 1.7~3.5mg/kg을 4~6회에 분할 투여
성인- 1일 20~40mg 필요하면 반복투여
- 금기 : 관상 동맥 질환과 승모판의 류마티스성 심질환 환자
- 주의 사항
· 전신성 낭창성 홍반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주기적 혈액 거사를 병행.
· MAO 억제약을 복용하는 환자는 주의.
· 임신부에 사용은 치료상 유익성이 위험성을 능가하는 경우에 한정.
· 관상 동맥 질환,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는 주의.
· 체위성 저혈압이 진전.
- 부작용
· 두통, 심계항진,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빈맥증, 협심증이 빈번히 나타난다.
· 유즙 분비, 부종, 말초 신경염, 어지러움, 근육 경축, 관절통
· 우울, 방향 감각 소실, 불안, 백혈병, 무과립 세포증, 자반증
· 호흡곤란, 배뇨곤란, 마비성 장폐색증
- 임상간호
· 환자의 체중과 말초 신경염 증상을 관찰한다.
· 환자의 혈압을 주시해야 하는데 특히 비경구적 투여 후 관찰한다.
· 말초 신경염을 줄이기 위해 종합 비타민 제제를 복용하도록 권장한다.
- 중독 치료
· 증상은 저혈압, 빈박증, 두통, 피부 홍조
· 응급치료는 우선 구토나 위세척으로 약물을 제거하고 적당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수액을 투여하는데 혈관 수축약은 피한다.
② Diazoxide(Hyperstat)
- 작용 : 말초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 이완시키며 수축기, 확장기 혈압을 모두 하강.
- 적응증 : 입원환자의 악성 고혈압 위기의 응급치료
- 용법 용량 : oral : 75~300mg을 1일 2회 투여
parenteral(IV) : 정맥내로 직접 1~3mg/kg 투여하며 최대 150mg까지 투여. 만족할 만한 혈압 강하를 얻을 때까지 5~15분 간격으로 투여.
- 금기 : Diazoxide나 다른 thiaziderP 약물, sulfonamide에 과민성인 환자, 대상성 저혈압의 치료
- 주의 사항
· 대개의 환자에게 과혈당을 일으키므로 당뇨병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하며 혈당치를 측정해야 한다.
· sodium의 저류를 일으키므로 부종이나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 임신부, 소아에 대한 안전성을 확립되지 않았다.
- 부작용
· sodium과 수분 저류, 과혈당증.
·
Nonpeptide Angiotensin Ⅱ 수용체 봉쇄 약물
Losartan
Serotonin 수용체 봉쇄 약물
Ketanserin
4) 주요 고혈압 치료약
① Hydralazine(Apresoline)
- 작용 : 세동맥 평활근을 직접 확장 이완시켜 혈압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
- 적응증 : 고혈압 치료
- 용법 용량 : oral(25mg/정)
소아- 1일 0.75mg/kg을 분할 투여, 2~3주 동안 1일 7.5mg까지 서서히 증가.
성인- 처음 2~4일은 1일 4회 10mg씩 투여, 그 다음 1주는 1일 4회25mg, 그 다음은 1일 4회50mg씩 투여.
parenteral(IM, IV) - 20mg/amp
소아- 1일 1.7~3.5mg/kg을 4~6회에 분할 투여
성인- 1일 20~40mg 필요하면 반복투여
- 금기 : 관상 동맥 질환과 승모판의 류마티스성 심질환 환자
- 주의 사항
· 전신성 낭창성 홍반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주기적 혈액 거사를 병행.
· MAO 억제약을 복용하는 환자는 주의.
· 임신부에 사용은 치료상 유익성이 위험성을 능가하는 경우에 한정.
· 관상 동맥 질환,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는 주의.
· 체위성 저혈압이 진전.
- 부작용
· 두통, 심계항진,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빈맥증, 협심증이 빈번히 나타난다.
· 유즙 분비, 부종, 말초 신경염, 어지러움, 근육 경축, 관절통
· 우울, 방향 감각 소실, 불안, 백혈병, 무과립 세포증, 자반증
· 호흡곤란, 배뇨곤란, 마비성 장폐색증
- 임상간호
· 환자의 체중과 말초 신경염 증상을 관찰한다.
· 환자의 혈압을 주시해야 하는데 특히 비경구적 투여 후 관찰한다.
· 말초 신경염을 줄이기 위해 종합 비타민 제제를 복용하도록 권장한다.
- 중독 치료
· 증상은 저혈압, 빈박증, 두통, 피부 홍조
· 응급치료는 우선 구토나 위세척으로 약물을 제거하고 적당한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수액을 투여하는데 혈관 수축약은 피한다.
② Diazoxide(Hyperstat)
- 작용 : 말초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 이완시키며 수축기, 확장기 혈압을 모두 하강.
- 적응증 : 입원환자의 악성 고혈압 위기의 응급치료
- 용법 용량 : oral : 75~300mg을 1일 2회 투여
parenteral(IV) : 정맥내로 직접 1~3mg/kg 투여하며 최대 150mg까지 투여. 만족할 만한 혈압 강하를 얻을 때까지 5~15분 간격으로 투여.
- 금기 : Diazoxide나 다른 thiaziderP 약물, sulfonamide에 과민성인 환자, 대상성 저혈압의 치료
- 주의 사항
· 대개의 환자에게 과혈당을 일으키므로 당뇨병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하며 혈당치를 측정해야 한다.
· sodium의 저류를 일으키므로 부종이나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 임신부, 소아에 대한 안전성을 확립되지 않았다.
- 부작용
· sodium과 수분 저류, 과혈당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