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고혈압의 정의
2.고혈압의 분류
(1)본태성고혈압 (1차성 고혈압)
(2)이차성 고혈압
3.고혈압의 증상 및 원인
(1)고혈압의 증상 및 원인
(2)고혈압의 주요 원인 및 기전
4.고혈압의 합병증
(1)눈
(2)심장
(3)신장
(4)뇌
(5)대동맥
5.고혈압의 치료 방법
(1)약물요법
ⓛ이뇨제
②교감신경차단제
③혈관이완제
④안지오텐신 전환요소 억제제
⑤칼슘길항제
(2)생활요법
ⓛ체중조절
②식이요법
③금연
④운동
6.일상생활에서 고혈압 예방방법
2.고혈압의 분류
(1)본태성고혈압 (1차성 고혈압)
(2)이차성 고혈압
3.고혈압의 증상 및 원인
(1)고혈압의 증상 및 원인
(2)고혈압의 주요 원인 및 기전
4.고혈압의 합병증
(1)눈
(2)심장
(3)신장
(4)뇌
(5)대동맥
5.고혈압의 치료 방법
(1)약물요법
ⓛ이뇨제
②교감신경차단제
③혈관이완제
④안지오텐신 전환요소 억제제
⑤칼슘길항제
(2)생활요법
ⓛ체중조절
②식이요법
③금연
④운동
6.일상생활에서 고혈압 예방방법
본문내용
골고루 쎌마된 것을 선택한다.
천천히 여유를 갖고 식사한다.
②식이요법
일반적인 식이요법
-먹을 음식의 종류와 가지고 있는 과자와 고기의 숫자를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식단을 짠다.
-전체적으로 식품의 다섯 영양소 군을 빼먹지 않는다.
-같은 군내에서 다른 음식을 섭취함으로서 식이를 변형시킨다.
-소금의 양을 줄이면서 즐겁게 식사한다.
소금 섭취를 제한하는 저염식이
-혈압강화 효과를 증가시키고 좌심실 비대를 줄인다. 고혈압 환자는 1일 소금을 5~10g 정도를 먹는 저염식이를 한다.
1단계
-짠 음식을 적게 섭취한다.
2단계
-염분을 섭취하는 주된 급원을 가급적 적게 사용한다.
3단계
-어느 정도 싱거운 음식에 적응이 되면 허용량 기준으로 매기 1~2g의 소금을 이용하도록 한다.
-염분 섭취를 줄여 나가는 방법
알코올 제한을 위한 금주, 절주
콜레스테롤, 포화 지방산의 제한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 및 야채, 해조류 등을 통한 식이성 섬유의 섭취
③금연
흡연의 영향
-흡연은 혈관확장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고 강한 혈관수축 물질을 분비시켜 혈관경련을 초래하게 되며 협심증을 초래한다. 흡연자에게서 심근 경색증의 빈도가 3배 이상 높으며 담배를 끊고도 1년이 지나야 담배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벗어난다.
-흡연은 폐암, 인후암 등 여러 가지 악성 종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고혈압, 당뇨병 등과 함께 중풍의 중요한 원인이다.
금연시기
-담배를 5개비 줄이면 5배, 10개비 줄이면 10배의 이익이 된다.
-금연을 함으로서 단기간에 급속하게 좋아질 수 있다. 금연한지 2시간이 되면 혈관 속의 니코틴이 없어지고 하루가 지나면 혈액 내 일산화탄소가 완전히 체외로 배출되며, 2개월이 지나면 사지로 전달되는 피의 흐름이 좋아져 피곤함이 사라지며 운동 능력은 눈에 띄게 향상된다.
담배가 일으키는 질환
-후두암의 93.2%, 구강 인후암의 71.8%
-폐암의 96.0%
-식도암의 43.4%
-방광암의 31.3%
-췌장암의 25.8%, 직장암의 13.5%, 대장암의 11.9%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확장증은 금연해 50%정도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고혈압, 당뇨, 중풍의 중요한 위험요인은 금연으로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담배는 위산분비를 촉진시켜 위산과다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위, 십이지장 궤양을 발생 및 악화시킨다.
④운동
운동과 혈압과의 관계
-운동을 하면 혈류량이 증가해 혈관의 이완과 운동 뒤 혈류량이 줄어도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다.
-심장 근육과 혈관에 탄력성이 높아 혈압조절이 쉬워진다.
-혈압을 상승시키는 케테콜라민과 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억제된다.
-땀으로 염분을 배출, 체내 염분농도가 낮아져 혈압상승이 억제된다.
운동 빈도와 운동과정
-주 3~4회 정도 운동 시행
-10~15분간 가벼운 준비운동
-자기 최대 맥박수의 70~80% 되는 강도로 20분 가량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기, 노젓기 같은 유산소운동
-운동을 마친 뒤에는 5분쯤 정리운동
목표 심박수 계산법
최대 심박수=220-자신의 나이
운동시 목표 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 심박수) * 운동강도 + 안정시 심박수
6.일상생활에서 고혈압 예방방법
-모든 대사활동은 낮에 활발하고 밤에 적고, 낮에는 교감신경이 밤에는 부교감신경이 우위이다. 이러한 생리적 리듬을 거스리면 스트레스가 된다. 정상 근무자에 비해 3교대 근무자에게 심근경색 발병률이 높고 생체리듬이 개지면 강한 스트레스가 되어 심장발작의 방아쇠가 된다. 고혈압 및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생리적 리듬에 맞게 일찍 일어나고 일찍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피로가 덜 쌓이도록 하며, 밤샘이나 야근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천천히 여유를 갖고 식사한다.
②식이요법
일반적인 식이요법
-먹을 음식의 종류와 가지고 있는 과자와 고기의 숫자를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식단을 짠다.
-전체적으로 식품의 다섯 영양소 군을 빼먹지 않는다.
-같은 군내에서 다른 음식을 섭취함으로서 식이를 변형시킨다.
-소금의 양을 줄이면서 즐겁게 식사한다.
소금 섭취를 제한하는 저염식이
-혈압강화 효과를 증가시키고 좌심실 비대를 줄인다. 고혈압 환자는 1일 소금을 5~10g 정도를 먹는 저염식이를 한다.
1단계
-짠 음식을 적게 섭취한다.
2단계
-염분을 섭취하는 주된 급원을 가급적 적게 사용한다.
3단계
-어느 정도 싱거운 음식에 적응이 되면 허용량 기준으로 매기 1~2g의 소금을 이용하도록 한다.
-염분 섭취를 줄여 나가는 방법
알코올 제한을 위한 금주, 절주
콜레스테롤, 포화 지방산의 제한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 및 야채, 해조류 등을 통한 식이성 섬유의 섭취
③금연
흡연의 영향
-흡연은 혈관확장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고 강한 혈관수축 물질을 분비시켜 혈관경련을 초래하게 되며 협심증을 초래한다. 흡연자에게서 심근 경색증의 빈도가 3배 이상 높으며 담배를 끊고도 1년이 지나야 담배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벗어난다.
-흡연은 폐암, 인후암 등 여러 가지 악성 종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고혈압, 당뇨병 등과 함께 중풍의 중요한 원인이다.
금연시기
-담배를 5개비 줄이면 5배, 10개비 줄이면 10배의 이익이 된다.
-금연을 함으로서 단기간에 급속하게 좋아질 수 있다. 금연한지 2시간이 되면 혈관 속의 니코틴이 없어지고 하루가 지나면 혈액 내 일산화탄소가 완전히 체외로 배출되며, 2개월이 지나면 사지로 전달되는 피의 흐름이 좋아져 피곤함이 사라지며 운동 능력은 눈에 띄게 향상된다.
담배가 일으키는 질환
-후두암의 93.2%, 구강 인후암의 71.8%
-폐암의 96.0%
-식도암의 43.4%
-방광암의 31.3%
-췌장암의 25.8%, 직장암의 13.5%, 대장암의 11.9%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확장증은 금연해 50%정도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고혈압, 당뇨, 중풍의 중요한 위험요인은 금연으로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담배는 위산분비를 촉진시켜 위산과다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위, 십이지장 궤양을 발생 및 악화시킨다.
④운동
운동과 혈압과의 관계
-운동을 하면 혈류량이 증가해 혈관의 이완과 운동 뒤 혈류량이 줄어도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다.
-심장 근육과 혈관에 탄력성이 높아 혈압조절이 쉬워진다.
-혈압을 상승시키는 케테콜라민과 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억제된다.
-땀으로 염분을 배출, 체내 염분농도가 낮아져 혈압상승이 억제된다.
운동 빈도와 운동과정
-주 3~4회 정도 운동 시행
-10~15분간 가벼운 준비운동
-자기 최대 맥박수의 70~80% 되는 강도로 20분 가량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기, 노젓기 같은 유산소운동
-운동을 마친 뒤에는 5분쯤 정리운동
목표 심박수 계산법
최대 심박수=220-자신의 나이
운동시 목표 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 심박수) * 운동강도 + 안정시 심박수
6.일상생활에서 고혈압 예방방법
-모든 대사활동은 낮에 활발하고 밤에 적고, 낮에는 교감신경이 밤에는 부교감신경이 우위이다. 이러한 생리적 리듬을 거스리면 스트레스가 된다. 정상 근무자에 비해 3교대 근무자에게 심근경색 발병률이 높고 생체리듬이 개지면 강한 스트레스가 되어 심장발작의 방아쇠가 된다. 고혈압 및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생리적 리듬에 맞게 일찍 일어나고 일찍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피로가 덜 쌓이도록 하며, 밤샘이나 야근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