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S & ACLS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LS & ACL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폐소생술
3. 제세동기

본문내용

ne 또는 nitroprusside 등이 혈관확장제를 동시에 투여하는것도 고려된다.
2) Dobutamine 도부타민
심근이 베타 1수용체와 알파1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이다. 말초혈관에 분포하는 알파 1수용체에 대한 작용도 있으나 강력한 베타2수용체 작용으로 인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심근수축력이 증가하고 말초혈관저항이 감소하여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도부타민은 도파민과 달리 폐모세혈관쐐기압을 감소시키므로 폐부종이 있는 환자에게도 투여 할수 있다. 분단 20ug/kg 이하의 용량에서는 빈맥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노에피네피린 분비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관상동맥혈류를 증가시키므로 심근의 허혈을 유발하지 않는다.
① 용량 및 투여방법
심박출량의 감소로 폐부종이 발생한 환자. 폐부종이 동반되 저혈압 환자, 중증 좌심실 부전 환자에게 효과적, 폐혈증과 동반되 심부전에도 효과적이다.
한앰플이 250mg(5cc)로 분당 2-2-ug/kg정도의 용량으로 투여한다.
② 주의 사항
분당 20ug/kg이상으로 투여시 두통, 오심, 빈백, 고혈압, 심실부정맥을 초래 할수 있으므로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고용량 투여는 위험하다.
B - 교감신경수용체에 작용하지 않고 심근수축력을 증가시키는 약물
1) Digoxin - 디곡신
다른 digitalis에 비해 약물 작용이 빨리 나타나고 반감기가 비교적 길지 않아 digitalis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심근세포 내 칼슘 농도를 높이고 미주신경작용을 항진 한다.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 조율수가 감소된다.
① 적응증
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보다 효과적이지 않다. 특히 급성 심부전 환자에게 투여될 경우 심근 수축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심부전시 도부타민 등의 약물이 더 도움이 된다.
디곡신은 만성적으로 심부전이 발생한 환자에게 적절한 효능이 있다. 디곡신은 방실결절의 전도 속도를 느리게 하므로 심방세동, 심방조동에 의하여 심박조율 수가 빨라졌을 때 심박 조율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투여한다.
② 용량 및 투여방법
응급시는 정맥으로 투여하고 약 30분 이내로 효능이 시작되어 2-3시간 경과시 최대효과를 나타난다. 대개는 심근수축력을 향진시키는 효과보다는 심박조율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먼저 나타난다.
한앰플 0.25mg(1cc) 로 응급상황에서 최초 0.5-0.75mg(10-15ug/kg)을 정맥주사 하고 1일 0.25-0.5mg투여한다.
③ 주의 사항
혈중농도가 2.5mg/ml이상이면 디곡신 중독이 발생할수 있다. 그러나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칼슘혈증등이 동반되어 있을때에는 치료용량에도 부작용이 발생할수 있다.
부작용- 오심 ,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과 시야의 변화, 의식장애가 발생, 방실전도 차단에 따른 부정맥으로 심방, 심실 조기수축, 심실빈맥, 2:1 방실차단을 동반한 발작성 심방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량의 디곡신에 의한 중독은 고칼륨혈증이 발생할수 있다.
④ 디곡신 중독의 치료
디곡신 중독이 의심될 때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혈중 농도를 측정한다. 칼륨, 마스네슘, 칼슘의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결핍된 이온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특히 이뇨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에서는 저칼륨혈증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즉시 보충해 주어야 한다.
맥박이 120이상 60이하 일 때는 투여하지 않는다.
C - 혈관 확장제
1) Nitroprusside 니트로프루시드
투여시작과 함께 약물효과가 발생하고 투여를 중지하면 수분내에 약물효과가 중단되므로 응급상황에서 투여하기에는 이상적인 약물이다.
동맥과 정맥을 모두 확장시키는 강력한 혈관 확장제이다. 동맥이 이완되어 말초혈관저항이 감소되며 정맥이 이완되어 심장의 전부하가 감소하다. 그래서 폐동맥쐐기압을 떨어뜨리므로 폐부종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게도 투여할수 있다.
① 적응증 및 투여방법
말초혈관이 증가되어 있는 질환에 우용하다. 고혈압을 동반한 대동맥박리 환자에서 혈압강하를 위한 약제로 투여된다. 급성 좌심실 부전이 발생한 환자에세도 후부하를 감소시키기기 위하여 투여한다.
한바이알 50mg(2cc) 최초 분당 0.1ug/kg으로 투여를 시작
보통 분단 0.5-0.8ug/kg정도의 용량으로 혈압을 조절한다.
② 주의 사항
저혈압이다. 고령환자에서 주의를 요한다. 심근허혈이 있는 환자에서는 심근 허헐을 악화시키므로 니트로푸시드 대신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하는 것이 좋다.
니트로푸시드는 대사되어 황시안산염을 생성하므로 과량투여시나 간, 신장 대사장애 시 황시안산염 독성에 따른 이명, 시력장애, 오심, 복통, 의식장애, 경련을 일으킬수 있다.
햇빛에 노출시 파괴되므로 반드시 알루미늄호일 등의 햇빛이 투과되지 않는 물지로 싸주어야 한다.
2) Nitoglycerin - 니트로클리세린
혈관벽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정맥을 이완시켜 심장의 전부하를 줄이므로 심근의 운동량이 감소하여 심근의 산소요구량이 줄어든다. 또한 심외막의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관상동맥에 유발된 혈관경련에 유용하다. 설하로 투여된다.
① 적응증 및 투여방법
심근이 허헐상태에 있는 모든 환자가 투여의 적응이 된다. 협심증, 심근경색증에 투여
된다. 울혈성 심부전치료에도 사용된다.
협심증 발생이 설하로 투여되며 흉통은 0.3-0.4mg의 니트로글리세린을 설하로 투여후 1-2분 정도 경과하면 소실되며 통증이 소실되지 않으면 5분간격으로 2회 반복투여 할수 있다. 심근경색에 따른 울혈성 심부전환자에서는 정맥투여가 권장된다.
한앰플에 5mg(10cc), 50mg(50cc)로 처음 12.5-25ug/kg 투여한후 분당 10-20ug 속도로 투여하면서 점차 용량을 증량한다.
② 주의 사항
흉통의 원인은 심근허혈과 식도경련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니트로글리세린 투여로 흉통이 소실되어도 협심증으로 진단하지 않는다. 심근경색환자에서 정맥투여시 저혈압이 발생. 심근경색환자에서 니트로글리세린은 투여할때에는 최초의 혈압보다 약 10%정도 감소된 수축기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1.19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3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