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인치료(개인을 대상으로 한 개입)
1) 초기단계 : 사정을 위한 자료 수집
2) 중기단계 : 목표설정과 개입
3) 종결단계
2. 가족치료(가족을 대상으로 한 개입)
1) 가족치료의 이해
2) 가족치료의 기본 개념들
3) 가족치료의 다양한 접근들
4) 공통된 개입과정과 기법 및 프로그램
1) 초기단계 : 사정을 위한 자료 수집
2) 중기단계 : 목표설정과 개입
3) 종결단계
2. 가족치료(가족을 대상으로 한 개입)
1) 가족치료의 이해
2) 가족치료의 기본 개념들
3) 가족치료의 다양한 접근들
4) 공통된 개입과정과 기법 및 프로그램
본문내용
끌어들이는 것이다.
ㄷ. 단절 : 과거에 해결되지 않은 정서적 문제를 멀리 이사를 가거나 연락을 하지 않고 가족관계를 끊어버림으로써 해결을 시도한다.
② 치료적 개입 기법
ㄱ. 3세대 가계도 : 최소한 3세대 이상의 확대가족에서 현재의 정서적 과정의 기원을 찾고 근원을 찾아서 가족의 정서적 융합을 추적
ㄴ. 나-전달법, 자신을 보게 하는 기법
(4) 해결 중심 단기치료
① 기본개념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 능력을 인정하고 중요시 한다. 과거와 문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지 않으며 현재와 미래를 지향한다. 역기능적인 것은 문제해결을 위해 잘못 시도한 것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간주했다.
② 클라이언트의 유형
ㄱ. 불평형과의 관계 : 다른 사람을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한다. 증상 이 있는 가족에 관하여 생각과 관찰을 계속하지만 과거와 는 다른 방법으로 할 것을 격려하고 자신을 위한 목표를 갖도록 한다.
ㄴ. 방문형과의 관계 : 어떨 수 없이 찾아오는 사람으로, 참석해준 것에 고마움을 표시하고 치료에 참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 한다. 자신에게 좋아지려고 노력하는 일들을 부각시켜주고 인정해 주며 클라이언트의 의사결정을 존중한다.
ㄷ. 고객형과의 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것이든 시도하려는 동기를 가진 사람으로 매우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치료관계를 이룰 수 있다.
③ 치료 전략으로서의 질문
ㄱ. 처음 치료면담 이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 : 내적자원 확인
ㄴ. 예외질문 : 성공했던 경험과 현재 잘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도록 하는 질문
ㄷ. 척도질문 : 자신의 상태를 수치로 표현하도록 함
ㄹ. 기적질문 : 원하는 상태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ㅁ. 대처극복질문 : 스스로가 만성적인 어려움과 위기를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 파악
ㅂ. 관계성질문 :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질문
ㅅ. 악몽질문 : 기적질문의 반대로 문제가 더 나빠진 상태를 악몽처럼 가정하게 함으로써 해결점을 찾아가도록 돕는 질문
④ 치료의 지속 : 1차 치료 이후는 치료 효과를 유지, 확대, 강화시키기 위한 개입을 지속한다.
4) 공통된 개입과정과 기법 및 프로그램
(1) 초기단계
가족과 좋은 관계를 맺고 거리감을 줄여 나가며 가족에 적응하기 위해서 그 가족의 특정한 문화나 가치 등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들에게 익숙한 방식대로 접근해 나가는 합류를 시도한다.
① 유지 : 가족의 상호작용 규칙을 존중하고 가족구조에 적응해 나가며 그들의 문화 를 수용
② 모방 : 가족의 의사소통방법이나 언어, 내용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
③ 추적 : 추적을 통해 가족이 갖는 특정한 상호작용 유형이나 태도, 가치 등을 파악 할 수 있음
(2) 중기단계 : 개입에 관련된 기법
① 가족구조 및 기능 파악하기
가족모빌, 가족초상화 그리기, 동물 가족화 그리기, 가계도 그리기, 빈 의자 기법, 역할 바꾸기, 식사 함께하기, 공간 이용법 파악하기, 가족사진, 개인 애장품 소개하기
② 가족의식을 통한 친밀도와 격리 파악하기
가족의식 : 가족의식을 통해서 가족 간의 친밀도, 소속감, 가족에 대한 자부심 기르기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높인다.
사랑의 메모 남기기, 선물 교환하기, 함께 시간보내기, 가족모임을 통한 미해 결 과제 찾기
③ 가족과 가족구성원의 강점 사정하기
가족의 강점 찾기, 사랑의 이불 덮어주기, 자랑거리 소개하기
④ 의사소통 훈련
기쁘게 하는 날, 칭찬하기, 팬터마임
(3) 종결단계
개입의 목표가 달성 되었다고 판단되면 종결에 대한 논의를 한다. 새로 만들어진 변화와 변화의 유지에 대해서 논의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추후 지도에 관한 계획도 세울 수 있다.
ㄷ. 단절 : 과거에 해결되지 않은 정서적 문제를 멀리 이사를 가거나 연락을 하지 않고 가족관계를 끊어버림으로써 해결을 시도한다.
② 치료적 개입 기법
ㄱ. 3세대 가계도 : 최소한 3세대 이상의 확대가족에서 현재의 정서적 과정의 기원을 찾고 근원을 찾아서 가족의 정서적 융합을 추적
ㄴ. 나-전달법, 자신을 보게 하는 기법
(4) 해결 중심 단기치료
① 기본개념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 능력을 인정하고 중요시 한다. 과거와 문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지 않으며 현재와 미래를 지향한다. 역기능적인 것은 문제해결을 위해 잘못 시도한 것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간주했다.
② 클라이언트의 유형
ㄱ. 불평형과의 관계 : 다른 사람을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한다. 증상 이 있는 가족에 관하여 생각과 관찰을 계속하지만 과거와 는 다른 방법으로 할 것을 격려하고 자신을 위한 목표를 갖도록 한다.
ㄴ. 방문형과의 관계 : 어떨 수 없이 찾아오는 사람으로, 참석해준 것에 고마움을 표시하고 치료에 참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 한다. 자신에게 좋아지려고 노력하는 일들을 부각시켜주고 인정해 주며 클라이언트의 의사결정을 존중한다.
ㄷ. 고객형과의 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것이든 시도하려는 동기를 가진 사람으로 매우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치료관계를 이룰 수 있다.
③ 치료 전략으로서의 질문
ㄱ. 처음 치료면담 이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 : 내적자원 확인
ㄴ. 예외질문 : 성공했던 경험과 현재 잘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도록 하는 질문
ㄷ. 척도질문 : 자신의 상태를 수치로 표현하도록 함
ㄹ. 기적질문 : 원하는 상태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ㅁ. 대처극복질문 : 스스로가 만성적인 어려움과 위기를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 파악
ㅂ. 관계성질문 :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질문
ㅅ. 악몽질문 : 기적질문의 반대로 문제가 더 나빠진 상태를 악몽처럼 가정하게 함으로써 해결점을 찾아가도록 돕는 질문
④ 치료의 지속 : 1차 치료 이후는 치료 효과를 유지, 확대, 강화시키기 위한 개입을 지속한다.
4) 공통된 개입과정과 기법 및 프로그램
(1) 초기단계
가족과 좋은 관계를 맺고 거리감을 줄여 나가며 가족에 적응하기 위해서 그 가족의 특정한 문화나 가치 등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들에게 익숙한 방식대로 접근해 나가는 합류를 시도한다.
① 유지 : 가족의 상호작용 규칙을 존중하고 가족구조에 적응해 나가며 그들의 문화 를 수용
② 모방 : 가족의 의사소통방법이나 언어, 내용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
③ 추적 : 추적을 통해 가족이 갖는 특정한 상호작용 유형이나 태도, 가치 등을 파악 할 수 있음
(2) 중기단계 : 개입에 관련된 기법
① 가족구조 및 기능 파악하기
가족모빌, 가족초상화 그리기, 동물 가족화 그리기, 가계도 그리기, 빈 의자 기법, 역할 바꾸기, 식사 함께하기, 공간 이용법 파악하기, 가족사진, 개인 애장품 소개하기
② 가족의식을 통한 친밀도와 격리 파악하기
가족의식 : 가족의식을 통해서 가족 간의 친밀도, 소속감, 가족에 대한 자부심 기르기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높인다.
사랑의 메모 남기기, 선물 교환하기, 함께 시간보내기, 가족모임을 통한 미해 결 과제 찾기
③ 가족과 가족구성원의 강점 사정하기
가족의 강점 찾기, 사랑의 이불 덮어주기, 자랑거리 소개하기
④ 의사소통 훈련
기쁘게 하는 날, 칭찬하기, 팬터마임
(3) 종결단계
개입의 목표가 달성 되었다고 판단되면 종결에 대한 논의를 한다. 새로 만들어진 변화와 변화의 유지에 대해서 논의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추후 지도에 관한 계획도 세울 수 있다.
추천자료
의사소통가족치료(사티어)이론 및 사례가족치료 보고서
가족 내 체계간에 명확한 경계를 형성하지 못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병리적 가족유형]에 대...
가족안에서 자신에게 있었던 최근의 갈등 상황이나 혹은 지속적으로 반복되어온 가족내 문제 ...
가족치료 - 정신분석적 가족치료
한국 가족 치료의 발달 과정을 알아보고 가족 상담의 중요성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서술 : 가...
가족치료 모델, 구조적 가족치료 사례 <보웬의 이론을 중심으로>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을 설명한 뒤, 이 이론이 가족상담 및...
[가족복지론]사티어(Virginia Satir)의 경험주의적 가족치료모델 : 경험적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경험적 가족치료에서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가족상담및치료)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가족상담및치료)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중 하나는 자아존중감이다. 자아존중감을 높일 ...
가족상담및치료)자신의 가족 의사소통을 의도적으로 관찰해본 후 가족들 사이의 의사소통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