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체의 측면
2. 목적의 측면
3. 저항권(抵抗權)에 관한 헌재 97.9.25. 97헌가4 결정
2. 목적의 측면
3. 저항권(抵抗權)에 관한 헌재 97.9.25. 97헌가4 결정
본문내용
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국가권력에 의한 헌법의 기본원리에 대한 중대한 침해였고, 이 침해행위에 대한 구제수단으로 실력에 의한 쟁의행위를 선택한 것이 권리 자유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유일한 수단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그밖에 저항권의 행사로 정당화할 수 있는 다른 사정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한 법원이 판단할 문제라고 하면서, 저항권은 국가권력에 의하여 헌법의 기본원리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행하여지고 그 침해가 헌법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것으로서 다른 합법적인 구제수단으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때에 국민이 자기의 권리·자유를 지키기 위하여 실력으로 저항하는 권리이므로, 국회법 소정의 협의 없는 개의시간의 변경과 회의일시를 통지하지 아니한 입법과정의 하자는 저항권 행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추천자료
중공업 대기업에서의 노사관계 유형-철강, 자동차, 조선산업
일본 행정사건소송법상 취소소송의 대상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문제점과 앞으로 발전방향
한국 공무원 노동조합의 설립에 관한 논쟁점 연구- 공무원 노조에 대한 객관적 시각 찾기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률과 E마트 사례까지 자세히 정리된 보고
교육학 정리
전임자 급여지급 문제‘입법’규율의 정당성 문제
07년 개정법에 따른 대체근로의 제한
노동법상 노동쟁의의 대상사항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주체, 내용, 절차, 형식의 무효원인과 취소원인
근로3권 전반에 관한 노동법적 검토
경제주체와 경제행위 대상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