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노동쟁의의 의의 및 논의의 필요성
Ⅱ. 노동쟁의의 당사자 및 요건
Ⅲ. 노동쟁의의 대상사항
Ⅱ. 노동쟁의의 당사자 및 요건
Ⅲ. 노동쟁의의 대상사항
본문내용
.
2. 권리분쟁의 포함여부
권리분쟁이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에 관하여 견해의 대립은 있으나, 권리분쟁은 법적인 구제절차 및 해석요청 등을 통하여 해결하여야 하며, 노조법에서 노동쟁의를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한정하여 이익분쟁만을 조정중재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권리분쟁에 관한 사항은 노동쟁의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본다.
2. 권리분쟁의 포함여부
권리분쟁이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에 관하여 견해의 대립은 있으나, 권리분쟁은 법적인 구제절차 및 해석요청 등을 통하여 해결하여야 하며, 노조법에서 노동쟁의를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한정하여 이익분쟁만을 조정중재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권리분쟁에 관한 사항은 노동쟁의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작업장 폐쇄)의 문제 [A+대박자료]
단체교섭과 노사협의의 비교
[공무원노조]공무원 노동조합을 둘러싼 노동법상 문제와 근로삼권의 재검토
노동위원회의 기능과 권한
합법적 파업과 비합법적 파업
[노동법][노동자][근로자][노동법의 개념][노동법의 역사][노동법의 체계][노동법의 개정요지...
노동법상 조정전치주의 검토
노동조합의 설립 요건 전반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노동분쟁 중 권리분쟁 해결제도의 개선방안
[파업]파업의 정의, 파업의 이론, 파업의 부정적 측면, 노조파업의 현실, 구로동맹파업과 198...
[파견노동자]홍익대학교청소노동자파업으로 본 파견노동자들의 노동현실개선방안모색(한국사...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정의,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제한,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
근로자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철학과 노동법상의 의무
[법률해석][근로자파견 법령]법률해석의 목적, 법률해석과 근로자파견 법령, 법률해석과 GP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