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U case study -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ICU case study -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질병기술
만성 폐쇄성폐질환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Ⅱ. 간호사정
1.대상자의 건강 양상
2.대상자의 건강력
3.신체검진
4.약물
5.검사

Ⅲ. 간호과정
간 호 진 단 목 록
1. 기도개방유지불능
2. 잠재적 영양 불균형
3. 체액불균형의 위험성

본문내용

성분에 대해 검사한다
④ 소변의 양과 색깔, 투명도, 냄새에 대해 관찰한다
⑤항응고제Clexane 투여와 관련된 혈액응고기능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①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②정확한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nelaton 을 삽입한다
③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
① 혈액투석에 대한 대상자가 알기 쉽도록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언어로 설명을 한다. 혈액투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설명한다. 혈액투석시의 식이, 운동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투석으로 인한 합병증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간호사는 각 검사에 적합한 소변검사물을 수집할 책임이 있다 일반 요분석을 위한 깨끗한 소변, 요배양을 위해 더욱 깨끗이 받은 소변, 즉 중간검사물, 대상자의 특별한 건강문제에 따른 다양한 검사들을 위한 일정시간동안 받은 검사물들이 있다.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매일 2~3시간 마다 소변의 흐름을 관찰하고 색깔, 냄새 그리고 어떤 비정상적 성분이 있는지 보고 한다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수분섭취량이 증가하면 정상적으로 배설량도따라서 증가한다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간헐 도뇨관은 곧은 1회용 도뇨관으로 방광내의 소변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한다. 방광이 비워지면 도뇨관을 즉시 제거하며 필요시마다 반복한다.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배뇨문제를 해결하거나 최소화하려면 대상자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대상자들에게 특수 배뇨문제에 대해 교육한다. 요생성의 기본기전과 배설의 변화, 배뇨를 증진시키는 방법, 배뇨 변화 증상을 교육하는 것도 유용하다.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환자와 그 가족은 투석에 필요한 자가 간호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투석동안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치료의 경과와 발생가능한 합병증을 조기 발견할 수 있다.
-성인간호학 上 수문사 -
문제
번호
수행
날짜
간호수행
서명
#3
4/21
~
5/1
① 매duty 마다 I&O를 check 하였음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5.1
총섭취량
Oral+
위관영양
750
1070
1240
850
500
1200
900
900
1150
1100
1100
Peripheral
0
0
0
250
0
0
0
0
0
0
0
Total
750
1070
1240
1100
500
1200
900
900
1150
1100
1100
총배설량
Total
440
1570
350
1350
150
1400
200
700
1060
650
950
Urine
300
70
350
350
150
0
200
700
560
650
0
Stool
3회
-
-
-
1회
-
-
1회
2회
1회
1
Vomiting
1회140
투석량
1.5ℓ
1ℓ
1.4ℓ
0.5ℓ
skip
In-Out
310
-500
890
-250
350
-200
700
200
90
450
150
→정확한 중간뇨 검사를 위해 4/21~29부터 AM 6시 nelaton삽입하여 채취
Urine
21
22
23
24
25
26
27
28
29
total
300
70
350
350
150
0
200
700
560
nelaton
60
70
50
50
50
0
50
50
60
self voiding
240
0
300
300
100
0
150
650
500
→4/30 AM7:00~ 5/1 Am7:00 까지 24hr 소변검사를 하여 총 1000ml 확인
→In-Out 결과에서 투석을 한 날은 배설량이 더 많아서 음의 값으로 나오지만 하지않는날은 섭취량이 배설량 보다 더 많은 양상을 보임, 27일부터 계속 섭취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옴 소변량은 28일부터 500ml이상으로 양이 전보다 증가했음을 알수 있음
② Urine culture 하여 소변에 포함된 성분에 대해 분석함
정상범위
21
22
23
24
25
27
28
29
Blood
-
+++
+++
+++
+++
+++
+++
+++
+++
Protein
-
++
+
++
++
++
++
++
++
Urobilinogen
-
+/-
+/-
+/-
+/-
+/-
+/-
+/-
+/-
WBC
-
+++
+
+/-
+
+
-
-
-
Micro Color
yellow turbid
yellow
clear
yellowclear
yellowclear
yellowclear
++
++
++
Micro RBC
0-1/HPF
30-60
60이상
30-60
60이상
60이상
yellowclear
yellowclear
yellow turbid
Micro WBC
1-4/HPF
60이상
30-60
1-4
30-60
30-60
60이상
60이상
60이상
→혈뇨, 단백뇨, 백혈구 양성반응에서 28일부터 음성반응, 투명도는 혼탁하고 색깔은 yellow.
③항응고제Clexane 투여와 관련된 혈액응고기능을 사정함.
4/15~ 현재까지 투여중이며 수치가 거의 정상범위에 있으므로 혈액응고기능 정상
검사명
정상범위
검사결과
15
17
21
24
28
5/1
PT sec
10.8-13.5
[sec]
12.2
12.9
13.2
13.2
13.2
10.2
PT %
78-112
[%]
102
107
102
102
102
13.2
PT INR
0.89-1.2
0.90
0.96
0.99
0.99
0.99
0.99
aPTT
24.4-37.7
[sec]
-
-
38
-
-
-
④대상자에게 쥬스, 물을 직접 제공함
⑤처방된 약물을 투여함- 이뇨제 Diamox 4/25~4/29
Lasix 4/29~ 5/1
⑥혈액투석에 대한 대상자가 알기 쉽도록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혈액투석에 대한 식이, 운동요법, 합병증예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설명한다.
평가
5/1
소변량이 500ml 이상으로 증가된 양상을 보이고 적당한 수분섭취로 체액부족이 일어나지 않았고 2008.05.01 환자 소변나오는 양이 늘어서 목요일 skip 하겠으며 추후 NE와 상의하여 투석 어떻게 진행할지 상의 라는 경과기록을 보아 이 간호진단이 지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이향련 외 7명 (2007), 성인간호학, 수문사
2.강현숙 외 (2006), 기본간호학, 수문사
3.전시자 외. (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 가격2,9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9.02.0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