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당노동행위의 개념
2. 불이익 취급
1). 불이익취급의 의의
2). 불이익취급의 성립요건
3). 불이익취급의 처분
※ 관련 판례
3. 황견계약(비열계약)
1). 황견계약의 의의
2). 황견계약의 유형
3). 비열계약의 적용 예외
※ 관련 판례
4. 단체교섭의 거부
1). 단체교섭거부의 의의
2).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 성립요건
※ 관련 판례 및 질의회시
5. 지배/개입, 경비원조
1). 의의
2). 지배/개입의 성립요건
6. 부당노동행위 구제
1). 의의
2).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의 특징
3). 행정적 구제절차
4). 사법적 구제절차
2. 불이익 취급
1). 불이익취급의 의의
2). 불이익취급의 성립요건
3). 불이익취급의 처분
※ 관련 판례
3. 황견계약(비열계약)
1). 황견계약의 의의
2). 황견계약의 유형
3). 비열계약의 적용 예외
※ 관련 판례
4. 단체교섭의 거부
1). 단체교섭거부의 의의
2). 단체교섭 거부의 부당노동행위 성립요건
※ 관련 판례 및 질의회시
5. 지배/개입, 경비원조
1). 의의
2). 지배/개입의 성립요건
6. 부당노동행위 구제
1). 의의
2).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의 특징
3). 행정적 구제절차
4). 사법적 구제절차
본문내용
가입 또는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노동조합을 조직하려는 행위가 있어야 하며, 쟁의행위 참가 및 기타 노동조합의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하였어야 한다.
그리고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신고나 증언, 행정기관에 증거 자료제출을 했어야 한다.
3) 불이익취급의 처분
불이익 취급은 부당노동행위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형이며, 전보, 승진 등 인사상 불이익, 해고등 징계조치상 불이익, 임금의 차별대우 등 경제적 불이익, 보직박탈 등 전신상/생활상 불이익, 조합활동상 불이익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나 \"해고 등 징계조치상 불이익\"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 관련 판례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는 사용자가 내세우는 해고사유와 그 근로자가 한 노동조합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의 내용등과 같은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 등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여야 한다.(`91. 4. 23, 대법원 90누7685)
3. 황견계약(비열계약)
1) 황견계약의 의의
노동조합에의 불가입·탈퇴 또는 가입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황견계약(yeiiow dog contract)이라고도 한다. 법 제81조 제2호에서 \"근로자가 어느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아니할 것 또는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거나 특정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행위\"를 말한다.
2) 황견계약의 유형
황견계약의 유형은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을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 노동조합 탈퇴를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 특정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등이 있다.
3) 비열계약의 적용 예외
(1) 유니온
그리고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신고나 증언, 행정기관에 증거 자료제출을 했어야 한다.
3) 불이익취급의 처분
불이익 취급은 부당노동행위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형이며, 전보, 승진 등 인사상 불이익, 해고등 징계조치상 불이익, 임금의 차별대우 등 경제적 불이익, 보직박탈 등 전신상/생활상 불이익, 조합활동상 불이익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나 \"해고 등 징계조치상 불이익\"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 관련 판례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는 사용자가 내세우는 해고사유와 그 근로자가 한 노동조합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의 내용등과 같은 부당노동행위 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 등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여야 한다.(`91. 4. 23, 대법원 90누7685)
3. 황견계약(비열계약)
1) 황견계약의 의의
노동조합에의 불가입·탈퇴 또는 가입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황견계약(yeiiow dog contract)이라고도 한다. 법 제81조 제2호에서 \"근로자가 어느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아니할 것 또는 탈퇴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거나 특정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행위\"를 말한다.
2) 황견계약의 유형
황견계약의 유형은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을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 노동조합 탈퇴를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 특정한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경우등이 있다.
3) 비열계약의 적용 예외
(1) 유니온
키워드
추천자료
부당행위계산의 부인과 상속세 * 증여세법상의 증여의제 및 추정
[사회과학]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행정법]사인의 공법행위와 공법상의 사무관리와 부당이득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불공정 거래행위- 부당 표시 . 광고 행위
[인문과학]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사회과학]
부당행위 계산의 부인
세무회계:부당행위의계산의 부인 일반, 가지급금 인정인자, 불균등자본거래로 인항 이익의 무...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상 쟁의행위 관련 이슈 총정리
노동쟁의이론과 쟁의행위의 정의와 유형 및 노동쟁의의 조절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정의와 중요성,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운영원리, 산업별노동조...
생활과법,노동문제와법,부당해고 레포트
A+레포트 부당행위 계산 부인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