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기파랑가, 우적가 해석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찬기파랑가, 우적가 해석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讚 耆 婆 郞 歌 =
1. 작품개관
2. 설화
3. 원문 및 풀이
1) 양주동 해독
2) 김완진 해독
4. 작가
5. 풀이
1) 시어 풀이
2) 행별 풀이
6. 시어 해독에 대한 차이점
7. 이해와 감상
1) 서지사항
2) 내용 연구
8. 참고사항
1) 다양한 해석 - 양주동 박사 외
2) 배경설화에 관한 논의들

= 遇 賊 歌 =
1. 작품 개관
2. 설화
3. 원문 및 풀이
1) 양주동 해독
2) 김완진 해독
4. 작가
5. 풀이
1) 시어 풀이
2) 행별 풀이
6. 이해와 감상
1) 서지 사항
2) 내용 연구

본문내용

= 讚耆婆郞歌, 遇賊歌 =
목차
= 讚 耆 婆 郞 歌 =
1. 작품개관
2. 설화
3. 원문 및 풀이
1) 양주동 해독
2) 김완진 해독
4. 작가
5. 풀이
1) 시어 풀이
2) 행별 풀이
6. 시어 해독에 대한 차이점
7. 이해와 감상
1) 서지사항
2) 내용 연구
8. 참고사항
1) 다양한 해석 - 양주동 박사 외
2) 배경설화에 관한 논의들
= 遇 賊 歌 =
1. 작품 개관
2. 설화
3. 원문 및 풀이
1) 양주동 해독
2) 김완진 해독
4. 작가
5. 풀이
1) 시어 풀이
2) 행별 풀이
6. 이해와 감상
1) 서지 사항
2) 내용 연구
= 讚 耆 婆 郞 歌 =
1. 작품개관
사뇌시는 우리나라 시가사의 원류이며, 한국적인 서정성의 원천, 언어로 응축된 신라 문화의 정수이다. \'찬기파랑가\'는 신라 시대의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사모한 충담사가 그의 인물됨을 상징성을 띤 자연물에 비겨 찬양한 노래로, 대상에 대한 예찬의 태도를 보여 주며, 사뇌시 특유의 숭고미를 자아내고 있다. 이 작품의 화자는 \'달, 수풀, 자갈, 잣나무\'와 \'흰구름, 눈\' 의 선명한 색채 대조를 이루고 있는 자연물의 대조를 통해 그리움의 시적 대상인 \'기파랑\'을 \'하늘에 높이 뜬 달과 같은 숭고함\', \'냇가의 수풀과 같은 깨끗함\', \'자갈과 같은 원만함\', \'잣나무와도 같이 시련을 이겨내는 꿋꿋함\'을 지닌 화랑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은 시적 함축성이 뛰어난 시어들을 10줄로 정제된 시 형식 속에 담아 서정시로서의 문학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2. 설화
신라 경덕왕 때의 일이다. 3월 삼짇날 왕이 귀정문 문루에 나와 좌우에 있는 사람더러 이르기를 \"누가 길에 나서서 훌륭하게 차린 중 하나를 데려 올 수 있겠느냐?\" 마침 상당한 지위에 있는 한 중이 점잖고 깨끗하게 차리고 술렁술렁 오는 것을 좌우에 있던 사람이 바라보고 곧 데려왔다. 왕이 말하기를 \"내가 훌륭하게 차렸다고 말한 것은 이런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그만 돌려보냈다. 또 한 중이 옷을 기워 입고 벚나무로 만든 통을 지고 남쪽으로부터 오고 있었다. 왕이 기쁘게 대하면서 문루 위로 맞아 들였다. 그 통속을 드려다 보니 차 다리는 제구가 들어 있을 뿐이다. 왕이 묻기를 \"그대는 누구인가?\" 중이 말하기를 \"충담입니다.\" 또 묻기를 \"어디서 오는 길인가?\" 중이 말하기를 \"소승이 매년 3월 삼짇날과 9월9일 날은 차를 다리어 남산 삼화령에 계신 부처님께 올립니다. 지금도 차를 올리고 막 돌아오는 길입니다.\" 왕이 말하기를 \"나도 그 차 한 잔을 얻어 마실 연분이 있겠는가?\" 중이 차를 다리어 올리었는데 차 맛이 희한 할 뿐더러 차중에서 이상한 향기가 무럭무럭 났다. 왕이 말하기를 \"내가 일찍이 듣건대 대사의 기파랑을 찬양한 사뇌시는 그 뜻이 심히 높다고 하는데 과연 그런가?\" 대답하기를 \"네, 그렇습니다.\" 왕이 말하기를 \"그러면 나를 위해서 백성을 편안히 살도록 다스리는 노래를 지으라.\" 중이 그 당장 임금의 명령에 의해서 노래를 지어 바치었더니 왕이 잘 지었다고 칭찬하고 왕사를 봉하였다. 경덕왕의 요청에 의해서 지어진 이 노래가 「안민가」이다. 중은 두 번 절한 다음 그 벼슬을 굳이 사양해서 받지 않았다. 위에서 보다시피 「찬기파랑가」의 창작에 대한 직접적인 설화적 배경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고 「안민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잠시 언급되어 있다.
3. 원문 및 풀이
咽鳴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逐內良齊
阿耶 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명이처미
로효사은월라리
백운음축간부거은안지하
사시팔릉은정리야중
기랑의모사시사수사
일오천리질적악희
랑야지이지여사오은
심미제질힐축내량제
아야백사질지차고지호
설시모동내호시화판야
열치매
나토얀 리
구룸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릿
郞 디니다샤온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2.04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