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라틴의 정의 및 일반사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젤라틴(gelatin)의 정의

2. 젤라틴의 용도

3. 젤라틴의 생성과정

4. 젤라틴의 원재료

5. 젤라틴의 안전성

6. 젤라틴의 제품관리

7. 다른 법과의 관계

8. 차후 식약청에서 할 일

본문내용

)을 수입하여 탈염, 탈모, 탈회공정 및 지방질제거 공정 등 전처리과정을 거치고, 또한 산, 알칼리처리, 세척, 추출, 이온교환수지 통과, 멸균 등 정제공정을 거치므로 젤라틴의 최종제품이 식품첨가물공전에서 정한 식품첨가물의 규격기준에 적합하다면 안전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우리 청에서도 일부 피혁공장에서의 우내피의 취급 및 수거공정과 젤라틴 공장에서의 모든 처리 및 제조공정, 제품의 생산 및 품질관리과정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6. 젤라틴의 제품관리
제품의 품질관리는 식품첨가물공전 제4.품목별 규격 및 기준 나. 천연첨가물 51.젤라틴의 기준규격에 따라 관리하고 있습니다. 수입품은 각 지방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품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내생산품은 제조회사의 자가품질관리 또는 감독기관의 수거검사를 받습니다.
7. 다른 법과의 관계
원재료로 사용되는 우 내피 부산물은 피혁공장에서 얻어지므로 이를 수집 활용함에 있어, 환경부 소관법인 현행 폐기물관리법 제44조의 2의 제1항에 의거 폐기물재활용신고를 하도록 되어 있어 젤라틴의 원재료가 폐기물이 아니냐하는 일부에서의 주장도 있으나, 실제의 활용에 있어서는 폐기물과 부산물은 개념을 달리하여 구분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환경부에서 유권 해석한 바에 의하면 쇠가죽 잔재물(hide split)을 별도의 가공과정을 거쳐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원료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폐기물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한 바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젤라틴의 규정이 가장 엄격한 지역은 유럽이나, 유럽의 젤라틴 원료 규정에도 우내피(bovine splits)가 젤라틴의 주원료로서 허용되고 있습니다. 활용되는 부산물을 취급함에 있어 유권해석이 아닌 법문구상 폐기물의 category내에서 취급되고 있음에 대하여는 차후 검토해 보아야할 사항이 되겠습니다.
8. 차후 식약청에서 할 일
젤라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조업소의 위생감시 및 제품의 위해요인 추가여부 등 계속적 monitoring을 실시할 것이며, 필요한 경우 기준규격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현행 식품첨가물공전 상 젤라틴의 성분규격이 설정된 검사항목은 순도시험의 4가지 항목으로 현재는 식품첨가물공전에 정하여진 항목만 검사하고 있습니다만 유해한 성분이 함유에 대한 정보가 있을 시는 확인 조치할 것이며, 제 외국의 규격기준을 비교검토하여 최종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준규격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2.1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