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 간호과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만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oxytocin 투약이 처방되었을 경우 간호사는 처방대로 투여한다. 태반이 만출되고 회음절개부위의 봉합이 끝나면 외음을 소독수로 닦아준다.
분만 3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태반과 양막, 제대를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2)분만 3기의 가족간호
산모의 배 위에 신생아를 얹어 주고 신생아를 따뜻하게 감싸주고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 다. 모유수유를 권장한다.
3)부모와 신생아와의 관계
5.평가
분만 4기의 산부간호
1.사정
간호사는 산전기록과 분만기록을 검토함으로써 사정이 시작된다. 분만 4기에 잠재적 위 험이 되는 일차적으로 중요한 사항은 출혈 소인을 가진 산모의 상태이다. 회복실에서 첫 1시간은 산모의 신체상태를 자주 사정해야 한다. 체온을 제외한 모든 요소를 15분 간격으 로 1시간 동안 사정하고, 만약 모든 요소가 정상범위로 안정된 상태이면 30분 간격으로 두 번 더 사정한다.
2.간호진단
1)간호진단의 예
출혈 가능성
-자궁무력증과 관련된
요정체
-진통과 분만중 비뇨기계의 민감성에 미친 효과와 관련된
통증
-출산손상과 관련된
손상 가능성
-도움받지 않은 첫 기동과 관련된
부모역할 변화의 가능성
-산후통과 관련된 혹은 모유수유과 곤란과 관련된
가족과정의 변화
-새로운 구성원의 탄생과 관련된
3.기대하는 결과
출혈과 감염이 없다.
자궁이 잘 퇴축하고 정상적이 오로의 특성을 보인다.
편안하고 신체적 손상이 없다.
신생아를 가족 구성원으로 받아들인다.
4.간호중재
1)출혈예방
산모의 체온, 맥박과 혈압을 사정, 기록한다. 맥박은 일반적으로 1분에 50~70회가 정상인 데, 1분에 90회 이상이면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 체온은 정상 이상일 수도 있는데 때로 는 37.2c 이상일 수도 있다. 난산 후 수축기압은 100mmHg 이하이고, 맥박이 100회/분 이상인 경우에는 출혈이나 쇼크를 의심할 수 있다.
자궁 내에 혈액이 차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주 촉진해 보고 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회 음패드를 검사한다. 오로의 양은 적다, 약간이다, 보통이다, 심하다로 표시한다. 정상자궁 저부는 부드러운 마사지로 단단해지는데 조기에 자궁근육 무력증이 발생될 수 있다. 자 궁이 수축되지 않으면 자연적인 혈관결찰이 안되어서 출혈의 원이 되므로 자궁수축 전에 축적된 혈액과 응혈제를 배출시키고 자궁저부 수축 여부를 확인한 후 자궁을 질쪽으로 부드럽게 압박한다. 자궁이완이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 처치를 한다.
2)안위유지
분만을 돕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지 않았어도 적어도 2시간 정도는 침대에 누워있도록 한다. 분만 후 복강내압이 급격히 하강하므로 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이완되어 산 모가 일어설 때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산모가 일어날 때 잘 도와준다.
3)청결유지
산모를 깨끗이 하는 것은 안위를 증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외음부를 청결히 하고 패 드를 바르게 채워주고 둔부를 건조하게 하고 젖은 홑이불을 보온과 안위를 위해 즉시 갈 아준다. 회음부간호 전후에 손을 씻도록 한다.
4)방광팽만예방
방광이 팽만되면 자궁이 상우측으로 밀리며, 방광의 이완으로 인한 소변 정체는 감염 발 생의 좋은 기회가 된다. 간호사는 산모에게 자연 배뇨를 권장한다.
5)불편감 예방
분만 후 자궁근육이 수축하므로 산모는 산후통을 느낀다. 산후통은 다산모에게 더 심하 다. 산후통으로 인한 불편감을 예방하기 위해 산모에게 정상적인 생리를 설명하고 방광 을 자주 비우도록 하며 복부에 따뜻한 담요를 덮어주고 의사가 처방한 진통제를 투여하 며 이완과 호흡운동을 하도록 한다. 회음절개나 치질부위도 산모를 불편하게 하므로 거 즈에 싼 얼음팩을 사용하여 부종과 불편감이 완화되도록 하며 분만 후 1~2시간 내에 사 용하면 가장 효과적이다. 분만 후 오한과 비슷한 산후 떨림을 경험하는 산모도 있는데, 이때 간호사는 따뜻한 담요로 덮어주고 감염과 상관없이 분만 후에 흔히 볼 수 있는 반 응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6)수분과 영양공급
분만중에는 수분과 영양공급은 제한되나 수분 손실(혈액, 발한, 구토)이 많으므로 분만 후 갈증을 느낀다. 사과주스나 차 등을 주고 산모가 원하면 가벼운 음식도 공급한다.
7)산모와 신생아의 병실이동
분만 후 2시간째에 산모 상태를 사정하여 신체상태가 안정되면 병실로 옮긴다. 병동으로 옮기기 전에 산모기록을 검토하고, 병실간호사에게 인계한다. 신생아도 신생아실로 옮긴 다.
Ⅱ.본론
1.간호력
1)일반적 사항
①이름: 백ΟΟ
②연령: 34세
③결혼상태: 기혼
④직업: 주부
⑤입원일: 2007년 5월 1일
2)입원 동기
2007년 5월 1일 9:00(AM)에 유도분만위해 외래 통해 입원함
3)입원시 상태
①의식상태: 명료
②자궁수축: 무
③태아심음: 148회/min
④태향: 태아머리가 아래쪽을 향해 있다.
⑤ROM유무: 무
4)산과력 (분만횟수)-(조산횟수)-(유산횟수)-(살아있는 아기)
(1)-(0)-(0)-(1)
5)과거건강력,
①과거병력: 무
②수술: 유
(자궁내막증-2002년 9월 2일, 자궁근종-2006년 6월 8일)
③알레르기: 무
6)가족력-무
분만날짜
임신기간
분만형태
총분만시간
합병증
신생아
성별
체중
수유법
기타
1999년
40주+2
NSVD
11시간


3.2Kkg
모유영양
7)과거 산과력
8)현재 임신력
①최종월경일(LMP): 2006년 7월13
②분만예정일(EDC): 4월 26일
③첫 태동 경험
④산전관리
NST: 정기적은 아니더라고 임신 8개월 때부터 꾸준히 받았다.
막달검사: 2006년 3월 26일 시행 (36+4주)
-검사종류: AIDS, 매독검사, 빈혈검사, 소변검사, 혈액형검사,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B 형간염검사
산전기형 선별검사 (채취일: 2006/11/10, 검사일: 2006/11/13, 태령: 16주5일)
측정치
MOM
다운증후군
나이 1:576
나이+Marker 1:6070
AFP 49.45ng/ml
1.25
에드워드증후군
나이+Marker 1:135000
HCG 28.30IU/ml
1.070
신경관결실
1.25MOM
uE3 1.34ng/ml
0.970
검사결과
-다운증후군(저위험군): 다운증후군의 위험도가 선별 기준치보다 낮다. 본 혈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02.1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