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의 송대(宋代)시대
2. 평면 기둥배열(柱網)의 발전
1) 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2) 불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3. 목가구 기술의 발전
1) 목가구 양식
2) 목조 기술의 새로운 성과
4. 목조 기술의 새로운 성과
1) 주광강도(柱框剛度)의 보강
2) 병합구건(併合構件:합성구조)의 출현
3) 더욱 정교한 대현 목구조의 예술적인 가공
5. 두공(斗栱) 구조의 새로운 변화
6. 고층건물에 있어 목조기술의 성과
7. 독특한 목공교(木栱橋) - “홍량 (虹梁:홍예보) 구조”
8. 참고도면
2. 평면 기둥배열(柱網)의 발전
1) 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2) 불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3. 목가구 기술의 발전
1) 목가구 양식
2) 목조 기술의 새로운 성과
4. 목조 기술의 새로운 성과
1) 주광강도(柱框剛度)의 보강
2) 병합구건(併合構件:합성구조)의 출현
3) 더욱 정교한 대현 목구조의 예술적인 가공
5. 두공(斗栱) 구조의 새로운 변화
6. 고층건물에 있어 목조기술의 성과
7. 독특한 목공교(木栱橋) - “홍량 (虹梁:홍예보) 구조”
8. 참고도면
본문내용
개 하부에 단 것은 속이 찬 목판으로 송대에는 장수판(障水板), 청대에는 군판(裙板)이라 하였다. 화심(花心)과 군판(裙板)사이에는 항상 요대(腰帶)를 더했는데, 송대에는 요화판(腰華板), 청대에는 조환판(조環板)이라 하였다. ..........일부 격선은 군판과 조환을 쓰지 않았는데, 위,아래가 통째로 격심인 것을 낙지명조(落地明造)라 하였다. 이허원 저, 이상해.한동수.이주행.조인숙 역,『중국고전건축의 원리』, 시공사, 2000, pp297-299.
을 배치하였으며, 화려하고 아름다운(柔和絢麗)의 건축 風格에 이른 것이다. 이미 송대 건축조형의 두드러진 특징을 이룬 것이다.(그림 5-6-1)
1. 평면 기둥배열(柱網)의 발전
송대 건축의 개체(單體) 평면 가운데 대규모 건축물은 대개 장방형(長方形)이며, 소규모 건축물은 대부분 정방형(方刑)이다. 기둥배열(柱網)은 수당대(隋唐代) 보다 여러 번 변화와 발전이 있었는데 대체로 아래와 같은 두 종류의 형식이 있다.
1) 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수당대(隋唐代) 목조건축은 거의 대부분 획일적으로 종횡의 열을 이루는 기둥배치를 하고 있다. 송대의 중요 건축물은 이러한 수법을 계승받고 있다. 예컨대, 하북성(河北省) 정정현(正定懸) 융흥사(隆興寺) 마니전(摩尼殿;1052년)은 정면 7칸, 측면 7칸이며, 四面에 포하(抱廈)를 둔 중첨(重) 팔작지붕(歇山屋頂)이다. (그림 5-6-2a,b)
포하(抱廈)의 합각면(歇山頂山)은 정면을 향하고 있는데, 조형이 화려하고 아름답다. 전체 건축에서 곁방(抱廈)와 몸체부(殿身)를 제거하면 3겹의 기둥 열이 조성되는데, 안쪽의 2열은 상첨주(上柱)가 되고, 바깥쪽의 1열은 하첨주(下柱)가 된다.
절강성(浙江省) 영파시(寧波市) 보국사 대전(保國寺 大殿:1013년)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間이며, 외진주(外圈柱)는 12개이며, 내진주(內圈柱)는 4개이다. “영조법식” 권30 대목작제도(大木作制度) 도면 가운데 전당건축의 평면도가 4개 있는데, 그 중 2번째의 ‘몸체부(殿身) 7칸, 차양간(副階周) 부계주잡(副階周): 부계는 건물외부에 회랑처럼 된 부분.
각각 2椽이며 내부에 금상두저조(金箱斗底槽)’, ‘몸체부(殿身) 7칸, 차양간(副階周) 각각 2架椽, 내부(身內)에 쌍조(雙槽)’ 또한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당대의 중요 건축물인 대명궁 함원전(大明宮 含元殿)은 발굴 자료에 따르면 가운데가 9칸으로 어칸(明間)과 협칸(次間) 모두 5.29m이며, 맨 끝의 1칸은 칸 사이를 줄여서 4.85m이다. 측면은 매칸 모두 4.85m이다. 현존하는 유구 가운데 당나라 불광사 대전(佛光寺 大殿:857년) 정면 7칸의 가운데 5칸 역시 기둥간격은 5.04m이며, 맨 끝 칸 1칸을 줄여서 4.40m이다. 송대 초기의 이러한 상황은 아주 큰 변화가 있었다. 예컨대 산서성 태원(太原) 진사(晋祠) 성모전(聖母殿:1023-1031)은 정면 7칸, 측면 6칸으로 어칸(明間)이 4.98m이고, 협칸(次間)이 4.08m, 제2협칸(梢間)이 3.74m, 퇴칸(盡間)이 3.14.m이다.(그림 5-6-3) “영조법식” 권4에 “가령 어칸(心間, 明間)을 1丈5尺을 쓰면 협칸(次間)은 1丈을 쓴다.”는 등의 내용을 규정해 당시 이러한 방법이 이미 정해진 법칙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南宋代에는 한층 보편화 되었는데, 예를 들어 소주(蘇州) 현묘관(玄妙觀) 삼청전(三淸殿: 1179년)은 정면이 9칸인데, 그 간사이(開間尺寸)도 어칸에서 시작해서 점차 줄어든다.
이외에 각 칸의 간사이(開間尺寸)는 唐代에 비해 분명히 커졌다. 예를 들면 전술한 함원전 어칸이 5.29m인데 반해 하북 정정 융흥사 대비각(大悲閣:송대 터, 971년)의 어칸은 7.20m에 이른다. 칸(開間)에 대해 송대의 장인(匠師)은 前代와 비교해 볼 때 목재의 역학성에 대해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2) 불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대체로 두 개의 유형으로 나뉜다.
(1) 前(後) 減柱金柱 平面
현존하는 宋代의 건축 유구 가운데 반 이상이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의 소형 건축물로, 이들 건물의 기둥 배치는 주위 12개의 첨주(柱)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면의 두 내진주(金柱)를 없애 내부 공간을 확대하였고, 뒤쪽의 내진주 가운데에 섬돌()로 선면장(扇面墻)을 쌓고, 내부 사면에 고주를 두지 않지만 작은 건물 안이 비교적 넓은 공간적인 느낌이 나게 하였다. 남은 기둥과 주위 외진주는 종횡으로 열을 이루고 있다. 산서 진성(晋城) 청련사 대전(靑蓮寺 大殿:1089년)은 이러한 유형의 대표작 이다. (그림 5-6-4) 유차(楡次) 영수사(永壽寺) 우화궁(雨花宮: 1008년)은 후면(後金柱) 감주(減柱) 평면으로 전랑(前廊)이 있는데, 양식이 전자와 조금 다르며, 구조도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진사 성모전(晋祠 聖母殿)의 前廊은 4개의 노첨주(老柱)를 땅에 닿지 않게 하였다(보 가구(梁架)에 있어서 동자주(童柱)를 대들보(大梁) 위에 두었다) 평면에 있어서도 감주 형식이다.
(2) 이주법(移柱法) 평면
이러한 유형의 평면에는 송대 건축 중 하북성 정정현 융흥사 전륜장전(轉輪藏殿)이 가장 초기의 것이다.(北宋 中期) 그것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인 중층 누각(重樓) 건축으로, 저층 중앙에 종교적 요구에 따라 불경의 대서주(大書)를 배치하기 위해 직경 약 7m의 ‘전륜장(轉輪藏)’(중심에 나무로 된 큰 축을 놓고 움직이게 되었다)을 내부 가운데에 두었는데, 돌릴 때 내부에 종횡으로 열을 이루고 있는 네 개의 기둥을 따라 충돌이 일어나 이를 위해 설계자가 저층의 기둥 네 개를 바깥쪽으로 옮기면서 뒤쪽 기둥은 약간만 옮기고 앞쪽 기둥은 비교적 많이 옮겼다.(그림 5-6-5)
하남성 등봉현(登封懸) 소림사 초조암 대전(初祖庵 大殿:1125년)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이며, 단첨 팔작지붕이고 내부에는 4개의 내진주가 있는데 뒤쪽의 기둥 두개는 원래의 기둥위치에서 뒤로 124㎝ 이동해 불단 전면의 활동 면적을 확대 하였다. (그림 5-6-6,7)
2. 목가구 기술의 발전
1) 목가구 양식
송대 건축은 평면과 전체 조형의 변화에 기인해 목가구 양식 또한 다양해
을 배치하였으며, 화려하고 아름다운(柔和絢麗)의 건축 風格에 이른 것이다. 이미 송대 건축조형의 두드러진 특징을 이룬 것이다.(그림 5-6-1)
1. 평면 기둥배열(柱網)의 발전
송대 건축의 개체(單體) 평면 가운데 대규모 건축물은 대개 장방형(長方形)이며, 소규모 건축물은 대부분 정방형(方刑)이다. 기둥배열(柱網)은 수당대(隋唐代) 보다 여러 번 변화와 발전이 있었는데 대체로 아래와 같은 두 종류의 형식이 있다.
1) 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수당대(隋唐代) 목조건축은 거의 대부분 획일적으로 종횡의 열을 이루는 기둥배치를 하고 있다. 송대의 중요 건축물은 이러한 수법을 계승받고 있다. 예컨대, 하북성(河北省) 정정현(正定懸) 융흥사(隆興寺) 마니전(摩尼殿;1052년)은 정면 7칸, 측면 7칸이며, 四面에 포하(抱廈)를 둔 중첨(重) 팔작지붕(歇山屋頂)이다. (그림 5-6-2a,b)
포하(抱廈)의 합각면(歇山頂山)은 정면을 향하고 있는데, 조형이 화려하고 아름답다. 전체 건축에서 곁방(抱廈)와 몸체부(殿身)를 제거하면 3겹의 기둥 열이 조성되는데, 안쪽의 2열은 상첨주(上柱)가 되고, 바깥쪽의 1열은 하첨주(下柱)가 된다.
절강성(浙江省) 영파시(寧波市) 보국사 대전(保國寺 大殿:1013년)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間이며, 외진주(外圈柱)는 12개이며, 내진주(內圈柱)는 4개이다. “영조법식” 권30 대목작제도(大木作制度) 도면 가운데 전당건축의 평면도가 4개 있는데, 그 중 2번째의 ‘몸체부(殿身) 7칸, 차양간(副階周) 부계주잡(副階周): 부계는 건물외부에 회랑처럼 된 부분.
각각 2椽이며 내부에 금상두저조(金箱斗底槽)’, ‘몸체부(殿身) 7칸, 차양간(副階周) 각각 2架椽, 내부(身內)에 쌍조(雙槽)’ 또한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당대의 중요 건축물인 대명궁 함원전(大明宮 含元殿)은 발굴 자료에 따르면 가운데가 9칸으로 어칸(明間)과 협칸(次間) 모두 5.29m이며, 맨 끝의 1칸은 칸 사이를 줄여서 4.85m이다. 측면은 매칸 모두 4.85m이다. 현존하는 유구 가운데 당나라 불광사 대전(佛光寺 大殿:857년) 정면 7칸의 가운데 5칸 역시 기둥간격은 5.04m이며, 맨 끝 칸 1칸을 줄여서 4.40m이다. 송대 초기의 이러한 상황은 아주 큰 변화가 있었다. 예컨대 산서성 태원(太原) 진사(晋祠) 성모전(聖母殿:1023-1031)은 정면 7칸, 측면 6칸으로 어칸(明間)이 4.98m이고, 협칸(次間)이 4.08m, 제2협칸(梢間)이 3.74m, 퇴칸(盡間)이 3.14.m이다.(그림 5-6-3) “영조법식” 권4에 “가령 어칸(心間, 明間)을 1丈5尺을 쓰면 협칸(次間)은 1丈을 쓴다.”는 등의 내용을 규정해 당시 이러한 방법이 이미 정해진 법칙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南宋代에는 한층 보편화 되었는데, 예를 들어 소주(蘇州) 현묘관(玄妙觀) 삼청전(三淸殿: 1179년)은 정면이 9칸인데, 그 간사이(開間尺寸)도 어칸에서 시작해서 점차 줄어든다.
이외에 각 칸의 간사이(開間尺寸)는 唐代에 비해 분명히 커졌다. 예를 들면 전술한 함원전 어칸이 5.29m인데 반해 하북 정정 융흥사 대비각(大悲閣:송대 터, 971년)의 어칸은 7.20m에 이른다. 칸(開間)에 대해 송대의 장인(匠師)은 前代와 비교해 볼 때 목재의 역학성에 대해 한층 더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2) 불규칙적인 기둥배열(柱網) 평면
대체로 두 개의 유형으로 나뉜다.
(1) 前(後) 減柱金柱 平面
현존하는 宋代의 건축 유구 가운데 반 이상이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의 소형 건축물로, 이들 건물의 기둥 배치는 주위 12개의 첨주(柱)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면의 두 내진주(金柱)를 없애 내부 공간을 확대하였고, 뒤쪽의 내진주 가운데에 섬돌()로 선면장(扇面墻)을 쌓고, 내부 사면에 고주를 두지 않지만 작은 건물 안이 비교적 넓은 공간적인 느낌이 나게 하였다. 남은 기둥과 주위 외진주는 종횡으로 열을 이루고 있다. 산서 진성(晋城) 청련사 대전(靑蓮寺 大殿:1089년)은 이러한 유형의 대표작 이다. (그림 5-6-4) 유차(楡次) 영수사(永壽寺) 우화궁(雨花宮: 1008년)은 후면(後金柱) 감주(減柱) 평면으로 전랑(前廊)이 있는데, 양식이 전자와 조금 다르며, 구조도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진사 성모전(晋祠 聖母殿)의 前廊은 4개의 노첨주(老柱)를 땅에 닿지 않게 하였다(보 가구(梁架)에 있어서 동자주(童柱)를 대들보(大梁) 위에 두었다) 평면에 있어서도 감주 형식이다.
(2) 이주법(移柱法) 평면
이러한 유형의 평면에는 송대 건축 중 하북성 정정현 융흥사 전륜장전(轉輪藏殿)이 가장 초기의 것이다.(北宋 中期) 그것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인 중층 누각(重樓) 건축으로, 저층 중앙에 종교적 요구에 따라 불경의 대서주(大書)를 배치하기 위해 직경 약 7m의 ‘전륜장(轉輪藏)’(중심에 나무로 된 큰 축을 놓고 움직이게 되었다)을 내부 가운데에 두었는데, 돌릴 때 내부에 종횡으로 열을 이루고 있는 네 개의 기둥을 따라 충돌이 일어나 이를 위해 설계자가 저층의 기둥 네 개를 바깥쪽으로 옮기면서 뒤쪽 기둥은 약간만 옮기고 앞쪽 기둥은 비교적 많이 옮겼다.(그림 5-6-5)
하남성 등봉현(登封懸) 소림사 초조암 대전(初祖庵 大殿:1125년)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이며, 단첨 팔작지붕이고 내부에는 4개의 내진주가 있는데 뒤쪽의 기둥 두개는 원래의 기둥위치에서 뒤로 124㎝ 이동해 불단 전면의 활동 면적을 확대 하였다. (그림 5-6-6,7)
2. 목가구 기술의 발전
1) 목가구 양식
송대 건축은 평면과 전체 조형의 변화에 기인해 목가구 양식 또한 다양해
추천자료
중국의 역사 왜곡 문제점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역사교육의 실태와 대응방안 분석
중국의 역사와 문화
[중국 이야기] 중국의 역사와 경제발전 그리고 중국위협론(국제관계 속 중국)
중국의 역사왜곡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
중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경제발전을 통해 분석한 중국의 고찰
동북공정관련 중국의 역사왜곡 <동북공정관련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한 문제점과 대책>
중국 통사 요약과 느낀점 <상식과 교양으로 읽은 중국의 역사> (하, 상(은), 주, 춘추전국, ...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한 중국의 입장 (동북공정 정의, 동북공정 문제, 중국의 변방민족국...
[중국문화산책공통]중국의대표적인 두도시 베이징(북경)과 상하이(상해)의 서로 다른 역사와 ...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의 대표적인 두 도시 베이징(북경)과 상하이(상해)는 여러 면에서 ...
[인문과학] [중국 역사의 진실]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중국 역사의 진실 ]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중국 - 중국의 국가개황, 중국의 역사와 문화적 특성(이념적 정향), 거시환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