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및 건축구조-원대(元代)시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역사 및 건축구조-원대(元代)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元代建築의 槪況

2. 元代木構遺物
(一)大型殿座 대형건축물
1) 芮城 永樂宮 三淸殿
2)洪洞 廣勝寺 下寺 後殿
(二)中小型佛殿
1)芮城 永樂宮 無極門
2)洪洞 廣勝寺 上寺 前殿
3)武義 延福寺 大殿
4)眞如寺 正殿
(三)樓閣建築- 定興 慈雲閣

3.元代木結構의 主要成就
(一)柱網佈置多樣化(기둥배치다양화)
(二)草栿做法盛行(초복주법성행)
(三)大內額的應用(대내액 사용)
(四)斜栿的應用(기울어진 보 사용)
(五)抹角梁的應用(모서리보 사용)
(六)斗栱結構的變化(공포구조의 변화)
(七)節點構造趨向簡化(절점구조의 간략화)
(八)剛度與整體性的改進(강도와 정체성의 증진)
(九)柱的生起與側脚的變化(기둥의 귀솟음과 안쏠림의 변화)
(十)南北建築風格的差別(남북 건축의 차이)

본문내용

원대의 목구조 (元代木結構)
1. 元代建築의 槪況
몽고족은 원래 초원에서 생활하는 유목부족이였다. ‘黑車白帳’ 黑車白帳(heichebeichang): 북방유목민들의 주거를 나타낼때 사용하는 단어. 검은 수레와 흰 휘장
을 집으로 삼고, 氈包 氈包(zhanbao): 모전(毛氈), 펠트(felt)로 만든 파오(몽고식 이동주택)
와 廬帳 廬帳(liuzhang): 천막집
이 거주건축으로 통용되었다. 원왕조 건립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한족의 선진문화를 받아들이고, 중원지방의 전통적 봉건제도를 채용하였다. 1264년에 세상에 널리 이름나게 되는(擧世聞名) 大都(지금의 北平)을 건설한다.
遼, 金, 西夏 시기에 원래 있었던 도시 외에도, 元代에는 새로운 도시가 출현하였다. 그 중 중요한 도시는 上都이다.(지금의 내몽고 錫林郭勒盟正蘭旗) 이 도시 내에는 많은 웅장하고 화려한 궁전과 寺廟건축이 세워졌다. 어떤 궁전은 전부 대리석을 사용해 만들어졌으며, 어떤 궁전은 전부 대나무로 구성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목조전각건축에는 각종 벽화들이 그려졌고, 각종 새, 동물, 꽃, 나무 등의 그림과 아울러 자세한 조각장식이 묘사되어 있고, 풍부한 민족적 특징이 나타나 있으며, 고대 사람들의 높은 지혜가 표현되어 있다.
元의 大都의 궁전건축 또한 웅장하고 화려하다. 陶宗義의 <輟耕錄>, 蕭洵의 <古宮遺錄> 등 문헌기록에 근거하면, 전각의 문은 진귀한 紫檀 紫檀(zitan): 목질이 단단하여 고급 가구재료로 쓰이는 나무
이고, 楠木 楠木(nanmu): 녹나무
으로 보와 기둥을 만들었다. 白玉石으로 臺基(기단), 版(난간)을 만들었다. 浚州文石 文石(wenshi): 무늬가 있는 돌
으로 바닥을 만들었고, 翠色琉璃 翠色琉璃: 비취색 유리와=청기와
로 지붕(脊)을 장식했고, 屋蓋의 꼭대기는 금은보화로 도금(金寶)하였다. 金紅 金紅(jinhong): 약간 누리끼리한 붉은색
색의 (suochuang): 무늬를 새긴 창
과 기둥(柱楹)은 날아오르는 花金龍雲으로 장식되어 있다. 龍鳳이 새겨진 전각 내 많이 사용된 斗이 모여있는 꼭대기에는 황금빛으로 두루 칠해져 있다. 畏吾爾殿, 頂殿, 圓殿, 棕毛殿, 龜頭屋 등 기이하고 드물게 보이는 건축물들이 복잡하게 있어, 고움(艶)과 풍부한 다채로움을 경합하고 있다. 당시에 활동한 설계자로, 黑迭兒(大食國人 大食國: 고려시대 지금의 중동에 있던 나라. 사라센제국
), 張柔, 段天祐, 楊瓊, 邱士亨, 李寧, 刺令兒, 養安 등이 있고, 모두 일대 명장들이다. 더욱이 楊瓊은 대대로 석공으로, 기술이 절륜하고, 두 도시의 궁전의 건축활동에 탁월한 공헌을 했다.
몽고통치자들은 종교에 대해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이는(兼容蓄) 태도를 취했다. 비록 그들이 喇불교를 믿었지만, 道敎, 伊斯蘭敎(이슬람교), 也里可溫 也里可溫(yelikewen): 야리가온, 에르케운. 중국 元代 기독교 네스토리우스파, 즉 경교(景敎)를 의미한다.
(즉 기독교 思脫里파)등의 전파를 허용하였다. 따라서 종교건축은 상당히 발달하였다. 계속 수리, 건축된 불교와 도교건축을 제외하고도, 많은 지방에 적지 않은 라마교사원과 이슬람교 禮拜寺가 지어졌다. 내지의 전통건축과 서로 결합하기 시작하여, 새로운 장식과 雕塑(조각된 토우), 그림의 새로운 수법이 생산되었다. 상호교류가 계속되면서, 중국건축의 기술과 예술의 발전에 적지 않은 새로운 구성요소(因素 因素(yinsu): 구성요소, 원인, 조건
)가 더해지게 되었다.
2. 元代木構遺物
(一)大型殿座 대형건축물
1) 芮城 永樂宮 三淸殿
영락궁은 원대 도교 건축의 전형이다. 원래의 규모는 매우 컸으나, 현재는 중축선상의 4개의 원대건축-無極門(龍虎殿), 三淸殿, 純陽殿, 重陽殿-이 보존되어 있다.
삼청전은 元 中統3년(1262년)에 건립되었고, 궁내에서 가장 주요한 건축이다. 單殿頂(홑처마우진각지붕)이고, 높고 큰 기단위에 있으며, 조형비례가 和諧勻爭 和諧(hexie):조화롭다. 勻爭(yunjing): 고르다. 균일하다
하다. 대전의 面 面(miankuo): 전면너비
은 7칸(28.44m)이고, 측면은 8연가이다.(進心八椽)(15.28m)이다. 평면柱網은 후면에는 金柱(내주)를 사용하였으나, 후면의 양 梢間 梢間: 전면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칸. 중앙부터 明間-次間-梢間
과 전면의 金柱는(第二縫下 은 도리이고, 縫은 그 이은부분을 의미한다.
) 감주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屋架(지붕가구)를 측면에서 보면, 어칸(當心間)과 협칸(次間)은 “四椽相對, 前後用四柱” 四椽을 마주해서 2개를 쓰고, 전후로 4개의 기둥을 쓰는 방법
이다. 이 두개의 四椽은 中柱 위에서 서로 만나고, “殿堂 殿堂: 청당에 비하여, 모든 기둥의 높이를 같게 쓰는 방식
六鋪作 六鋪作: 鋪作數는 주두를 포함하여 보방향으로 사용되는 부재수, 공통 사용되는 斗, 頭, 친방두 + 공+ 앙 의 수. 출목수+3
分心槽 分心槽: 分心斗底槽라고도 하며, 하나의 내주열을 두어 내부공간을 전후의 두 부분으로 나누는 방식.
<金箱斗底槽 單槽 雙槽> - 영조법식 대목작제도
草架 草架: 지붕가구를 말함. 또는 측면을 의미.
”의 유형에 속한다. 前後槽에는 平棋 平棋: 방형의 각재를 이용하여, 장방형, 장방형 등으로 격자를 짜고, 이 위를 판재로 덮고 단청 등으로 장식한 천장.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2.17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