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한국전쟁의 배경
2. 전쟁의 전개
1) 제1단계 (북한군 남침기)
2)제2단계(UN군 반격 및 북진기)
3)제3단계(중공군 침공 및 UN군 재반격기)
4)제4단계(전선교착 및 휴전)
Ⅱ. 결론
1. 한국전쟁의 배경
2. 전쟁의 전개
1) 제1단계 (북한군 남침기)
2)제2단계(UN군 반격 및 북진기)
3)제3단계(중공군 침공 및 UN군 재반격기)
4)제4단계(전선교착 및 휴전)
Ⅱ. 결론
본문내용
사단은 후방에 배치하여 게릴라를 소탕하거나 후방경계중에 있었다. 즉, 전혀 전쟁에 대비하지 못하였다. 여기에 특히 주목할 것은, 북한군은 중공군 출신 한인계로 주축을 이룬 제5, 6, 12사단을 산악지역에, 소련군 출신 사단장으로 구성된 제1, 2, 3, 4사단을 서부전선에 배치시킴으로써 중공군과 소련군의 특유한 전술의 이점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였다.
<북한군의 기습남침 및 낙동강선 방어>
우리 나라로서는 아무런 준비 없이 전쟁을 해내야 했다. 빈약한 무기를 가지고 조국 사수의 결의를 다짐하면서 용감히 싸웠다. 그러나 병력과 장비가 부족하여 단 3일만에 서울이 함락되고, 북한군의 파죽지세로 남하하여 불과 2개월 21일만에 낙동강까지 진출하여 우리국군은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하게 되었다. 이때 국군은 유엔군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에서 가까스로 버티고 있게 되었다.
2)제2단계(UN군 반격 및 북진기)
<인천상률작전과 낙동강성 총반격>
맥아더 원수의 용단으로 1950년 9월 15일 전격적으로 인천상률작전이 감행되었다. 그러나 낙동강선의 북한군은 철저히 비밀리에 붙여진 이 소식을 잘 모른 채 완강히 저항하다가 결국 3일후인 9월 18일 이 소식을 듣고 순식간에 붕괴되었다.
워커 미 제 8군사령관은 9월 18일 실질적인 반격을 개시하여 인천상률작전 후 13일만에 서울까지 진출하는 쾌거를 올리게 되었다.
유엔군은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한 후 일제히 북진을 개시하였다. 국군 제3사단은 1950년 10월 1일 최초로 38선을 돌파하였다. 이 때 맥아더는 미 2-10군단을 원산으로 상륙시켜 북한의 동부지역으로 공격시켰다 이로써 서부전선은 미 제8군과 국군 제1사단이, 중동부전선은 미 제10군단과 나머지 전 국군이 담당하게 되었다. 국군 제6사단 제7연대는 10월 26일 초산에 도달하여 압록강 물을 수통에 담았으며, 동부전선의 미 7사단은 11월 21일 혜산진에 도달하여 국경선까지 진출하였다. 맥아더를 비롯한 장병들은 이제 1950년이 끝나기 전 며칠내 이전쟁을 끝내고 귀국할 수 있을 것이라 들떠 있었다.
3)제3단계(중공군 침공 및 UN군 재반격기)
<대규모 중공군의 개입>
국토통일을 눈앞에 두고 국군과 유엔군은 전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1950년 10월 19일 중공군이 이른바 ‘지원군’이라는 명분으로 한반도에 개입하게된다. 맥아더는 전군에 철수명령을 내렸고, 중공군은 후퇴하는 유엔군을
<북한군의 기습남침 및 낙동강선 방어>
우리 나라로서는 아무런 준비 없이 전쟁을 해내야 했다. 빈약한 무기를 가지고 조국 사수의 결의를 다짐하면서 용감히 싸웠다. 그러나 병력과 장비가 부족하여 단 3일만에 서울이 함락되고, 북한군의 파죽지세로 남하하여 불과 2개월 21일만에 낙동강까지 진출하여 우리국군은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하게 되었다. 이때 국군은 유엔군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에서 가까스로 버티고 있게 되었다.
2)제2단계(UN군 반격 및 북진기)
<인천상률작전과 낙동강성 총반격>
맥아더 원수의 용단으로 1950년 9월 15일 전격적으로 인천상률작전이 감행되었다. 그러나 낙동강선의 북한군은 철저히 비밀리에 붙여진 이 소식을 잘 모른 채 완강히 저항하다가 결국 3일후인 9월 18일 이 소식을 듣고 순식간에 붕괴되었다.
워커 미 제 8군사령관은 9월 18일 실질적인 반격을 개시하여 인천상률작전 후 13일만에 서울까지 진출하는 쾌거를 올리게 되었다.
유엔군은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한 후 일제히 북진을 개시하였다. 국군 제3사단은 1950년 10월 1일 최초로 38선을 돌파하였다. 이 때 맥아더는 미 2-10군단을 원산으로 상륙시켜 북한의 동부지역으로 공격시켰다 이로써 서부전선은 미 제8군과 국군 제1사단이, 중동부전선은 미 제10군단과 나머지 전 국군이 담당하게 되었다. 국군 제6사단 제7연대는 10월 26일 초산에 도달하여 압록강 물을 수통에 담았으며, 동부전선의 미 7사단은 11월 21일 혜산진에 도달하여 국경선까지 진출하였다. 맥아더를 비롯한 장병들은 이제 1950년이 끝나기 전 며칠내 이전쟁을 끝내고 귀국할 수 있을 것이라 들떠 있었다.
3)제3단계(중공군 침공 및 UN군 재반격기)
<대규모 중공군의 개입>
국토통일을 눈앞에 두고 국군과 유엔군은 전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1950년 10월 19일 중공군이 이른바 ‘지원군’이라는 명분으로 한반도에 개입하게된다. 맥아더는 전군에 철수명령을 내렸고, 중공군은 후퇴하는 유엔군을
추천자료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조형요소][전통회화][회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분류, 한...
[한국교총]한국교총(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성격, 한국교총(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단체...
[한국시민운동]한국시민운동의 성격, 한국시민운동의 성장, 한국시민운동의 도덕성, 한국시민...
[한국광복군][광복군][한국광복군 약력][한국광복군 의의][한국광복군 활동][한국광복군 독수...
[한국의 폐기물][폐기물][1회용품]한국의 폐기물 개념, 한국의 폐기물 종류, 한국의 폐기물 ...
[한국벤처기업]한국벤처기업의 성장과정, 한국벤처기업의 성장가능성, 한국벤처기업의 사회적...
[한국][대한민국][생산성][생산][농업][쌀산업][제조산업][일자리]한국(대한민국) 농업의 생...
[한국, 금융, 한국 금융환경, 한국 금융기관, 한국 금융산업정책, 한국 금융감독시스템, 한국...
[한국불교, 한국, 불교, 한국불교 수용, 한국불교 예불의례, 한국불교 승려, 종교갈등]한국불...
[한국시민사회][시민사회][시민]한국시민사회의 약력, 한국시민사회의 특성, 한국시민사회의 ...
[한국광복군][광복군][한국광복군 창설][한국광복군 광복군선언문][한국광복군 부대편제][한...
[한국 폐기물]한국의 폐기물 제도변천과정, 한국의 폐기물 분류체계, 한국의 폐기물 처리과정...
[한국벤처기업][벤처기업]한국벤처기업의 역사, 한국벤처기업의 정보화, 한국벤처기업의 금융...
[한국][통신][한국뉴스통신][한국이동통신][한국정보통신][한국방송통신][뉴스통신][이동통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