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선두계열에 오를 수 없을 것이다.
고객을 항상 염두에 두는 피터드러커의 이론은 본인의 사고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었다. 최근 들어 많은 대기업들이 고객의 눈과 입장에서 보려하고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전 LG 텔레콤의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겠다는 광고나 전화상담원의 친절한 태도 역시 이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으로는 마케팅과 혁신이 있을 것이다. 고객을 창조하는 것, 그것은 곧 마케팅과 연관되는 것이다. 나는 마케팅하면 독특한 방식으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질 높은 광고를 만들거나 고객들과 접하여 회사의 제품의 뛰어난 점을 설명하여 구매를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판매와 마케팅을 거의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판매가 마케팅과 같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 마케팅이란 더 이상의 판매를 불필요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 했다. 우리가 무엇을 팔 것인가의 판매가 아닌 고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질문하고 궁극적으로 고객을 충분히 알고 이해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하여 그것들이 스스로 팔리도록 만드는 것이다. 혁신에 관하여는 에스키모인에게 냉장고를 판매한 세일즈맨의 일화는 커다란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얼음나라에도 냉장고가 필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나는 조금만 사고를 달리하여도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사원을 뽑을 때 얼마나 가능성이 많은 사원을 뽑는지도 중요하겠지만, 그러한 사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부서에 배치하는 것 역시나 중요하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난 사원일지라도 특출한 분야가 있을 것이다. 그러한 능력을 발견하여 인사배치를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미래를 점치는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능력만을 보기보다는 그 사람의 의지도 함께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프린터와 컴퓨터 등으로 유명한 휴렛 팩커드 사의 경우에는 IMF 위기 때에도 단 한명도 해고하지 않았다고 한다. 회사의 자금 능력이 좋아서라기보다는 한번 뽑은 사원을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회사의 의지의 표명이다. 성과를 보이지 않는 사원을 내쫓기보다는 그 사원에게 맞는 부서를 찾을 수 있게 도운다고 한다. 피터 드러커 역시 어떤 직무에 사람을 배치했는데 그 사람의 성과가 신통치 못하다면 그것은 경영자의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끊임없는 구조조정과 비정규직으로 노동자들을
고객을 항상 염두에 두는 피터드러커의 이론은 본인의 사고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었다. 최근 들어 많은 대기업들이 고객의 눈과 입장에서 보려하고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전 LG 텔레콤의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겠다는 광고나 전화상담원의 친절한 태도 역시 이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으로는 마케팅과 혁신이 있을 것이다. 고객을 창조하는 것, 그것은 곧 마케팅과 연관되는 것이다. 나는 마케팅하면 독특한 방식으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질 높은 광고를 만들거나 고객들과 접하여 회사의 제품의 뛰어난 점을 설명하여 구매를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판매와 마케팅을 거의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판매가 마케팅과 같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 마케팅이란 더 이상의 판매를 불필요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 했다. 우리가 무엇을 팔 것인가의 판매가 아닌 고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질문하고 궁극적으로 고객을 충분히 알고 이해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하여 그것들이 스스로 팔리도록 만드는 것이다. 혁신에 관하여는 에스키모인에게 냉장고를 판매한 세일즈맨의 일화는 커다란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얼음나라에도 냉장고가 필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나는 조금만 사고를 달리하여도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사원을 뽑을 때 얼마나 가능성이 많은 사원을 뽑는지도 중요하겠지만, 그러한 사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부서에 배치하는 것 역시나 중요하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난 사원일지라도 특출한 분야가 있을 것이다. 그러한 능력을 발견하여 인사배치를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미래를 점치는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능력만을 보기보다는 그 사람의 의지도 함께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프린터와 컴퓨터 등으로 유명한 휴렛 팩커드 사의 경우에는 IMF 위기 때에도 단 한명도 해고하지 않았다고 한다. 회사의 자금 능력이 좋아서라기보다는 한번 뽑은 사원을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회사의 의지의 표명이다. 성과를 보이지 않는 사원을 내쫓기보다는 그 사원에게 맞는 부서를 찾을 수 있게 도운다고 한다. 피터 드러커 역시 어떤 직무에 사람을 배치했는데 그 사람의 성과가 신통치 못하다면 그것은 경영자의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끊임없는 구조조정과 비정규직으로 노동자들을
추천자료
미래 경영환경을 읽고
[미래의 경영] 미래의 경영을 읽고
미래 경영 미래 CEO
SK텔레콤의 경영전략과 미래
미래에셋증권 경영전략과 기업분석
[우수평가자료]경영의 미래 독후감.-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A+평가독후감]경영의 미래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독후감] 미래의 경영 (로언 깁슨 저)
[기술혁신] 기술혁신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및 미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 & 경영의 미래
미래사회의 학교경영 환경의 변화- 변화와 요구(패러다임의 전환), 변화의 초점(학교의 재구...
우수 독서감상문(감상문) / 비즈니스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독점하라 : 피터 틸의 저자...
게리해멀의 경영의 미래를 읽고 A+자료
경영의 미래 [경영을 혁신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