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배경
제1장 존 볼비
제 2장 애착이론
제3장 경험적 연구와 임상적 관찰
제 4장 애착이론의 발전
제 5장 표상모델
제 6장 애착표상을 탐색하는 반 구조화된 면접법
제 7장 역기능적 부모
제 2부 애착이론과 정신분석학의 관계
제 8장 애착이론과 정신분석학의 비교
제 9장 전이
제10장 정신적 고통의 대물림
제 3부 애착 패러다임이 심리치료에 미친 영향
제11장 애착이론은 적용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제12장 잘못된 심리치료의 부작용
제 13장 애착이론과 집단분석
제 14장 애착이론을 적용한 정신 증의 치료
제 4부 볼비의 유산
제 15장 볼비의 유산에 대한 더 깊은 논의
제1장 존 볼비
제 2장 애착이론
제3장 경험적 연구와 임상적 관찰
제 4장 애착이론의 발전
제 5장 표상모델
제 6장 애착표상을 탐색하는 반 구조화된 면접법
제 7장 역기능적 부모
제 2부 애착이론과 정신분석학의 관계
제 8장 애착이론과 정신분석학의 비교
제 9장 전이
제10장 정신적 고통의 대물림
제 3부 애착 패러다임이 심리치료에 미친 영향
제11장 애착이론은 적용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제12장 잘못된 심리치료의 부작용
제 13장 애착이론과 집단분석
제 14장 애착이론을 적용한 정신 증의 치료
제 4부 볼비의 유산
제 15장 볼비의 유산에 대한 더 깊은 논의
본문내용
6),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두려움과 위축을 보였다(Renken, Egenland, Marvinney, Mangelsdorf, & Sroufe, 1989). 이러한 과장 전략은 비유용한 양육자의 주의를 얻기 위한 경우 적응적일 수 있다. 그러나 Bowlby(1973)에 따르면 그러한 전략을 통해 부정적 정서성이 너무 확대되어 관계 그 자체를 위협할 정도라면 역기능적일 수 있다.6)
애착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영아 애착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양육자의 민감성(Belsky, Rovine, & Taylor, 1984; Egeland & Faber, 1984; Isabella, Belsky & von Eye, 1989; Isabella, Belsky, 1991), 부모의 아동기 경험(Barnes,1989; Devine, 1988; Ricks, 1985), 학대나 무시 등의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행동(Calson, Cicchetti, Barnet t, & Braunwald, 1989; Main & Solomon, 1990), 영아의 기질(Lamb, Thompson, Gar dner, & Charnov, 1985; Kagan, 1982; Belsky & Rovine, 1987) 등이 연구되었다.
어머니의 민감성
내적 실행모델이 안정-자율유형의 사람들은 긍정적 애착경험을 가졌거나 부정적 애착경험을 극복했다고 믿는 사람들로서 영아의 애착신호에 주의 집중한다. 반면에 불안유형 사람들의 경우에는 애착관련 정보에 대한 주의집중과 흐름이 제한되어 영아의 곤경, 어려움, 괴로움, 불안에 대한 신호를 왜곡하거나 차단한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애착신호가 애착에 대한 현재의 마음의 상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녀의 애착신호가 자신들이 양육 받을 당시 자신들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생각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신호를 외면하며 회피한다. 따라서 부모의 현재의 정서와 애착관련 기억을 통합한 안정유형의 성인들은 민감한 방식으로 영아의 행동을 해석하고 반응한다는 것이다. 영아의 신호에 대한 어머니의 민감성이 안정된 모- 영아 애착 관계를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Ainsworth, 1982; Bowbly, 1982)
insworth(1979)는 양육자가 영아를 어떻게 보살피는가에 따라 애착의 안정성 정도가 결정된다고 가정하였다. Ainsworth 가 가정이나 실험실에서 어머니와 영아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바에 기초하여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간의 상호작용의 질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는 영아의 요구에, 특히 여아가 울음으로 신호를 보낼 때, 불안 애착을 형성한 어머니보다 더 신속하게 반응한다. Kochanska(1998)는 안정 애착아는 불안 애착아보다 좀더 반응적이고 긍정적 정서를 주고받는 어머니가 곁에 있었으며 두려움의 상황에서도 이들 어머니들은 영아가 정신적인 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즉시 그리고 지지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둘째,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는 영아의 신호를 해석하고 그것에 보다 민감하게 응답한다. 이 결과는 다른 학자들에 의해서도 최근까지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Anisfeld, Casper, Nozyce, & Cunningham, 1990;Isabella, 1993).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어머니 민감성의 영향은 수유기 영아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아가 성장한 이후에도 자녀의 입장을 먼저 고려해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18 개월된 영아들의 어머니가 자녀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는 과정을 관찰한 연구에서 안정 애착아의 어머니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가르치려고 하거나 자신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자녀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믿음을 북돋아 주었다(Matas, Arend, & Sroufe, 1978).
셋째,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는 불안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보다 일관성 있는 애정표현을 보였다. 안정 애착아의 어머니들은 다정하게 자녀를 쓰다듬고 웃으며 의사소통을 하였다(Clarke- Stewart, 1973). 반면 불안 애착아의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화를 내고 그들을 무시하였으며, 그들의 상호작용은 간섭함으로써(Belsky, Rovine, & Taylor, 1984; Isabella & Belsky,1991; Lewis & Feiring, 1982; Smith & Pederson, 1988) 영아들을 자주 당황시켰다. 불안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들은 또 자녀와 신체적인 접촉에 있어서도 일관성 없이 행동하였는데 가끔씩 평소와 달리 지나칠 정도로 자녀에게 신체적인 애정표현을 하지만 평상시에는 자녀와의 신체접촉을 피하고 안아주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었다(Egeland & Far ber, 1984; Isabella, 1993). 다시 말하면, 어머니가 영아의 욕구에 비일관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영아로 하여금 어머니의 유용성이 불확실하다고 여기게 만든다는 것이다.
사회변화에 따른 타인 양육의 증가 - 최근 우리나라의 주요 사회적 변화 가운데 하나는 여성취업, 특히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취업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과거보다 많은 수의 영유아가 어려서부터 부모 아닌 타인에 의해 양육되고 있다. 특히 생의 초기 형성한 애착관계가 이후 발달의 초석이 된다는 애착 이론에 의해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영아와 어머니가 1차적 결속을 맺을 수 있는지, 또 어떠한 양육 상황에서 어떠한 유형의 결속 관계가 형성되는지, 그로 인해 영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주어지는 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초기 타인양육이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두 가지 모델로 설명될 수 있다(Jaeger & Weinraub, 199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첫 번째 유형은 타인양육이 영아에게 모성 격리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을
애착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영아 애착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양육자의 민감성(Belsky, Rovine, & Taylor, 1984; Egeland & Faber, 1984; Isabella, Belsky & von Eye, 1989; Isabella, Belsky, 1991), 부모의 아동기 경험(Barnes,1989; Devine, 1988; Ricks, 1985), 학대나 무시 등의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행동(Calson, Cicchetti, Barnet t, & Braunwald, 1989; Main & Solomon, 1990), 영아의 기질(Lamb, Thompson, Gar dner, & Charnov, 1985; Kagan, 1982; Belsky & Rovine, 1987) 등이 연구되었다.
어머니의 민감성
내적 실행모델이 안정-자율유형의 사람들은 긍정적 애착경험을 가졌거나 부정적 애착경험을 극복했다고 믿는 사람들로서 영아의 애착신호에 주의 집중한다. 반면에 불안유형 사람들의 경우에는 애착관련 정보에 대한 주의집중과 흐름이 제한되어 영아의 곤경, 어려움, 괴로움, 불안에 대한 신호를 왜곡하거나 차단한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애착신호가 애착에 대한 현재의 마음의 상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녀의 애착신호가 자신들이 양육 받을 당시 자신들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생각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신호를 외면하며 회피한다. 따라서 부모의 현재의 정서와 애착관련 기억을 통합한 안정유형의 성인들은 민감한 방식으로 영아의 행동을 해석하고 반응한다는 것이다. 영아의 신호에 대한 어머니의 민감성이 안정된 모- 영아 애착 관계를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Ainsworth, 1982; Bowbly, 1982)
insworth(1979)는 양육자가 영아를 어떻게 보살피는가에 따라 애착의 안정성 정도가 결정된다고 가정하였다. Ainsworth 가 가정이나 실험실에서 어머니와 영아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바에 기초하여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간의 상호작용의 질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는 영아의 요구에, 특히 여아가 울음으로 신호를 보낼 때, 불안 애착을 형성한 어머니보다 더 신속하게 반응한다. Kochanska(1998)는 안정 애착아는 불안 애착아보다 좀더 반응적이고 긍정적 정서를 주고받는 어머니가 곁에 있었으며 두려움의 상황에서도 이들 어머니들은 영아가 정신적인 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즉시 그리고 지지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둘째,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는 영아의 신호를 해석하고 그것에 보다 민감하게 응답한다. 이 결과는 다른 학자들에 의해서도 최근까지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Anisfeld, Casper, Nozyce, & Cunningham, 1990;Isabella, 1993).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어머니 민감성의 영향은 수유기 영아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아가 성장한 이후에도 자녀의 입장을 먼저 고려해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18 개월된 영아들의 어머니가 자녀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는 과정을 관찰한 연구에서 안정 애착아의 어머니는 강압적인 방법으로 가르치려고 하거나 자신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자녀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믿음을 북돋아 주었다(Matas, Arend, & Sroufe, 1978).
셋째,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는 불안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보다 일관성 있는 애정표현을 보였다. 안정 애착아의 어머니들은 다정하게 자녀를 쓰다듬고 웃으며 의사소통을 하였다(Clarke- Stewart, 1973). 반면 불안 애착아의 어머니들은 자녀에게 화를 내고 그들을 무시하였으며, 그들의 상호작용은 간섭함으로써(Belsky, Rovine, & Taylor, 1984; Isabella & Belsky,1991; Lewis & Feiring, 1982; Smith & Pederson, 1988) 영아들을 자주 당황시켰다. 불안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어머니들은 또 자녀와 신체적인 접촉에 있어서도 일관성 없이 행동하였는데 가끔씩 평소와 달리 지나칠 정도로 자녀에게 신체적인 애정표현을 하지만 평상시에는 자녀와의 신체접촉을 피하고 안아주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었다(Egeland & Far ber, 1984; Isabella, 1993). 다시 말하면, 어머니가 영아의 욕구에 비일관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영아로 하여금 어머니의 유용성이 불확실하다고 여기게 만든다는 것이다.
사회변화에 따른 타인 양육의 증가 - 최근 우리나라의 주요 사회적 변화 가운데 하나는 여성취업, 특히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취업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과거보다 많은 수의 영유아가 어려서부터 부모 아닌 타인에 의해 양육되고 있다. 특히 생의 초기 형성한 애착관계가 이후 발달의 초석이 된다는 애착 이론에 의해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영아와 어머니가 1차적 결속을 맺을 수 있는지, 또 어떠한 양육 상황에서 어떠한 유형의 결속 관계가 형성되는지, 그로 인해 영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주어지는 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초기 타인양육이 영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두 가지 모델로 설명될 수 있다(Jaeger & Weinraub, 199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첫 번째 유형은 타인양육이 영아에게 모성 격리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점을
키워드
추천자료
[알프레드 아들러]Adler의 심리치료의 개요, 역사, 이론, 치료실제, 심리치료평가, 발표자의 ...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병리 이론(精神病理理論) - 신경증(우울증,히스테리,신경쇠약증) &...
[심리치료와 상담]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 사후의 정신분석 -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의 생애(성장과정과 교육배경)와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프...
[심리치료와 상담] 개인심리학의 기본가정과 주요개념 및 성격이론(가상적인 최종목표, 열등...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분석 치료 이론과 실제 - 치료의 목표와 원리, 치료기법(정신장애,자...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의 심리치료 이론 (치료목표, 치료원리, 치료기법에 대한 이해)
[심리치료와 상담] 인간중심치료이론(Person-centered therapy)의 치료목표와 치료원리 및 치...
[심리치료와 상담] Bowen(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 가...
[심리치료와 상담] 인지치료 이론 cognitive therapy (치료목표, 치료원리, 치료기법)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들(자아심리, 대상관계...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의 주요 이론적 개념에 대한 이해(인간관, 성격 이론, 정신병...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과 주요 이론적 개념 및 치료적...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현실치료의 주요 이론적 개념 - 인간본성에 관한 관점 및 현실치료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