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자원과 인간 요약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량자원과 인간 요약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강
1. 인구증가 문제
2. 식량부족 문제
3. 물부족 문제
4. 에너지 고갈 문제
5. 환경오염 문제

2강
1. 20세기 식량의 생산성 향상 요인은 무엇인가?
2. 세계 식량 수출의 선진국 집중원인은 무엇인가?
3. 세계 주요 곡물의 주요 수출국은 어디인가?
4. 세계 다국적 곡물메이저와 곡물시장의 구조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3강
1. 개발도상국 식량위기의 원인과 대책은 무엇인가?
2. 21세기 식량생산환경은 어떤 변화가 예측되는가?
3. 식량위기의 징후에는 무엇이 있는가?
4. 미래식량 위기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4강
1. 한국의 식량자급율 하락의 원인은 무엇인가?
2. 한국의 농업 현황은 어떠한가?
3. WTO 협상대책은 무엇인가?
4. 우리의 식량안보를 지키기 위하여 내가 할일은 무엇인가?
.
.
.
.
.

본문내용

는 쌀알이 달라붙지 않으므로 손가락으로 밥을 먹기에 수월하다.
- 일본형 벼 : 쌀알이 짧은 단립형이고, 아밀로스 함량(17-20%)이 낮아 밥의 끈기가 많다. 따라서 일본형 벼 재배 지역에서는 손가락 사용이 불편하고, 수저를 이용하는 식문화가 발달하였다.
* 쌀의 찰기는 쌀알을 구성하는 탄수화물중 아밀로스(amylose)와 아밀로 펙틴(amylopectin) 성분의 구성비율에 따라 달라지며, 멥쌀에는 보통 18-30%의 아밀로스가 있다. 찹쌀은 인도형과 일본형 모두 아밀로스는 없고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어 찰기가 있다.
* 소비자 기호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최근 벼품종은 항산화능이 높은 흑미(黑米), 적미(赤米) 품종들이 개발되었고, 구수한 향기를 내는 향미(香米), 쌀눈을 크게하여 영양가치를 높인 배아미(胚芽米), 김밥이나, 도시락과 같이 밥이 식어도 맛과 끈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주는 반찰벼(아밀로스 함량이 10% 내외) 품종 등도 개발되고 있다.
§4. 주요 식량자원
2. 밀
밀은 농업의 역사와 함께 가장 오래된 식량작물로 세계 대부분 나라의 주식 작물이며,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집트에서는 1만년전에 밀을 경작한 기록이 있으며, 보통밀(빵밀)의 재배기원은 약 5,000년 전으로, 우리나라에는 B.C. 1-2세기경에 중국에서 전래되었다.
밀은 전세계적으로 6억톤 정도가 생산되며, 중국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고, 미국, 러시아, 인도, 프랑스 등에서 많이 생산된다. 수출국은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 프랑스의 순으로 많다.
1) 밀의 명칭
- 학명(學名) : Triticum aestivum L.(T. vulgare VILL.)
- 영명(英名) : Wheat
- 한명(韓名) : 소맥(小麥)
* 밀을 소맥, 보리를 대맥(大麥)이라고 한다.
2) 밀의 식물학적 기원
밀에는 20여종의 야생종과 재배종들이 있으며, 이들의 원산지는 서아시아 지역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보통밀(Triticum aestivum L.)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코카서스 지방에 이르는 지역으로 그 중에서도 코카서스(Caucasus)의 아르메니아 지역(Armenia)이 중심지로 추정하고 있다.
보통밀(빵밀)은 이질6배체(AABBDD)로 야생 1립계 밀인 Triticum boeoticum(AA 게놈)와 밀의 근연야생종인 Aegilops speltoides(BB게놈)가 자연교잡된후 배수체로 되어 AABB의 4배체 2립계 밀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그 후 2립계인 T. dicoccoides(AABB 게놈)와 A. squarrosa(2n=14, DD 게놈)이 자연교잡되어 6배성 밀(AABBDD 게놈)인 오늘날의 보통밀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3) 밀의 품질 및 용도
분 질
단백질 함량(%)
밀가루 종류
주 요 용 도
경 질 12 이상 강력 밀가루 마카로니, 스파게티, 고급빵
반경질 10.5 - 12 준강력 밀가루 면류, 빵
중간질 9.5 - 10.5 중력 밀가루 면류, 과자
연 질 9.5 이하 박력 밀가루 카스테라, 비스킷, 튀김용
* 분질(粉質)은 밀 품종에 따라 다르며, 가공 용도에 따라 포장지에 표시된 밀가 루 종류를 선택하여 구입해야 한다.
§4. 주요 식량자원
3. 옥수수
열대원산인 옥수수는 척박한 땅에도 잘 자라며, 성장 기간이 짧은 조생종은 남아메리카에서 북유럽의 고위도나 높은 산악지대까지 재배가 가능하여 년간 3억 5천만톤 정도가 생산되며, 밀, 벼와 함께 세계 3대 작물의 하나이다.
1) 옥수수의 명칭
- 학명(學名) : Zea mays L.
- 영명(英名) : Maize, corn
- 한명(韓名) : 포곡(苞穀), 포미(包米), 옥미(玉米) 등
2) 옥수수의 기원 및 전파
옥수수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Columbus일행이 쿠바섬에 도착시(1492년. 11. 5) 이미 남북아메리카 전역에 재배되고 있었으며, 스페인으로 가져가 그후 유럽을 비롯한 전세계에 널리 퍼졌다. 우리 나라에는 16세기 이후에 전래되었으며, 강원도 등 산간지역의 중요한 식량으로 이용되어 왔다.
3) 옥수수의 품질 및 용도
옥수수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인데 대부분이 녹말이며, 단백질과 포도당이 조금 들어 있다. 옥수수에는 녹말이 많고 그 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녹말만을 뽑아서 술을 만들거나 과자, 빵, 콘 후레이크 및 크림 스프 등으로 많이 먹는다. 최근에는 중숙기의 옥수수를 통조림으로도 유통되고 있으며, 곡실은 사료용으로 가장 많이 소모되고, 청예사료(풋베기용 사료)로 많이 재배되기도 한다.
통조림 및 삶거나 구워 먹는 옥수수는 사료용 품종과는 달리 당분함량이 높은 단옥수수나 초당옥수수 품종을 재배한다. 사료용 옥수수는 잡종강세를 이용한 F1품종을 주로 재배하며, 최근 생명공학 기술에 의한 병충해와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진유전자 변형 옥수수 품종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
옥수수의 소화율을 보면 중숙기의 것을 삶거나 구워 먹으면 약 30% 가량 밖에 되지 않으며, 가루를 내어 먹게 되면 80-90%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옥수수 수염(암술)은 한방에서 이뇨제로 방광염, 신장염과 당뇨병에 효능이 인정되어 있다.
§4. 주요 식량자원
4. 감자
감자는 원산지가 미국대륙으로 남미의 안데스 산맥에서 잉카족이 재배하다 유럽으로 건너간 것이 16세기이다. 그 후, 오랜 세월 뒤에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육식을 주로하는 나라에서는 주식으로 이용될 만큼, 맛이 담백하고 조리법도 다채로와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들이 나와 있다. 전세계적으로 약 3억톤 정도가 생산된다.
1) 감자의 명칭
- 학명(學名) : Solanum tuberosum L.
- 영명(英名) : Potato
- 한명(韓名) : 마령서(馬鈴薯), 토감저(土甘藷) 등
* 감자, 고구마를 모두 서류(薯類)라고 부르기도 한다. 재배종 감자는 4배체이고 고구마는 6배체 작물이다.
2) 감자의 기원 및 전파
감자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계, 즉 칠레의 중북부로 16세기 스페인 정복군에 의해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우리나라에는 1832년 만주 간도지방에서 보입되었다는 설과 1832년 영국상선 Lord Amberst호가 우리나라에
  • 가격3,000
  • 페이지수92페이지
  • 등록일2009.03.0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