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사회 족보 준비 답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교과의 개념은 무엇인가. 또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교과라고 보는가.

2.초등학교 ‘사회’는 교과의 개념이 규정하고 있는 속성들, 교과라면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잘 갖추고 있는가.

3.우리나라의 사회와 교육에서 길러 내고자 하는 ‘민주시민’이란 어떤 사람을 의미하는가.

4.초등 사회과 내용선정기준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에대한 자신의 생각은 어떠한가?

본문내용

라면 두 번째이다. 교육이라는 것도 결국은 국가의 우수인력을 키울려는 목적이다. 양과 질을 둘 다 만족해야 하는 딜레마가 있지만 초등교육은 그 양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의무교육이 되었다. 그래서 대한민국국민이라면 다른건 몰라도 초등교육만은 받아야 하기에 기본이 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회의식에 관한 가치관을 세워주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라고 생각한다.
학습자의 흥미와, 앎 에 관한 것들도 물론 중요하지만 사회생활하면서 정작 필요하고 공공의 입장에서 생각해 봤을 때도 질서있게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사회국가적 기준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얼마전에 티비 프로그램을 보았는데 중고등학교 도덕교과서가 국가에 충실한 노예를 양성한다는 토론이었다. 물론, 나도 한때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지만 그건 교과서이기 때문에 늘 도덕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과에서 옮은 행동의 결과를 공공의 이익을 향해서 나아가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게 틀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은 그렇게 배워야 한다. 그래서 나중에 교과서가 너무 이상적이라고 자기 스스로가 깨달아서 회의감이 들지라도 교과서는 교과서이기 때문에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 한다던지, 사회국가에 대해서 헌신적이어야 한다는 가치체계를 지녀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고등학교 교과서가 그럴진데
정말 백지에서 가치관을 만들어 나가는 초등학교 때는 더 조심스러우면서도 명확하게 정의 되어야 한다고 본다. 공공에 우호적인 생각과 행동을 유도하는 내용을 담아서 어떤 것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가치체계를 세워주는 것이 초등사회의 목표라고 생각하기에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0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