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마약의 정의
아편
1) 정의
2) 역사적 배경
3) 화학적 고찰
4) 아편의 남용에 의한 신체적 영향 및 의학적 문제
모르핀
1) 정의 및 구조
2) 역사적 배경
아편
1) 정의
2) 역사적 배경
3) 화학적 고찰
4) 아편의 남용에 의한 신체적 영향 및 의학적 문제
모르핀
1) 정의 및 구조
2) 역사적 배경
본문내용
한다. 또한 진정작용 (鎭靜作用)도 있어서 외상성 쇼크, 내출혈, 울혈성심부전(鬱血性心不全)과 무기력 상태(예를 들어 장티푸스에 걸렸을 때처럼)에서 몸이 탈진되지 않게 해준다. 신속한 약효 발현을 위해서 대부분 주사하나 경구투여해도 효과가 있다. 쾌감유발작용과 더불어 호흡기계·순환기계·위장관 등에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며 구토와 우울증도 일으킨다. 가장 큰 단점은 탐닉성 약물이라는 점이다. 모르핀은 쾌감유발능이 높은 헤로인으로 전환되며, 탐닉성이 극히 강해 이 약물의 제조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모르핀 유도체로는 진통작용이 있는 에틸모르핀·디히드로코데이논·디히드로모르피논이 있으며, 구토작용이 있는 아포모르핀이 있다. 모르핀의 화학구조는 1920년대 J. M. 걸런드와 R. 로빈슨이 제안했으며, 그뒤 1952년 M. 게이츠와 G. 추디가 합성에 성공함으로써 재확인되었다. 모르핀 대신 사용되는 합성마약으로는 메페리딘·메타돈·펜타조신 등이 있다. 모르핀의 원료가 되는 아편은 양귀비(Papaver somniferum)의 덜 익은 열매에서 추출한 유즙을 건조시켜 얻으며, 무색 결정 또는 흰색 결정성 분말이다.
<모르핀에서 나온 것들>
코데인(codeine) : [메틸-모르핀]
아편이 보유하고 있는 다른 알칼로이드 성분. 1832년 발견되었다.진통작용은 모르핀보다 떨어지나 독성이 적고 진정, 진통, 기침약으로 효험이 있으나 반복 또는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위험을 수반한다. 의약용으로 인산코데인, 인간히드로 코데인 등이 있다.
양귀비 미숙과의 즙(아편)에서 얻어지는 알칼로이드이다. 코데인은 장운동 억제작용을 하기 때문에 위경련에 사용되며 설사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다량을 복용하면 반대로 흥분효과를 가져오므로 적절한 복용량이 중요하다. 코데인은 약간의 의존성만을 야기하는 약물로 간주되어 널리 처방되는 약물이기도 하다. 대개 코데인은 기침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코푸시럽에 첨가되며 이 코데인이 함유된 코푸시럽이 진정과 최면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구루테지마니드, 비르비탈류, 메프로바메이트와 병용 사용되어 도취효과를 상승시킨다.
<코데인의 구조> <헤로인의 구조>
헤로인(heroine) : [디아세틸-모르핀]
1898년 독일의 바이엘사에서 발매할 때의 상품명이며, 진해제로 사용된 것이 시초였다. 모르핀이나 아편에 비하면 반응이 늦게 일어나지만 덜 최면적이며 5배 이상의 중독성을 가지고 있다. 독성이 강하며 중독에 빠지기 쉽고 호흡기관을 마비시키며 금단현상도 심하다. 서부의 마약 중독자 대부분은 헤로인중독자라고 한다. 증상으로 마비, 비정상의 수면 상태, 정신적 공허감을 가져오며 일반 반응 후 특별히 깊은 수면상태가 뒤따르게 된다. 중독자의 경우 결핵, 파상풍, 탈저정, 패혈증에 걸릴 가능성이 있고 급성 중독일 경우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금단증상으로 불안, 불만, 고민, 침울 등의 정신적 증세와 구토, 설사, 발열 치료가 나타나고 식욕부진, 맥박급박, 정신부진이 되어 심신으로 쇠약하게 되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모르핀에서 나온 것들>
코데인(codeine) : [메틸-모르핀]
아편이 보유하고 있는 다른 알칼로이드 성분. 1832년 발견되었다.진통작용은 모르핀보다 떨어지나 독성이 적고 진정, 진통, 기침약으로 효험이 있으나 반복 또는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위험을 수반한다. 의약용으로 인산코데인, 인간히드로 코데인 등이 있다.
양귀비 미숙과의 즙(아편)에서 얻어지는 알칼로이드이다. 코데인은 장운동 억제작용을 하기 때문에 위경련에 사용되며 설사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다량을 복용하면 반대로 흥분효과를 가져오므로 적절한 복용량이 중요하다. 코데인은 약간의 의존성만을 야기하는 약물로 간주되어 널리 처방되는 약물이기도 하다. 대개 코데인은 기침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코푸시럽에 첨가되며 이 코데인이 함유된 코푸시럽이 진정과 최면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구루테지마니드, 비르비탈류, 메프로바메이트와 병용 사용되어 도취효과를 상승시킨다.
<코데인의 구조> <헤로인의 구조>
헤로인(heroine) : [디아세틸-모르핀]
1898년 독일의 바이엘사에서 발매할 때의 상품명이며, 진해제로 사용된 것이 시초였다. 모르핀이나 아편에 비하면 반응이 늦게 일어나지만 덜 최면적이며 5배 이상의 중독성을 가지고 있다. 독성이 강하며 중독에 빠지기 쉽고 호흡기관을 마비시키며 금단현상도 심하다. 서부의 마약 중독자 대부분은 헤로인중독자라고 한다. 증상으로 마비, 비정상의 수면 상태, 정신적 공허감을 가져오며 일반 반응 후 특별히 깊은 수면상태가 뒤따르게 된다. 중독자의 경우 결핵, 파상풍, 탈저정, 패혈증에 걸릴 가능성이 있고 급성 중독일 경우 호흡곤란으로 사망하게 된다. 금단증상으로 불안, 불만, 고민, 침울 등의 정신적 증세와 구토, 설사, 발열 치료가 나타나고 식욕부진, 맥박급박, 정신부진이 되어 심신으로 쇠약하게 되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