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간 본성에 관한 학설
◎ 동양 윤리 사상
◎ 공자의 윤리사상
◎ 맹자의 윤리사상
◎ 순자의 윤리사상
◎ 장자의 윤리사상
# 불교 윤리사상
◎ 주자의 윤리사상
◎ 왕양명(명)의 윤리사상
◎ 청대 유학사상
◎ 노장 사상의 전개
◎ 불교 사상의 전개
◎ 소피스트 vs 소크라테스
◎ 플라톤의 윤리사상
◎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
◎ 동양 윤리 사상
◎ 공자의 윤리사상
◎ 맹자의 윤리사상
◎ 순자의 윤리사상
◎ 장자의 윤리사상
# 불교 윤리사상
◎ 주자의 윤리사상
◎ 왕양명(명)의 윤리사상
◎ 청대 유학사상
◎ 노장 사상의 전개
◎ 불교 사상의 전개
◎ 소피스트 vs 소크라테스
◎ 플라톤의 윤리사상
◎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
본문내용
3. 致良知說(치양지설)
→ 인간이 본래적인 순수성 유지 : 순선의 경지에 도달
* 주자학 vs 양명학
주자학(성즉리설)
- 도덕적 실천 + 이론적 탐구 (先知後行(선지후행))
양명학(심즉리설)
- 一心二良知 ⇒ 致良知(치양지)
一知行合一
◎ 청대 유학사상
- 송 명대의 유학 사상 비판
: 인간의 도덕성 문제에만 치우쳐 현실 생활을 무시
- 실학사상 등장
◎ 노장 사상의 전개
1. 황로학파
- 전설적인 황제와 노자를 수상
- 청정무위의 삶을 중시
- 유가, 법가, 명가, 묵가 사상 등 수용
2. 오두미교
- 도가사상 → 도교로 종교화
- 믿음 : 질병이 낮고, 신선
3. 철학
- 노 장 사상을 철학적으로 계승
- 현실세계 : 고정관념이 만들어낸 세계
참다운 세계 : 현실 세계를 초월한 절대 불변의 ‘無’의 세계
◎ 불교 사상의 전개
불타 소승불교 : 엄격한 종교성 +개인적 해탈 중시
대승불교 : 엄격한 종교성 +개인적 해탈 중시 +대중구제
교종 - 교리, 계율 중시
선종 - 교종의 방법 비판, 깨달음을 중시
돈오(頓悟)
우리가 본래 하나요, 본래 부처임을 직관하는 것
◎ 소피스트 vs 소크라테스
1. 공통점(업적) : 철학의 관심사를 인간과 사회로 돌려 놓음
2. 소피스트의 윤리 사상
1) 변론술과 수사학을 가르침
- 지혜로운 자, 현명한 자
2) 인간 이성 → 보편적, 절대적 진리를 파악 ×
: 회의주의적 입장
3) 가치 판단의 기준 : 인간의 감각적 경험과 개인적 유용성
⇒ 궤변론자
4) 주관적 회의적 상대적 진리관 윤리관 인간관
5) 대표자 : 프로타고라스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
3. 소크라테스의 윤리사상
1) 소피스트들의 상대주의적 회의주의적 진리관 부정
2) 인간 - 보편적 이성 → 절대적 진리 인식
(이성 존중하는 전통 수립)
3) 知行合一說(지행합일설) - 이성 - 참된진리파악 → 실천
4) 知德福合一說(지덕복합일설)
참된진리 → 실천하는 것 : 德(덕) , 덕스런 활동 → 행복
知 = 德 德 = 福
⇒ 객관적 보편적 절대적 진리관, 인간관, 윤리관
5) 惡德(악덕) = 無知(무지)의 산물 ⇒ 무지의 자각을 강조
6) 무지의 자각 - ‘너 자신을 알라’
- 문답법, 대화법(산파술)
◎ 플라톤의 윤리사상
1. 소크라테스의 知行合一, 知德福合一 이어 받음.
2. 이원론적 세계관
현상세계(현상계) - idea세계를 불완전하게 묘사
- 허상(그림자)의 세계
idra(이데아)의 세계(idea계) - 실재하는 참다운 세계
- 이성적으로 인식
최고의 idea : 善(선)의 idea
3. 참된 삶 : 선의 idea를 모방하여 실제 생활에서 실현하는 삶
4. 4주덕 : 지혜, 용기, 절제 ⇒ 정의
⇒ 자아실현
지혜
용기
절제
육체
머리
가슴
배, 팔, 다리
영혼
이성
기개
욕망
국가 사회 계급
통치자
방위계급
생산계급
* 4주덕
5. 哲人政治論(철인정치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
1. 일원론적 세계관
- 감각적으로 경험되는 현실 세계만이 참다운 세계
2. 주지주의 +주의주의 가미함
소크라테스, 플라톤 ; 知(지) → 行(행) 지행합일 → 주지주의적 입장
아리스토텔레스 ; 知 → 行(×) : 주지주의 +주의주의 가미
↑실천의지(선의지)
3. 인생의 궁극적 목적 : 행복
4. 덕 지성적인 덕 - 진리를 인식하는 덕
풍성적인 덕 - 정욕을 억제하는 덕
5. 중용 ; 이성에 의해 인간의 본능, 정욕, 감정 등을 억제하여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의지를 습관화한 덕(=중용의 덕)
- 모자라지도 치우치지도 않는 덕
- 산술적인 중간은 아닌 것
- 중용의 덕의 ex)
6.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 개인윤리 + 국가 사회 윤리 결부
→ 인간이 본래적인 순수성 유지 : 순선의 경지에 도달
* 주자학 vs 양명학
주자학(성즉리설)
- 도덕적 실천 + 이론적 탐구 (先知後行(선지후행))
양명학(심즉리설)
- 一心二良知 ⇒ 致良知(치양지)
一知行合一
◎ 청대 유학사상
- 송 명대의 유학 사상 비판
: 인간의 도덕성 문제에만 치우쳐 현실 생활을 무시
- 실학사상 등장
◎ 노장 사상의 전개
1. 황로학파
- 전설적인 황제와 노자를 수상
- 청정무위의 삶을 중시
- 유가, 법가, 명가, 묵가 사상 등 수용
2. 오두미교
- 도가사상 → 도교로 종교화
- 믿음 : 질병이 낮고, 신선
3. 철학
- 노 장 사상을 철학적으로 계승
- 현실세계 : 고정관념이 만들어낸 세계
참다운 세계 : 현실 세계를 초월한 절대 불변의 ‘無’의 세계
◎ 불교 사상의 전개
불타 소승불교 : 엄격한 종교성 +개인적 해탈 중시
대승불교 : 엄격한 종교성 +개인적 해탈 중시 +대중구제
교종 - 교리, 계율 중시
선종 - 교종의 방법 비판, 깨달음을 중시
돈오(頓悟)
우리가 본래 하나요, 본래 부처임을 직관하는 것
◎ 소피스트 vs 소크라테스
1. 공통점(업적) : 철학의 관심사를 인간과 사회로 돌려 놓음
2. 소피스트의 윤리 사상
1) 변론술과 수사학을 가르침
- 지혜로운 자, 현명한 자
2) 인간 이성 → 보편적, 절대적 진리를 파악 ×
: 회의주의적 입장
3) 가치 판단의 기준 : 인간의 감각적 경험과 개인적 유용성
⇒ 궤변론자
4) 주관적 회의적 상대적 진리관 윤리관 인간관
5) 대표자 : 프로타고라스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
3. 소크라테스의 윤리사상
1) 소피스트들의 상대주의적 회의주의적 진리관 부정
2) 인간 - 보편적 이성 → 절대적 진리 인식
(이성 존중하는 전통 수립)
3) 知行合一說(지행합일설) - 이성 - 참된진리파악 → 실천
4) 知德福合一說(지덕복합일설)
참된진리 → 실천하는 것 : 德(덕) , 덕스런 활동 → 행복
知 = 德 德 = 福
⇒ 객관적 보편적 절대적 진리관, 인간관, 윤리관
5) 惡德(악덕) = 無知(무지)의 산물 ⇒ 무지의 자각을 강조
6) 무지의 자각 - ‘너 자신을 알라’
- 문답법, 대화법(산파술)
◎ 플라톤의 윤리사상
1. 소크라테스의 知行合一, 知德福合一 이어 받음.
2. 이원론적 세계관
현상세계(현상계) - idea세계를 불완전하게 묘사
- 허상(그림자)의 세계
idra(이데아)의 세계(idea계) - 실재하는 참다운 세계
- 이성적으로 인식
최고의 idea : 善(선)의 idea
3. 참된 삶 : 선의 idea를 모방하여 실제 생활에서 실현하는 삶
4. 4주덕 : 지혜, 용기, 절제 ⇒ 정의
⇒ 자아실현
지혜
용기
절제
육체
머리
가슴
배, 팔, 다리
영혼
이성
기개
욕망
국가 사회 계급
통치자
방위계급
생산계급
* 4주덕
5. 哲人政治論(철인정치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
1. 일원론적 세계관
- 감각적으로 경험되는 현실 세계만이 참다운 세계
2. 주지주의 +주의주의 가미함
소크라테스, 플라톤 ; 知(지) → 行(행) 지행합일 → 주지주의적 입장
아리스토텔레스 ; 知 → 行(×) : 주지주의 +주의주의 가미
↑실천의지(선의지)
3. 인생의 궁극적 목적 : 행복
4. 덕 지성적인 덕 - 진리를 인식하는 덕
풍성적인 덕 - 정욕을 억제하는 덕
5. 중용 ; 이성에 의해 인간의 본능, 정욕, 감정 등을 억제하여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의지를 습관화한 덕(=중용의 덕)
- 모자라지도 치우치지도 않는 덕
- 산술적인 중간은 아닌 것
- 중용의 덕의 ex)
6.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 개인윤리 + 국가 사회 윤리 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