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사상가 존 듀이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 교육사상가 존 듀이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사상가 John Dewey

본문내용

. 이러한 그의 시도와 진보주의 교육철학은 미국은 물론 세계 교육사조에 큰 전환을 가져왔다.
4.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김태길, 『존 듀이의 社會哲學』, 명문당, 1990, pp242-244
근대화 및 민주화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 듀이의 교육 학설은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하여도 일깨워 주는 바가 적지 않다. 현재 한국에 있어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 제도는 형식상으로는 미국의 제도를 본받은 것이며, 그 내용에 있어서는 일본의 교육을 모방한 점이 적지 않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학교교육을 미국의 교육과 일본의 그것의 좋은 점을 비판적으로 종합한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오히려 그것은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것을 무원칙하게 혼합했음에 가깝다. 교육의 근본에 대한 뚜렷한 이념을 갖지 못했다는 것이 한국 교육의 가장 큰 결함이라 하겠다.
자유와 해방이 강조되는 물결과 때를 같이하여, 미국의 ‘새 교육’ 사상의 물결이 미국의 정치적 영향력의 후원을 받고 밀려들었다. 미국의 ‘새 교육’사상이 근간(根幹)을 이룬 것은 듀이의 교육 이론이었으므로, 듀이의 사상 가운데서 그 교육에 관한 부분이 간접적으로나마 한국에 소개된 셈이다. 그러나 ‘새 교육’의 운동을 통하여 듀이의 교육 이론이 올바로 들어온 것은 아니다. 한국의 사정에 어두운 미국의 전문가와 미국적인 교육학에 대한 기초가 박약한 한국의 교육 공무원을 통해 수입된 ‘새 교육의 지식은 대체로 피상적인 것이었다. 미국에 있어서도 왜곡되기 쉬웠던 듀이의 교육이론이 올바로 반영될 수는 없었으며, 그 교육론 가운데서 피교육자의 자주성을 강조하는 아동중심주의(兒童中心主義)의 일면만이, 자유와 해방을 구가하는 풍조 속에서 목마르게 흡수되었을 뿐이다.
교육은 주입식으로 할 것이 아니라 학생 자신의 적극적인 활동과 사유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론이나, 교육의 내용은 우리의 사회 현실에 밀접해야 한다는 이론도 한때 우리나라 교육 실천에 다소나마 반영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한국의 학교 교육을 크게 개혁하기에 성공할 때까지 오래 가지 못하고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입학시험 준비라는 보다 촉박한 필요에 물려서, 피상적인 이해를 통해서나마 시험되기 시작했던 한국의 ‘새 교육’ 운동은 언젠지 모르는 사이에 전체가 흐지부지되고 만 것이다.
오늘날, 한국의 교육은 일본교육의 나쁜 점과 미국교육의 나쁜 점을 골라서 혼합한 것 같은 일면이 있다. 즉, 한갓 시험 준비 과정으로 떨어지고만 한국의 학교 교육은 그 가르치는 내용으로 말하면 ‘객관식’ 문제를 풀기에 적합한 토막 지식이고, 그 교수 방법으로 말하면 철저한 주입식이다. 그리고 저 ‘객관식’ 시험 방법을 우리는 미국에서 배웠으며, 이 주입식 교육방법은 우리는 일본에서 배웠던 것이다.
현재의 한국의 교육은 근본적인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그 개혁의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서 우리는 듀이의 교육이론에서 배울 바가 많을 것으로 안다. 특히 개인의 성장과 사회의 진보를 아울러 성취하려는 그의 교육 이념이 우리의 주목을 끈다. 그리고 교육은 직접적으로 주입하기를 꾀할 성질의 것이 아니라 환경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그의 주장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5. 듀이의 교육관에 비추어 본 나의 교육관
듀이는 아동과 성인의 단순비교를 부적절한 것으로 본다. 아동과 성인의 차이를 본질적, 절대적 차이로 규정하여 아동에게 적합한 교육 즉, 아동중심교육을 표방한다. 학습자의 눈으로 그들에게 교육의 여건과 과정,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야 말로 참교육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은 학습자가 원하는 교육목적, 교육방법에 따라 교육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최대한의 발판을 마련해주는 행위라 생각한다.
역사의 흐름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은 서로 다른 얼굴을 하고 우리에게 다가왔다. 교육사를 돌이켜 볼 때 교육의 목적이나 방법 등에서 사회적 목적이나 힘의 원리가 반영되는 측면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교육이 도구가 되어 어떠한 다른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쓰인 경우를 볼 때, 현대사회의 교육의 장의 한복판에 서 있는 나는 나의 교육철학 및 교육관을 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현재까지 많은 교육을 받아가면서 진리라 여기고 믿었던 것은 ‘교육은 절대적으로 학습자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공감하는 내용일 것이다. 우리의 교육과정은 교육의 내재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함이 아닌 입시의 관문, 취업의 발판으로 변모되어 있다. 교육의 동기는 경제력, 사회적 지위를 위한 방편으로 전락했으며, 그 어디에도 학습자들의 내재적 동기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많은 교육적 문제의 원인은 교육철학이 부재한 교육행정 및 교육과정이 이루어진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전론한 바와 같이 교육은 궁극적으로 학습자 중심이어야 한다. 즉 학교교육의 주 학습 대상인 아동, 청소년들이 원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교육의 목적과 형태, 방법에 있어 미성숙한 아동이나 청소년이 원하는 무분별한 방임교육은 절대적으로 배제되어야 한다. 학습자의 발달 특성에 적합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를 발현시킬 수 있을 것이며, 교육의 내재적 목적에 맞는 교육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한 나라의 미래를 점쳐보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을 보면 된다고 한다. ‘우리의 교육은 어디에 서 있고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라는 교육목적과 방향에 대한 질문에 교육의 길에 서 있는 우리는 아동중심의 교육.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목표를 정하고 나아갈 때 참교육을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자발적인 학습자가 이끌어가는 우리의 밝은 미래를 점쳐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김태길, 『존 듀이의 社會哲學』, 명문당, 1990
S. N. 『워턴, 존 듀이의 哲學과 그의 主著』, 양서원, 1990
손인수, 『교육사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1996
박의수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04
R. J. 번스타인 저/정순복 역 『존 듀이 철학 입문』, 1995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2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