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인과상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상인과상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중국상인의 기원과 형성
2. 상방의 기능과 의미

Ⅱ.본론
1. 중국상방의 특징
1)자본과 상업 규모에 따른 분류
2) 상인의 신분에 따른 분류
3) 상인의 도덕 수준에 따른 분류
4) 조직의 정도에 따른 분류
2. 상방의 호칭
3. 대표적인 10대 상방과 종류
4. 중국 상인과 권력의 관계

Ⅲ.결론.

본문내용

급계층으로 구성됐고 각양각색의 직업에 종사한 경험이 있는 상인들이였는데 도적 겸상인, 관리 겸 상인, 학문을 버리고 상인이 된 사람, 관직을 버리고 상인이 된 사람등이 있었다. 유형은 크게 해상아상 및 국내 원거리 운송판매 도매상으로 나뉜다. 광둥 상장의 상업 자본은 유통 분야에서 부단한 축적과 증식 과정을 거친 뒤 산업 자본, 토지 자본, 고리대 자본, 관료 자본 및 종족자산으로 발전되었다.
7) 푸젠(복건) 상방
해상위주로 발전했고 진당시대에 처음 발생하였다. 해상이 위주였고 참여 계층이 다양했다. 반강도 겸 반상인이 무장무역의 형식으로 나타났는데 내외가 결탁하여 밀무역을 했다. 상인 집단과 향족세력이 결합했으며, 해상무역과 해외 이주가 상호 촉진되었다. 그래서인지 왜구와 한패가 되어 동남 연해 지역을 노략질한 부끄러운 과오와 멍에를 안고 있다.
8)둥팅(동정) 상방
명 가정만력 연간에 타이후중 둥팅동산과 둥팅서산에서 형성된 집단이다.
주로 일반 백성들이 대량 소비하는 상품을 취급했으며 시세에 따라 변화하는 개척 정신을 지녔다. 경영 방식으로믐 독자독영, 및 합자경영 등 3종 방식을 취했다.
9) 장유(강성) 상방
장유 상방은 일종의 습관적인 호칭이고 실제는 장시 상인, 즉 간상을 가리킨다.
명청시대의 장유 상방은 장시의 자연 경제 구조 안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하였다.시는 북송남송 시기의 전국 경제문화의 선진 지역으로, 인구가 많고 물산이 풍부했다. 명대 장유 상방의 발생은 장시 유민운동의 산물이었고, 동시에 장시 유민의 특징을 반영한다. 자본이 분산되었고 가난한 상인 많았으며 주로 집안이 가난하여 상업에 종사했거나 학문을 버리고 상업을 경영하거나 부업을 계승한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장유 상방의 형성은 유민운동과 결합된 것이었기에 대량의 유민 중 많은 사람들이 상업에 종사했다. 주로 개별 경영을 위주로 했다.
장시 상인 대부분 생계를 위해 할 수 없이 장사를 한 경우이기 때문에 돈을 좀 벌었다하면 확대 재생산에 투자하기보다는 장사를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가정 생활을 유지개선하는데 돈을 사용했고, 그 나머지는 조상의 사당을 건립수리하거나 족보를 발간하거나 종족의 재산을 불리거나 이재민을 구제하거나 학교를 세우거나 다리를 세우거나 하는 등 지역과 종족을 위해 사용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소멸되었다.
10) 룽유 상방
룽유 사방은 룽유라는 하나의 현 이름을 붙였지만 실제는 저장성 취저우부 관할 시안창산카이화장산룽유 등 5개의 현의 상인을 포함한다. 이 중 룽유 상인이 수적으로 가장 많고 경영수단이 가장 뛰어났기 때문에 룽유라고 명명한 것이다.
룽유 상방은 남송 때에 시작되어 명대 중엽에서 아편전쟁 전후까지 가장 번성했으며, 상방의 규모는 작지만 경영 범위는 넓었다. 또한 자금을 생산 사업의 경영으로 전이시켜 ‘산업자본화’하였다. 문화교육을 중시했으며 룽유 상인 중에는 서적상이 가장 유명했다.
4. 중국 상인과 권력의 관계
일반적으로 중국 상인의 위상은 사대부농민공인의 아래인 말석이었다. 물론 어느 시기 어느 상황에서는 상인이 중시됐지만 그것은 일시적이었고 시간적으로도 짧았다. 이렇게 위상이 약화된 상인들은 어려운 조건하에서 돈을 벌어 자신의 신분을 향상시키거나 자신의 상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권력과의 결합연계를 추구해 왔다.
1) 상인에 대한 권력의 통제
권력과 관련하여 상인이 직면했던 문제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황권주의의 통제와 경시이다. 이러한 통제와 경시는 주로 황권으로 대표되는 통치자가 종종 상인의 발전에 불리한 상업정책을 시행하는 경우 나타난다.
둘째, 관리의 압박과 착취이다.관부의 상인에 대한 압박은 중국에서 전통적인 것이다. 상인에 대한 세금 징수가 과중했고 상인에게 현금과 물품의 기부를 빈번히 요구했으며 상인에게 이재민 구호와 군사비 원조를 요구했으며 상인을 이유없이 강탈하기도 했다.
셋째, 시정무뢰한들의 소요이다. 역대로 상인을 침해한 것은 관리 이외에도 사회적으로 하는 일이 없이 빈둥거리는 무리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대부분 깡패로 싸움질에 일가견이 있었고 부유한 상인들의 재물을 약탈하면 생활에 큰 보탬이 되기 때문에 종종 상인들을 공격했다.
2) 상인의 권력에 대한 견제
첫째, 관직을 사고 작위를 구한다.
상인이 돈을 써서 관직을 사고 작위를 구하는 목적은 사대부 사회에 진입하여 정치세력의 일원이 되고자 함이다. 국 성어에서 ‘홍도의 일’이라 하면 관에서 관작을 팔아 재물을 마련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관직을 살 수 있는 사람의 대부분은 돈이 많은 상인었다.
둘째, 관원을 매수하여 죄를 소멸시킨다.
상인의 돈은 법률의 존엄을 무색하게 만들 수 있었다. 관원을 매수하면 유죄를 무죄로 바꿀 수 있고, 무죄를 잘못 처리하면 유죄로 변할 수 있었다.
셋째, 관리를 매수하여 돈을 번다.
상인이 금전을 써서 관원을 매수하는 목적은 권력을 빌어 돈을 벌고 관원으로 하여금 자기를 위해 일하고 말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전통 사회에서는 매우 보편적이었지만 그 해독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장경제하에 일부 공복들도 금전을 숭배하기 시작했고, 향락을 탐내 국법을 어기고 불법 상인의 포로가 되어 돈 앞에서 패배자가 되었으며, 불법 상인들은 공복의 약점을 이용해 적지 않은 돈을 벌었다.
Ⅲ.결론
중국에서는 상인이란 말을 꺼내면 “상인 치고 간사하지 않은 상인은 없다.”라는 말을 한다고 한다. 중국에서 10대 상방은 중국경제를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도 있을 만큼 중국에서의 상인의 영향력 또한 큰것 같다.
상인이라고 한다면 그냥 물건을 팔기만 하는 정도로밖에 생각하지 않았는데 역사적 노하우가 담긴 중국 상인들의 지략과 배포는 배울만 하다고 생각한다. 중국이 현재의 모습이 있기까지는 상방들의 지혜와 정신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우리 경제에도 중국 상방들의 성공 정신을 배운다면 발전해가는 중국보다 더 많은 발전을 거듭해 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박병석 『중국 상인 문화』,
김장호, 『중국상인, 그 4천 년의 지혜』,
서갑성이성민김종득 『중국 비즈니스문화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18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