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도시험
1. 경도의 정의
1) 경도와 강도의 차이
2) 경도시험의 목적
3) 경도시험편의 준비
4) 경도시험의 목적
5) 실험 결과
6. 시험 후 느낀 점
7. 참고문헌
1. 경도의 정의
1) 경도와 강도의 차이
2) 경도시험의 목적
3) 경도시험편의 준비
4) 경도시험의 목적
5) 실험 결과
6. 시험 후 느낀 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힘은 20kg 이상이어야 한다.
압흔은 작더라도 한번 타격된 부분은 가공경화된다. 따라서 동일 부분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해서는 안되며 인접하는
자국과의 간격은 자국의 직경의 2배 이상이어댜 한다.(압흔의 직경은 0.3~0.6mm 정도이다)
측정상의 잘못이 있다고 생각되는 점을 제외한, 5회 이상의 평균값을 취하여 그 재료의 경도로 한다.
경도의 표시는 기준편의 기준 경도를 읽어 들일 때는 소수 제 1자리까지 읽고 일반적인 경우는 0.5단위로 읽는다. 그리고 5개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예 : Hs 25.6(측정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경우는 HsC 25.6, HsD 51.3과 같이 쓴다)
평균값을 구하여 읽는 상호간의 최대차가 다음의 값일 때, 경도 숫자 다음에 그 최대값 및 최소값을 병기한다.
평균 60 이상, 최대차 4.0 이상일 때
평균 30 이상, 최대차 3.0 이상일 때
평균 30 미만, 최대차 2.0 이상일 때
예 : Hs 51.5 (48.3~54.5)
침탄한 강에서는 미분탄부가 상당히 큰 시험체이면, 침탄층이 상당히 얕을 경우에도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결과가 얻어진다.
5) 실험 결과
우리2조는 steel 시편을 가지고 로크웰과 브리넬 경도 실험을 가했다. 처음에 하중 준 곳에 4d가 떨어진 위치에 찍어서 두 점의 경도수를 측정하였다. 로크웰은 하중을 가해준 뒤에 게이지가 나타내주는 것으로 값을 얻었다. 브리넬 시험에서는 한 점에 하중을 가한 후에 이것을 그림1-1 x20 확대경(1div= 0.05mm)에 가져가 확대경에 표시된 눈금으로 직경을 얻고 그 직경으로 식1-1을 참조해 경도수를 표1-2 와 같이 얻어 낼 수 있었다.
(a)브리넬 시험편 (b)로크웰 시험편 그림 1-1
식 1-1
D: 압입자의 직경(mm)
d: 압흔의 직경(mm)
p: 압입하중 (kgf)
실험종류
1차
2차
로크웰
B스케일
90.5
90.5
브리넬
174
183
표 1-2
로크웰의 표기법은 따로 없으나 브리넬 경도값 표기는 (압입자 직경/하중/시간/경도값)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위에서 얻어진 결과의 표기는 1차- (10/3000/20/183),
2차- (10/3000/20/183)으로 표기 할 수 있다.
표에서 나타나는 경도수를 보았을 때 알 수 있듯이 시험편에 표면에 따라 경도수가 다르게 나옴에 따라서 가공의 따라 표면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시험 후 느낀 점
이번 시험은 경도 시험으로써 한가지의 시편을 가지고 두 종류의 시험기로 시험을 해보았다. 시험을 하기 전에 시편의 연마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애를 먹었다. 사포로 계속 문지르면서 최대한 곱고 평평하게 연마를 해야지만 시험 결과값이 올바르게 나오기 때문에 연마 작업이 상당히 힘들었었다. 그리고 본격적인 시험 부분에서는 두 종류의 시험 중에서 특히 브리넬 시험기로 경도측정 하는 것이 굉장히 흥미로웠다. 로크웰 시험기의 경우에는 영점 맞추는 부분에서 조교님의 설명을 들었을 때는 어려운 부분으로 여겨졌었는데, 막상 실제로 해보니 그다지 어려움 없이 해결 할 수 있었다. 로크웰 시험기는 바로 눈금을 통해서 경도값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브리넬 시험기에 비교해 볼 때 편한 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전체적으로 조교님께서 설명하시는 주의사항과 시험방법 등을 잘 숙지하고 한 시험이라 이해가 쉽고, 유익한 시험이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해 경도시험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재료의 단단함의 정도를 알아내는데 중요한 시험인 것을 알았다. 경도가 강한 물질은 그 물질 분자구조 자체가 치밀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음번 시험에서도 무엇보다도 안전사고 없이 주의를 기울이고 항상 적극적인 자세로 실험에 임해서 하나라도 더 배우고 얻어 갈수 있도록 해야겠다.
7. 참고문헌
기계 재료 실험 , 통상산업부 , 부산공업대학교 기계공학과
재료시험 , 도서출판 청호 , 유흥균.유승원.이승호 공저
재료시험 입문 , 원창출판사 , 오세욱.오환섭.김상태.오환교 저자
네이버검색 - http://mecha.kyungnam.ac.kr/mecha/datas/prof/%C0%E7%B7%E1%BD%C7%C7%E8%28%B0%AD%C0%C7%B7%CF%29.pdf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ies_hty&ie=utf8&query=%EA%B8%B0%EA%B3%84%EC%9E%AC%EB%A3%8C%20%EC%8B%A4%ED%97%98
압흔은 작더라도 한번 타격된 부분은 가공경화된다. 따라서 동일 부분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해서는 안되며 인접하는
자국과의 간격은 자국의 직경의 2배 이상이어댜 한다.(압흔의 직경은 0.3~0.6mm 정도이다)
측정상의 잘못이 있다고 생각되는 점을 제외한, 5회 이상의 평균값을 취하여 그 재료의 경도로 한다.
경도의 표시는 기준편의 기준 경도를 읽어 들일 때는 소수 제 1자리까지 읽고 일반적인 경우는 0.5단위로 읽는다. 그리고 5개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예 : Hs 25.6(측정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경우는 HsC 25.6, HsD 51.3과 같이 쓴다)
평균값을 구하여 읽는 상호간의 최대차가 다음의 값일 때, 경도 숫자 다음에 그 최대값 및 최소값을 병기한다.
평균 60 이상, 최대차 4.0 이상일 때
평균 30 이상, 최대차 3.0 이상일 때
평균 30 미만, 최대차 2.0 이상일 때
예 : Hs 51.5 (48.3~54.5)
침탄한 강에서는 미분탄부가 상당히 큰 시험체이면, 침탄층이 상당히 얕을 경우에도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결과가 얻어진다.
5) 실험 결과
우리2조는 steel 시편을 가지고 로크웰과 브리넬 경도 실험을 가했다. 처음에 하중 준 곳에 4d가 떨어진 위치에 찍어서 두 점의 경도수를 측정하였다. 로크웰은 하중을 가해준 뒤에 게이지가 나타내주는 것으로 값을 얻었다. 브리넬 시험에서는 한 점에 하중을 가한 후에 이것을 그림1-1 x20 확대경(1div= 0.05mm)에 가져가 확대경에 표시된 눈금으로 직경을 얻고 그 직경으로 식1-1을 참조해 경도수를 표1-2 와 같이 얻어 낼 수 있었다.
(a)브리넬 시험편 (b)로크웰 시험편 그림 1-1
식 1-1
D: 압입자의 직경(mm)
d: 압흔의 직경(mm)
p: 압입하중 (kgf)
실험종류
1차
2차
로크웰
B스케일
90.5
90.5
브리넬
174
183
표 1-2
로크웰의 표기법은 따로 없으나 브리넬 경도값 표기는 (압입자 직경/하중/시간/경도값)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위에서 얻어진 결과의 표기는 1차- (10/3000/20/183),
2차- (10/3000/20/183)으로 표기 할 수 있다.
표에서 나타나는 경도수를 보았을 때 알 수 있듯이 시험편에 표면에 따라 경도수가 다르게 나옴에 따라서 가공의 따라 표면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시험 후 느낀 점
이번 시험은 경도 시험으로써 한가지의 시편을 가지고 두 종류의 시험기로 시험을 해보았다. 시험을 하기 전에 시편의 연마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애를 먹었다. 사포로 계속 문지르면서 최대한 곱고 평평하게 연마를 해야지만 시험 결과값이 올바르게 나오기 때문에 연마 작업이 상당히 힘들었었다. 그리고 본격적인 시험 부분에서는 두 종류의 시험 중에서 특히 브리넬 시험기로 경도측정 하는 것이 굉장히 흥미로웠다. 로크웰 시험기의 경우에는 영점 맞추는 부분에서 조교님의 설명을 들었을 때는 어려운 부분으로 여겨졌었는데, 막상 실제로 해보니 그다지 어려움 없이 해결 할 수 있었다. 로크웰 시험기는 바로 눈금을 통해서 경도값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브리넬 시험기에 비교해 볼 때 편한 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전체적으로 조교님께서 설명하시는 주의사항과 시험방법 등을 잘 숙지하고 한 시험이라 이해가 쉽고, 유익한 시험이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해 경도시험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재료의 단단함의 정도를 알아내는데 중요한 시험인 것을 알았다. 경도가 강한 물질은 그 물질 분자구조 자체가 치밀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다음번 시험에서도 무엇보다도 안전사고 없이 주의를 기울이고 항상 적극적인 자세로 실험에 임해서 하나라도 더 배우고 얻어 갈수 있도록 해야겠다.
7. 참고문헌
기계 재료 실험 , 통상산업부 , 부산공업대학교 기계공학과
재료시험 , 도서출판 청호 , 유흥균.유승원.이승호 공저
재료시험 입문 , 원창출판사 , 오세욱.오환섭.김상태.오환교 저자
네이버검색 - http://mecha.kyungnam.ac.kr/mecha/datas/prof/%C0%E7%B7%E1%BD%C7%C7%E8%28%B0%AD%C0%C7%B7%CF%29.pdf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ies_hty&ie=utf8&query=%EA%B8%B0%EA%B3%84%EC%9E%AC%EB%A3%8C%20%EC%8B%A4%ED%97%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