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의 세계)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를 비교하여 같은 점과 다른 점을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의 세계)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를 비교하여 같은 점과 다른 점을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각 신화의 내용의 정리와 비교
  1) 단군신화의 내용
  2) 동명신화의 내용
  3) 혁거세신화의 내용
  4) 수로신화의 내용
 
 2. 각 신화의 주요 신화적 요소에 대한 비교 고찰
  1) 단군신화의 주요 신화적 요소와 특징
  2) 동명신화의 주요 신화적 특징과 단군신화와의 비교
  3) 혁거세신화의 주요 신화적 특징과 단군신화 및 동명신화와의 비교
  4) 수로신화의 주요 신화적 특징과 혁거세신화와의 비교

Ⅲ. 결론 및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이지 않고 알영의 신화화가 혁거세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후대에 혁거세신화에서 모계를 제외시키고, 알영을 김씨 왕계의 모계역할로 첨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혁거세의 출생은 하늘에서 번개 빛이 내려오고, 말이 지키고 있다 사람을 보고 하늘로 올라간 것으로 보아 하늘로부터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혁거세는 천손인 것이다. 또 하나는 번개 빛이 내리비치는 신화소는 천의 뜻을 상징한다. 즉 천손인 육촌장들이 덕 있는 임금을 원하고 있을 때 하늘에서 전광이 내리비쳤으므로 이는 하늘이 육촌장들의 바램을 받아들여 뜻으로 내려줌을 의미한다. 하늘의 뜻이 인간 세상에 내려옴은 먼저 단군신화에서 그 전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알에서 나온 혁거세를 목욕시켰더니 몸에서 광채가 나고 새와 짐승들이 따라서 춤을 추고, 천지가 진동하고 해와 달이 청명해지는 등 상서로움이 나타난 것이 혁거세가 이런 상서로운 징조를 보이며 태어났기 때문에 이름을 혁거세왕이라고 이름하였는데, 이는 밝게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이라고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하늘의 뜻은 세상을 밝게 다스리는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대행자, 주관자가 바로 천손인 혁거세임을 의미한다.
혁거세가 하늘의 뜻으로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온 존재임을 생각해 볼 때, 혁거세가 사는 곳은 하늘의 뜻을 실현하는 즉 밝게 다스릴 대상인 세상임을 알 수 있다. 세상은 혁거세가 내려온 나정변을 생각하면 인간이 모여 사는 곳이 된다. 인간은 우물가 즉 식수를 중심으로 모여 살게 된다. 따라서 혁거세가 태어난 우물은 인간사회의 작은 단위라고 생각할 수 있고, 이 작은 단위들이 모여 신라라는 큰 국가사회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혁거세가 사는 곳인 나정변과 신라는 하늘의 뜻인 \'광명이세\'를 실현하는 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혁거세는 죽어서 하늘로 올라갔다 다시 7일 만에 땅으로 흩어진다. 이것은 단군이 산신이 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혁거세가 행하는 일은 우선 목욕을 하는 것이다. 혁거세신화에서는 알영도 혁거세도 모두 목욕을 하는데, 목욕은 차원의 변화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알영은 목욕을 함으로써 완전한 인간으로 변하고, 혁거세는 목욕을 함으로써 하늘이 내려준 신성을 자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혁거세가 목욕한 후에 광채가 나는 등의 상서로움이 나타난 것이다. 완전한 인간으로 변화한 혁거세가 진정 행해야 하는 일은 하늘의 뜻인 \'광명이세\'를 실현하는 것이다. 즉 혁거세는 나정변을 시작으로 신라로 연결되는 \'광명이세\'를 현실에 실현해야 하는 사명을 가진 존재인 것이다.
혁거세신화의 주요 신화적 요소를 요약하면 6촌장의 하강은 천손의 하강으로 보아 천손사상, 선민사상을 엿볼 수 있는 내용이다. 그리고 하늘의 뜻은 번개 빛을 통해 혁거세로 이어지고 다시 \'광명이세\'의 건국이념으로 이어진다. 알영을 통해서는 완전한 인간으로의 변화를 찾아볼 수 있으며, 계룡과 계림 등을 통해서는 단군신화의 곰과 관련하여 신수림, 신산 사상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알영의 탄생을 통해서는 동명신화의 유화에서 볼 수 있었던 수신, 곡모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결국 단군신화, 동명신화와 마찬가지로 모든 것의 방향성은 건국의 주체인 혁거세와 신라의 건국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수로신화의 주요 신화적 특징과 혁거세신화와의 비교
수로신화는 혁거세신화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전반부는 기존의 통치 세력들이 하늘에서 강림한 신군이 될 자를 잘 보필해서 신군으로 삼고, 성장한 혁거세가 즉위한다는 내용이다. 혁거세신화의 하강 대목을 살펴보면 6촌의 조상들과 신의 뜻을 대신하는 존재 사이에 하늘에서 비치는 빛의 형태로 메시지가 전해진다.
즉 6촌의 조상이 언덕에서 임금을 바라는 신탁을 하자, 하늘이 빛을 통해 6촌의 조상에서 임금이 될 자가 있는 곳을 알려주고 있다. 천상적 존재는 직접적으로 임금이 나타날 것이라고 알려주지 않고, 그들에게 빛을 통해 장소를 알려준다. 그리고 그들이 그 곳에 갔을 때 백마와 붉은 알을 발견하게 된다. 백마가 6촌의 조상을 보고 하늘로 올라가고, 그들은 임그을 얻게 된다. 여기에서 메시지의 소통경로를 살펴보면 6촌과 천상적 존재 사이에 직접적인 대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계시가 전달되는데, 계시 또한 언어적 형태가 아니라 빛이라는 시각적 형태로 전달된다. 메시지의 소통은 반드시 언어적인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는 바와 같이 비언어적인 형태인 빛을 통해서도 메시지가 소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천상적 존재의 뜻이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및 고찰
지금까지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의 각각의 내용을 요약해본 후, 각 신화의 같은 점 및 다른 점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주요 신화적 요소 및 특징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은 바로 천손사상, 산악(수림)사상, 광명사상 등이다. 그리고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등 모두 주인공이 하늘적 존재인 아버지, 땅적 존재인 어머니, 하늘과 땅의 합일적 존재인 아들 건국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 고대 건국신화에 있어서 그 대상은 천손사상, 산악사상, 광명사상과 천부, 지모, 건국주의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고구려 건국신화의 연구, 박유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역철학적 해석, 이선행,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윤내현, 우리 고대사, 지식산업사, 2003.
4. 이형구, 한국고대문화의 비밀, 김영사, 2004.
5. 한·중·일 신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성 비교 연구 : 창세신화와 건국시조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일,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6. 한국 건국 신화에 나타난 여성의식 고찰, 김경숙,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조동일, 구비문학 개설, 일호각, 1999.
8. 한국 신화에 나타난 소통방식, 임진영,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김화경, 한국신화의 원류, 지식산업사, 2005.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4.02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