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화
1) 신화의 정의
2) 신화의 기능
3) 신화의 특성
4) 신화의 기원과 전파
2. 한국 신화
1) 한국 신화의 자료실상
2) 한국 신화의 분류
(1) 신성성이 인지되는 범위에 따라
(2) 전승방식에 따라
3.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의 내용
1) 단군신화
2) 동명신화
3) 혁거세신화
4) 수로신화
4.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 비교
1) 신화의 공통점
(1) 건국신화의 특성
(2) 문헌신화의 특성
2) 신화의 차이점
(1) 단군신화의 특성
(2) 동명신화의 특성
(3) 혁거세신화의 특성
(4) 수로신화의 특성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신화
1) 신화의 정의
2) 신화의 기능
3) 신화의 특성
4) 신화의 기원과 전파
2. 한국 신화
1) 한국 신화의 자료실상
2) 한국 신화의 분류
(1) 신성성이 인지되는 범위에 따라
(2) 전승방식에 따라
3.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의 내용
1) 단군신화
2) 동명신화
3) 혁거세신화
4) 수로신화
4.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 비교
1) 신화의 공통점
(1) 건국신화의 특성
(2) 문헌신화의 특성
2) 신화의 차이점
(1) 단군신화의 특성
(2) 동명신화의 특성
(3) 혁거세신화의 특성
(4) 수로신화의 특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다. 이러한 단군신화는, 13세기에 쓰인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위서(魏書)』나 『고기(古記)』에서 인용했다고 하는데, 현재 이 책들이 전해지고 있지 않아 현재로서는 『삼국유사』가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삼국유사』의 기록을 원전으로 하여 단군신화를 읽어보면, 환인(桓因)의 서자 환웅(桓雄)이 여자로 변한 웅녀와 결혼해 낳은 아들이 고조선을 세우고 단군(檀君) 왕검(王儉)이 된다. 단군(檀君)이라는 이름은 제사를 지내는 나무인 당나무(檀)와 왕(君)이 결합하여 나온 이름이라고 생각되는데, 단군은 일종의 직위명이다. 단군은 우두머리를 나타낸다. 단군은 제정일치사회에서의 군장으로 한 시대를 이끄는 지도이념으로서의 원시종교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단군신화를 보면 하늘에서 하강한 천신이 비로소 나라를 열고 왕의 자리에 나아간다라는 건국신화로서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는 것, 신맞이 굿 절차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 신화와 전설의 복합체로서의 모습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늘에서 하강한 천신이란 우리나라 신화에서 자주 보이는 천손강림을 뜻한다. 특이하다고 할만한 점은 천손인 환웅이 직접 단군이 되는 것이 아니라, 웅녀를 통해 얻은 왕검이 단군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주몽신화에서도 볼 수 있는데, 천손인 해모수는 환웅과 마찬가지로 지상의 여인 유화와의 사이에서 주몽을 두고, 그 주몽이 고구려를 세우고 왕이 된다. 흔히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서로 비교하는 것도 이 유사함에 있을 것이다. 보통의 천손강림에서는, 천손이 내려와 직접 왕이 된다. 그러나 단군신화나 주몽신화의 천손은 국가의 기반을 닦을 뿐이다. 그렇다고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천손강림신화가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 여기에서 천손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의미만을 담지는 않는다. 천손이란 하늘에서 내려온 사람임과 동시에, 하늘이 인정한 사람이다. 하늘―하느님―이 인정했다는 것은 하늘의 피와 그 뜻을 받든다는 뜻도 된다. 이렇게 되면 환웅과 해모수뿐만 아니라 왕검과 주몽 역시도 천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맞이 굿 절차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은 곰과 호랑이가 환웅을 찾아가 인간이 되게 해 달라고 빌었다는 점과, 인간이 된 웅녀가 아이를 갖게 해 달라고 빌었다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조선에는 분명 단군신화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무속행사가 있었을 것이다. 그 행사를 주관하는 것이 바로 단군이다. 환웅이 지상으로 내려올 때 가지고 왔다는 천부인(天符印) 세 개나, 함께 내려온 풍백, 우사, 운사 역시 그 행사와 관련이 있다. 천부인은 검과 거울, 방울이다. 검은 봉황의 깃털, 거울은 용의 비늘, 방울은 농작, 수확물의 의미를 갖는다. 천부인은 곧 신물(神物)로, 이 신물은 단군을 모시는 제전―나라굿, 무속행사―에서 쓰이는 의식용 청동기이다. 풍백, 우사, 운사는 바람과 비, 구름의 신으로 이들을 거느리고 내려왔다는 것은 고조선이 농업경제체계를 갖추고 있었다는 뜻이 된다.
2) 동명신화
고구려(高句麗)는 부여(夫餘)에서 나왔으니, 스스로들 말하기를 선조가 주몽(朱蒙)이라고 한다. 주몽(朱蒙)의 어머니는 하백(河伯)의 딸인데 부여왕(夫餘王)에 의해서 방안에 갇히게 되었다. 햇빛에 쪼이게 되자 몸을 이끌어 피하였으나 햇빛이 다시 쫓아오는 것이었다. 이윽고 잉태하게 되어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만 하였다. 부여왕이 개한테 버렸으나 개가 먹지를 않았고, 돼지한테 버렸으나 돼지도 먹지 않았고, 길에다 버리니 마소도 피하였으며, 그 후에 들에 버리니 뭇새가 털로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었다. 부여왕이 쪼개보려고 했지만 깨뜨리지 못하고 마침내 그 어미한테 되돌려주었다. 그 어미가 물건으로 싸서 따뜻한 곳에 두니, 한 사내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오는 것이었다. 성장하게 되자 이름을 주몽(朱蒙)이라고 하였는데, 그 나라 속언으로 주몽(朱蒙)은 활을 잘 쏜다는 뜻이다.
부여인들은 주몽이 사람의 소생이 아니며 장차 다른 마음을 지닐까 하여, 왕에게 제거하라고 요청하였으나, 왕은 듣지를 않고 말을 기르도록 명령하였다. 주몽은 늘 남몰래 시험하여 어떤 말이 좋고 나쁜지를 알아, 준마는 적게 먹여서 수척하게 하고, 둔마는 잘먹여서 살찌게 하였다. 부여왕이 살찐 놈은 자기가 타고 수척한 놈은 주몽에게 주었다. 그 후에 들에서 사냥하게 되었는데, 주몽이 활을 잘 쏜다는 이유로 한 개의 화살만으로 한정하는 것이었다. 주몽은 비록 화살은 적었지만 잡은 짐승은 많았다. 부여의 신하들이 다시 살해하려고 하였다. 주몽의 어머니가 은밀히 알아차리고는 주몽에게 말하기를, \"나라가 장차 너를 해치려고 하는데, 네 재략을 가지고 사방으로 멀리 가는 게 좋겠다.\"라고 하였다. 주몽이 바로 오인(烏引) 오위(烏違) 등 2인과 함께 부여를 버리고 동남쪽으로 도망쳤다. 중도에 한 큰 물을 만나 건너려고 했지만 다리는 없고, 부여인의 추격은 매우 급하기만 하였다. 주몽이 물에게 고하여 말하였다. \"저는 태양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이온데, 오늘 도망치다가 추격병이 거의 미치려고 하니 어떻게 건너갈 수 있을는지요?\"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함께 떠올라 주몽을 위해 다리를 이루어주고는, 주몽이 건너가자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져 추격하던 기병들은 건너지 못하였다. 주몽이 마침내 보술수(普述水)에 이르러 우연히 세 사람을 보게 되었다. 한 사람은 삼베옷을, 한 사람은 승복을, 또 한 사람은 물풀옷을 입고 있었는데, 주몽과 함께 흘승골성(紇升骨城)에 이르러 마침내 거기에 거주하였다. 이름을 고구려(高句麗)라 하고, 그로 말미암아 성씨를 삼았다.
3) 혁거세신화
나정 신라건국설화에는 냇물, 우물, 버들, 박, 샘물 등 물과 계가 있는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거기에는 자줏빛 알 한 개가 있고, 말은 사람을 보더니 길게 울고는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알을 깨고서 어린 사내아이를 얻으니 그는 모양이 단정하고 아름다웠다. 모두 놀라고 이상하게 여겨 그(아이)를 동천, 삼국유사에 동천사〈東泉寺〉는 사노들〔詞瑙野〕북쪽에 있다)에 목욕 시켰더니 몸에서 광채가 나고 새와 짐승들이 따라서 춤을
2) 동명신화
고구려(高句麗)는 부여(夫餘)에서 나왔으니, 스스로들 말하기를 선조가 주몽(朱蒙)이라고 한다. 주몽(朱蒙)의 어머니는 하백(河伯)의 딸인데 부여왕(夫餘王)에 의해서 방안에 갇히게 되었다. 햇빛에 쪼이게 되자 몸을 이끌어 피하였으나 햇빛이 다시 쫓아오는 것이었다. 이윽고 잉태하게 되어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만 하였다. 부여왕이 개한테 버렸으나 개가 먹지를 않았고, 돼지한테 버렸으나 돼지도 먹지 않았고, 길에다 버리니 마소도 피하였으며, 그 후에 들에 버리니 뭇새가 털로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었다. 부여왕이 쪼개보려고 했지만 깨뜨리지 못하고 마침내 그 어미한테 되돌려주었다. 그 어미가 물건으로 싸서 따뜻한 곳에 두니, 한 사내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오는 것이었다. 성장하게 되자 이름을 주몽(朱蒙)이라고 하였는데, 그 나라 속언으로 주몽(朱蒙)은 활을 잘 쏜다는 뜻이다.
부여인들은 주몽이 사람의 소생이 아니며 장차 다른 마음을 지닐까 하여, 왕에게 제거하라고 요청하였으나, 왕은 듣지를 않고 말을 기르도록 명령하였다. 주몽은 늘 남몰래 시험하여 어떤 말이 좋고 나쁜지를 알아, 준마는 적게 먹여서 수척하게 하고, 둔마는 잘먹여서 살찌게 하였다. 부여왕이 살찐 놈은 자기가 타고 수척한 놈은 주몽에게 주었다. 그 후에 들에서 사냥하게 되었는데, 주몽이 활을 잘 쏜다는 이유로 한 개의 화살만으로 한정하는 것이었다. 주몽은 비록 화살은 적었지만 잡은 짐승은 많았다. 부여의 신하들이 다시 살해하려고 하였다. 주몽의 어머니가 은밀히 알아차리고는 주몽에게 말하기를, \"나라가 장차 너를 해치려고 하는데, 네 재략을 가지고 사방으로 멀리 가는 게 좋겠다.\"라고 하였다. 주몽이 바로 오인(烏引) 오위(烏違) 등 2인과 함께 부여를 버리고 동남쪽으로 도망쳤다. 중도에 한 큰 물을 만나 건너려고 했지만 다리는 없고, 부여인의 추격은 매우 급하기만 하였다. 주몽이 물에게 고하여 말하였다. \"저는 태양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이온데, 오늘 도망치다가 추격병이 거의 미치려고 하니 어떻게 건너갈 수 있을는지요?\"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함께 떠올라 주몽을 위해 다리를 이루어주고는, 주몽이 건너가자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져 추격하던 기병들은 건너지 못하였다. 주몽이 마침내 보술수(普述水)에 이르러 우연히 세 사람을 보게 되었다. 한 사람은 삼베옷을, 한 사람은 승복을, 또 한 사람은 물풀옷을 입고 있었는데, 주몽과 함께 흘승골성(紇升骨城)에 이르러 마침내 거기에 거주하였다. 이름을 고구려(高句麗)라 하고, 그로 말미암아 성씨를 삼았다.
3) 혁거세신화
나정 신라건국설화에는 냇물, 우물, 버들, 박, 샘물 등 물과 계가 있는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거기에는 자줏빛 알 한 개가 있고, 말은 사람을 보더니 길게 울고는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알을 깨고서 어린 사내아이를 얻으니 그는 모양이 단정하고 아름다웠다. 모두 놀라고 이상하게 여겨 그(아이)를 동천, 삼국유사에 동천사〈東泉寺〉는 사노들〔詞瑙野〕북쪽에 있다)에 목욕 시켰더니 몸에서 광채가 나고 새와 짐승들이 따라서 춤을
추천자료
월드컵이후 한국 스포츠의 개선방향
단군 신화의 의미와 단군 인식의 변천
아침의 사상과 웅녀신화 다시 읽기를 읽고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의 정치와 신화’논문 요약
[시베리아]시베리아의 지역적 개관, 시베리아의 어원학적 개념, 시베리아의 샤머니즘과 이중...
동서양의 우주 창조 신화 비교
그리스 로마 신화는 정말 특별한가
신화
단군신화와 최치원의 풍류도, 동인의식으로 본 현대 한국인의 급속한 발전 원동력
[한일]한일월드컵(2002 한일월드컵), 한일스포츠, 한일애니메이션공동제작, 한일드라마공동제...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와 분류,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다시 생각해야 할 한국교육의 신화 07. 팔방미인
[한국문학사] 금오신화 - 사랑이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