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한 자신의 생각
1. 인간행동의 유전적 영향
2. 인간행동의 유전과 환경의 상대적인 영향
3. 인간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한 생각
Ⅲ. 두 관점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자신의 생각으로 정리하여 그 논리 및 논리를 지지하는 증거를 서술
1.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한 두 관점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자신의 생각으로 정리
2. 논리 및 논리를 지지하는 증거
1) 레윈(Lewin, K)의 이론에 의한 두 이론의 공존가능성
2) 범죄자 연구(스웨덴)
3) 미네소타의 쌍생아 연구(Minnesota Identical Twins Study)
Ⅳ. 결 론
[참고 자료]
Ⅱ.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한 자신의 생각
1. 인간행동의 유전적 영향
2. 인간행동의 유전과 환경의 상대적인 영향
3. 인간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한 생각
Ⅲ. 두 관점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자신의 생각으로 정리하여 그 논리 및 논리를 지지하는 증거를 서술
1.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에 대한 두 관점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자신의 생각으로 정리
2. 논리 및 논리를 지지하는 증거
1) 레윈(Lewin, K)의 이론에 의한 두 이론의 공존가능성
2) 범죄자 연구(스웨덴)
3) 미네소타의 쌍생아 연구(Minnesota Identical Twins Study)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환경에서는 5.71배(7% 대 40%)로 많은 차이가 난다.
유전적 요인이 환경적 요인보다 약간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로 볼 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모두 한 개인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3) 미네소타의 쌍생아 연구(Minnesota Identical Twins Study)
환경과 유전의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 중에 하나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양육된 일란성 쌍생아(identical twins)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들은 유전적으로는 거의 동일하면서도 자라난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환경과 유전의 영향을 분리해 살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1980년대에 정신의학자, 심리학자, 내과 의사들이 합동으로 수많은 일란성 쌍생아들을 대상으로 각종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이 중에 각 개인의 성격(personality traits)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래의 표와 같다.
표의 오른 쪽에 있는 수치는 조사 대상자들의 각 성격이 유전적 요인에 기인하는 비율이다. 예를 들어, 1번의 성취력 55%는 개인의 성취력을 결정하는 데 유전적 요인이 39%의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유전적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 개인적 특징의 정도 (%)>
성 격 (Personal Traits)
비율
1. 성취력(Achievement) - 열심히 일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다른 일을 미룰 수 있음
39
2. 사회적 친화력(Social Closeness) - 정서적 유대를 중시하고 남으로부터 위로와 도움 받는 것을 좋아함
40
3. 자제력(Control) - 주의 깊고 합리적이며 계획성이 강함
44
4. 공격성(Aggression) - 공격적인 성향
44
5. 소외감(Alienation) - 피해의식 및 소외감이 강함
45
6. 보수성(Traditionalism) - 규칙과 권위를 존중하며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교육을 중시
45
7. 행복감(Well-being) - 낙천적이고 활달함
48
8. 몰입(Absorption) - 상상력이 강하여 쉽게 상상의 세계로 몰입되며 현실감이 부족함
50
9. 스트레스 반응(Stress Reaction) - 상처받기 쉽고 민감하며 근심이 많으며 쉽게 흥분함
53
10. 사회적 역량(Social Potency) - 남의 관심을 받기 좋아하며 지도력이 강함
54
11. 소극성(Harm Avoidance) - 위험한 것을 싫어하며 안전한 길을 택함
55
<자료 : 미네소타대학, 1990>
표에서 보듯이 조사된 인간 행동적 성격들의 절반 정도는 유전적 요인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인간성격의 정도는 대략 20-30% 정도로 나타났다. 이 결과만 놓고 보면 유전적 영향이 환경적 영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보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모두 우리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전적 요인이 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단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우리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아직도 우리가 모르고 있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인간행동에 있어서 유전적요인과 환경적 요인, 두 관점의 공존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Ⅳ. 결 론
일찍이 칸트는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자연적, 생물학적 본성은 행복을 추구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복을 추구하라 말라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보았다.
그것은 전적으로 개인적 기호와 관계되어진다.
칸트의 이러한 사고는 사회생물학을 통해서 동일하게 설명할 수가 있다.
그러나 칸트가 강조하는 것은 자연적 행복이 아니라 어떠한 행복이 가치 있는 것이며, 어떠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문제이다.
칸트에게 “도덕은 행복해지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행복이 가치가 있는 것이 되는지를 가르치는 학문에 대한 입문이다.” I. Kant, Uber den Gemeinspruch: Das mag in der Theorierichtig sein, taugt aber nicht fur die Praxis, Weischedel판 XI권, 131쪽.
인간행동에 있어서 가치 있는 행복 추구가 만일 유의미한 것이라면 우리는 옳고 그름을 가늠할 수 있는 어떤 척도를 말할 수가 있어야 한다.
칸트에게 인간행동에 있어서 도덕적 성숙이란 원칙적으로 진화와는 무관하며, 인류가 이룩해야 할 도덕적 진보와 관계한다.
이와 같이 칸트에게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도덕적 소질은 그저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환경과 연관하여 인간 스스로가 계발 육성하여 충분히 발휘되도록 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1990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부터 인간행동에 있어서 유전적입장의 생물학적 결정론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였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목표는 인간 유전자 지도의 작성이다.
현재, 유전자 지도의 초안이 마련됨에 따라 질병 유전자를 확인하여 유전병을 치료하는 길이 열리게 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사회 행동이나 정신질환에 관련된 유전자를 연구할 수가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일부 행동유전학자들은 벌써부터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하려면 먼저 유전자를 변경시켜야 된다는 우생학적 주장을 내놓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 행동에 유전과 환경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유전과 환경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따지는 일은 멀리서 들려오는 북소리가 북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연주자에 의해서인지를 분석하는 것처럼 어리석고 부질없는 짓일 것이다.
결국 본성이냐 양육이냐 하는 불필요한 논쟁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본성과 양육 둘 다 인간 행동에 필수적 요인인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1. 로버트 라이트. 2003. 도덕적 동물. 사이언스 북스
2. 매트 리들리. 2003. 본성과 양육. 사이언스 북스
3. 스티븐 핑커. 2002. 빈 서판. 사이언스 북스
4. 프랭크 설로웨이. 2008. 타고난 반항아. 사이언스 북스
유전적 요인이 환경적 요인보다 약간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로 볼 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모두 한 개인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3) 미네소타의 쌍생아 연구(Minnesota Identical Twins Study)
환경과 유전의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 중에 하나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양육된 일란성 쌍생아(identical twins)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들은 유전적으로는 거의 동일하면서도 자라난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환경과 유전의 영향을 분리해 살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1980년대에 정신의학자, 심리학자, 내과 의사들이 합동으로 수많은 일란성 쌍생아들을 대상으로 각종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이 중에 각 개인의 성격(personality traits)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래의 표와 같다.
표의 오른 쪽에 있는 수치는 조사 대상자들의 각 성격이 유전적 요인에 기인하는 비율이다. 예를 들어, 1번의 성취력 55%는 개인의 성취력을 결정하는 데 유전적 요인이 39%의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유전적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 개인적 특징의 정도 (%)>
성 격 (Personal Traits)
비율
1. 성취력(Achievement) - 열심히 일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다른 일을 미룰 수 있음
39
2. 사회적 친화력(Social Closeness) - 정서적 유대를 중시하고 남으로부터 위로와 도움 받는 것을 좋아함
40
3. 자제력(Control) - 주의 깊고 합리적이며 계획성이 강함
44
4. 공격성(Aggression) - 공격적인 성향
44
5. 소외감(Alienation) - 피해의식 및 소외감이 강함
45
6. 보수성(Traditionalism) - 규칙과 권위를 존중하며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교육을 중시
45
7. 행복감(Well-being) - 낙천적이고 활달함
48
8. 몰입(Absorption) - 상상력이 강하여 쉽게 상상의 세계로 몰입되며 현실감이 부족함
50
9. 스트레스 반응(Stress Reaction) - 상처받기 쉽고 민감하며 근심이 많으며 쉽게 흥분함
53
10. 사회적 역량(Social Potency) - 남의 관심을 받기 좋아하며 지도력이 강함
54
11. 소극성(Harm Avoidance) - 위험한 것을 싫어하며 안전한 길을 택함
55
<자료 : 미네소타대학, 1990>
표에서 보듯이 조사된 인간 행동적 성격들의 절반 정도는 유전적 요인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인간성격의 정도는 대략 20-30% 정도로 나타났다. 이 결과만 놓고 보면 유전적 영향이 환경적 영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보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모두 우리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전적 요인이 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단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우리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아직도 우리가 모르고 있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인간행동에 있어서 유전적요인과 환경적 요인, 두 관점의 공존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Ⅳ. 결 론
일찍이 칸트는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자연적, 생물학적 본성은 행복을 추구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복을 추구하라 말라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보았다.
그것은 전적으로 개인적 기호와 관계되어진다.
칸트의 이러한 사고는 사회생물학을 통해서 동일하게 설명할 수가 있다.
그러나 칸트가 강조하는 것은 자연적 행복이 아니라 어떠한 행복이 가치 있는 것이며, 어떠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문제이다.
칸트에게 “도덕은 행복해지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행복이 가치가 있는 것이 되는지를 가르치는 학문에 대한 입문이다.” I. Kant, Uber den Gemeinspruch: Das mag in der Theorierichtig sein, taugt aber nicht fur die Praxis, Weischedel판 XI권, 131쪽.
인간행동에 있어서 가치 있는 행복 추구가 만일 유의미한 것이라면 우리는 옳고 그름을 가늠할 수 있는 어떤 척도를 말할 수가 있어야 한다.
칸트에게 인간행동에 있어서 도덕적 성숙이란 원칙적으로 진화와는 무관하며, 인류가 이룩해야 할 도덕적 진보와 관계한다.
이와 같이 칸트에게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도덕적 소질은 그저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환경과 연관하여 인간 스스로가 계발 육성하여 충분히 발휘되도록 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1990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부터 인간행동에 있어서 유전적입장의 생물학적 결정론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였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목표는 인간 유전자 지도의 작성이다.
현재, 유전자 지도의 초안이 마련됨에 따라 질병 유전자를 확인하여 유전병을 치료하는 길이 열리게 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사회 행동이나 정신질환에 관련된 유전자를 연구할 수가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일부 행동유전학자들은 벌써부터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하려면 먼저 유전자를 변경시켜야 된다는 우생학적 주장을 내놓기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 행동에 유전과 환경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유전과 환경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따지는 일은 멀리서 들려오는 북소리가 북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연주자에 의해서인지를 분석하는 것처럼 어리석고 부질없는 짓일 것이다.
결국 본성이냐 양육이냐 하는 불필요한 논쟁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본성과 양육 둘 다 인간 행동에 필수적 요인인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1. 로버트 라이트. 2003. 도덕적 동물. 사이언스 북스
2. 매트 리들리. 2003. 본성과 양육. 사이언스 북스
3. 스티븐 핑커. 2002. 빈 서판. 사이언스 북스
4. 프랭크 설로웨이. 2008. 타고난 반항아. 사이언스 북스
추천자료
신약성서 윤리연구
[인간과심리]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유전과 환경 관...
2012년 2학기 인간과심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행동의 유전적영향, 환경적영향)
[인간행동유전결정환경결정]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
[2014인간과심리-유전 환경]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 되는...
2014년 2학기 인간과심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의 행동이 유전인지 환경인지)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는 심리학에서 매우 뜨거...
[2014인간과심리]인간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자신의 생각을 ...
[인간과 심리]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 되는가는 심리학에서...
[인간과 심리 공통]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 되는가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