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스트레스의 개념
1) 스트레스의 개념
2) 스트레스의 본질
2. 스트레스의 원인
1) 결핍
2) 욕구좌절
3) 심리적 갈등
4) 압박감
3. 스트레스의 증상
1) 신체·생리적 반응
2) 심리적 반응
3) 긍정적인 효과
4.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방법
1) 스트레스 대처의 개념
2)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마음가짐
3) 상황별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
Ⅲ. 결 론
【참고문헌】
Ⅰ. 서 론
Ⅱ. 본 론
1. 스트레스의 개념
1) 스트레스의 개념
2) 스트레스의 본질
2. 스트레스의 원인
1) 결핍
2) 욕구좌절
3) 심리적 갈등
4) 압박감
3. 스트레스의 증상
1) 신체·생리적 반응
2) 심리적 반응
3) 긍정적인 효과
4.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방법
1) 스트레스 대처의 개념
2)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마음가짐
3) 상황별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평소 걱정거리가 생기게 되면 그 때에 걱정을 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한다면 처음에는 잘 안되더라도 습관화시킬 수 있다.
(4) 생활변화가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의 대처방법
자신의 생활변화를 열거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경험하는 생활변화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불가피한 변화와 통제 가능한 변화를 구별해야 한다. 불가피한 변화는 빨리 수용하고 이에 적응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이며, 통제 가능한 변화는 불가피한 변화에 적응할 때까지 변화를 미루는 것이 도움이 된다.
(5) 상황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의 대처방법
불확실한 상황에 놓이면 첫째로 정보를 찾아야 한다. 어디서 누구에게 어떤 정보를 얻어야 하는지를 판단해야 되고, 실제로 정보를 얻어야 한다.
또 다른 방법은 새로운 상황에 익숙해지도록 행동하는 것이다. 흔히 불확실성은 상황이 낯설기 때문에 더욱 심하게 느껴질 수가 있다.
(6) 가까운 가족과의 사별의 위협을 받을 경우의 대처방법
가까운 가족이 심한 중병에 걸리거나 죽을병이 든다면 당사자는 말할 것도 없고 가족들에게도 심한 위협이 된다.
어떤 부모는 아이들이 죽을병에 걸렸다는 것을 부정하는가 하면 어떤 부모는 지성화(intellectualization)해서 무엇인가 새로운 정보를 추구하기도 한다.
2)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외부사건을 대처하는 기법
(1) 성격의 요소에 의한 적절한 대처
사람마다 개인에게 일어나는 사건이나 그 결과에 대해서 그 원인을 자기자신에게 돌리든지 아니면 환경이나 외부에 돌리는 성격적인 특질을 갖고 있다고 보는 학자가 있다. 이를 통제의 소재라고 하는데 이에는 내통제와 외통제가 있다. 내통제자는 모든 사건의 원인과 책임이 자기 내부에 있다고 믿는 반면 외통제자는 우연이나 운명 또는 외부 요인에 책임과 원인이 있다고 믿는다(Rotter, 1996).
내통제자는 어떤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정보를 추구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반면 외통제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쉽게 위협을 느끼고 무기력 반응을 일으키기 쉽다.
이 밖에도 성격 유형 중에는 외부환경에 대해서 민감한 민감성 성격과 감정을 억압하는 억압형이 있는데 이들이 성취스트레스나 질병에 따르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런 성격 특질을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 자신의 내부규칙 또는 사고방식의 강화
‘나는 언제나 열심히 일해야만 한다’, ‘나는 화를 내서는 안 된다’ 이런 사고방식이 문제되는 것은 예외 없이, 언제나 그리고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것이 문제된다고 Ellis는 말하면서 이를 비합리적인 사고방식으로 기술했다.
이런 비합리적인 내적인 규칙 또는 사고방식 때문에 오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고방식이 전환되어야만 한다.
첫째, 자신의 내적인 규칙을 의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왜 내가 이 상황에서 이런 기분을 느낄까? 등의 스트레스로 느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것을 자문함으로써 자신의 내적인 규칙이 무엇인가를 확인해야 한다.
둘째, 이런 규칙이나 사고방식을 수반하는 생각들을 잘 살펴본다.
셋째, 규칙들을 남들과 같이 토론해 본다. 그럼으로써 좀 더 현실감각을 찾게 될 것이다.
넷째, 규칙들을 논박해 본다. 즉, 자기와의 대화를 한다.
다섯째, 규칙을 바꾼다. 즉, 좀 더 합리적이고 현실성있는 사고방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여섯째, 원래의 내적 규칙과 바뀐 규칙에 따른 생각들을 비교해 본다. 그러면 새로운 규칙에 따라 세상을 사는 것이 훨씬 편안하고 스트레스 자극을 덜 받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3) 사회적 지지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자원 가운데에는 타인이나 사회기관에서 얻을 수 있는 도움이 있다. 이를 사회적 지지라고 한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직접 도움을 주는 경우와 정보를 제공하거나 좋은 의견을 제공해 주는 경우가 있다. 이를 스트레스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직접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서 불안과 긴장이 될 때 이를 공감해 주고 사랑과 관심을 기울여 줌으로써 소속감과 안정을 유지하게 하여 대처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정서적 지지가 있다.
Ⅲ. 결 론
현대사회는 매우 복잡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람들에게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게 한다. 스트레스는 사람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필연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일부 특정인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스트레스가 없는 삶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또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삶도 아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점이다.
모든 사람이 같은 상황을 똑같은 방식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스트레스의 원인이 동일하더라도 그것을 대처해 가는 사람의 성격이나 대처 능력에 따라서 각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수준이 다른 것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부 갈등 때문이다. 자신 내부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스트레스는 더 낮아질 것이다. 스트레스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참고 문헌】
권육상(2010). 정신건강론 : 유풍출판사.
원호택(2006). 이상심리학 : 법문사.
이민규(2004). 현대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 교육과학사.
이영호(2006). 정신건강론 : 공동체.
이인혜(2000). 현대인의 정신건강 : 대왕사.
임영식(1999)외. 청소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학지사.
임혁, 채인숙(2010). 정신건강의 이해 : 공동체.
조은숙(2007). 현대인의 정신건강 : 법문사.
Romas, J. A., & Sharma, M(1995). Practical stress management. Boston : Allyn & Bacon.
Roskie, E(1987). Stress Management for the Healthy Type A. New York : Guilford.
Sadock, B. J., & Sadock, V.A.(2000). Comprehensive text book of psychiatry.
(4) 생활변화가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의 대처방법
자신의 생활변화를 열거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경험하는 생활변화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불가피한 변화와 통제 가능한 변화를 구별해야 한다. 불가피한 변화는 빨리 수용하고 이에 적응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이며, 통제 가능한 변화는 불가피한 변화에 적응할 때까지 변화를 미루는 것이 도움이 된다.
(5) 상황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의 대처방법
불확실한 상황에 놓이면 첫째로 정보를 찾아야 한다. 어디서 누구에게 어떤 정보를 얻어야 하는지를 판단해야 되고, 실제로 정보를 얻어야 한다.
또 다른 방법은 새로운 상황에 익숙해지도록 행동하는 것이다. 흔히 불확실성은 상황이 낯설기 때문에 더욱 심하게 느껴질 수가 있다.
(6) 가까운 가족과의 사별의 위협을 받을 경우의 대처방법
가까운 가족이 심한 중병에 걸리거나 죽을병이 든다면 당사자는 말할 것도 없고 가족들에게도 심한 위협이 된다.
어떤 부모는 아이들이 죽을병에 걸렸다는 것을 부정하는가 하면 어떤 부모는 지성화(intellectualization)해서 무엇인가 새로운 정보를 추구하기도 한다.
2)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외부사건을 대처하는 기법
(1) 성격의 요소에 의한 적절한 대처
사람마다 개인에게 일어나는 사건이나 그 결과에 대해서 그 원인을 자기자신에게 돌리든지 아니면 환경이나 외부에 돌리는 성격적인 특질을 갖고 있다고 보는 학자가 있다. 이를 통제의 소재라고 하는데 이에는 내통제와 외통제가 있다. 내통제자는 모든 사건의 원인과 책임이 자기 내부에 있다고 믿는 반면 외통제자는 우연이나 운명 또는 외부 요인에 책임과 원인이 있다고 믿는다(Rotter, 1996).
내통제자는 어떤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정보를 추구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반면 외통제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쉽게 위협을 느끼고 무기력 반응을 일으키기 쉽다.
이 밖에도 성격 유형 중에는 외부환경에 대해서 민감한 민감성 성격과 감정을 억압하는 억압형이 있는데 이들이 성취스트레스나 질병에 따르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런 성격 특질을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 자신의 내부규칙 또는 사고방식의 강화
‘나는 언제나 열심히 일해야만 한다’, ‘나는 화를 내서는 안 된다’ 이런 사고방식이 문제되는 것은 예외 없이, 언제나 그리고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것이 문제된다고 Ellis는 말하면서 이를 비합리적인 사고방식으로 기술했다.
이런 비합리적인 내적인 규칙 또는 사고방식 때문에 오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고방식이 전환되어야만 한다.
첫째, 자신의 내적인 규칙을 의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왜 내가 이 상황에서 이런 기분을 느낄까? 등의 스트레스로 느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것을 자문함으로써 자신의 내적인 규칙이 무엇인가를 확인해야 한다.
둘째, 이런 규칙이나 사고방식을 수반하는 생각들을 잘 살펴본다.
셋째, 규칙들을 남들과 같이 토론해 본다. 그럼으로써 좀 더 현실감각을 찾게 될 것이다.
넷째, 규칙들을 논박해 본다. 즉, 자기와의 대화를 한다.
다섯째, 규칙을 바꾼다. 즉, 좀 더 합리적이고 현실성있는 사고방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여섯째, 원래의 내적 규칙과 바뀐 규칙에 따른 생각들을 비교해 본다. 그러면 새로운 규칙에 따라 세상을 사는 것이 훨씬 편안하고 스트레스 자극을 덜 받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3) 사회적 지지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자원 가운데에는 타인이나 사회기관에서 얻을 수 있는 도움이 있다. 이를 사회적 지지라고 한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직접 도움을 주는 경우와 정보를 제공하거나 좋은 의견을 제공해 주는 경우가 있다. 이를 스트레스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직접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서 불안과 긴장이 될 때 이를 공감해 주고 사랑과 관심을 기울여 줌으로써 소속감과 안정을 유지하게 하여 대처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정서적 지지가 있다.
Ⅲ. 결 론
현대사회는 매우 복잡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람들에게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게 한다. 스트레스는 사람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필연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일부 특정인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스트레스가 없는 삶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또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삶도 아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점이다.
모든 사람이 같은 상황을 똑같은 방식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스트레스의 원인이 동일하더라도 그것을 대처해 가는 사람의 성격이나 대처 능력에 따라서 각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수준이 다른 것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부 갈등 때문이다. 자신 내부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스트레스는 더 낮아질 것이다. 스트레스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참고 문헌】
권육상(2010). 정신건강론 : 유풍출판사.
원호택(2006). 이상심리학 : 법문사.
이민규(2004). 현대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 교육과학사.
이영호(2006). 정신건강론 : 공동체.
이인혜(2000). 현대인의 정신건강 : 대왕사.
임영식(1999)외. 청소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학지사.
임혁, 채인숙(2010). 정신건강의 이해 : 공동체.
조은숙(2007). 현대인의 정신건강 : 법문사.
Romas, J. A., & Sharma, M(1995). Practical stress management. Boston : Allyn & Bacon.
Roskie, E(1987). Stress Management for the Healthy Type A. New York : Guilford.
Sadock, B. J., & Sadock, V.A.(2000). Comprehensive text book of psychiatry.
추천자료
[정신건강] 스트레스(Stress) -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증상과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증상과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영유아기 및 아동기의 ...
[정신건강 공통] 유아교육과 1학년 -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 2. 영유아기, ...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증상과 대처방안
[유아교육과] [정신건강 공통] 스트레스의 개념, 원인, 증상, 관리와 대처방법에 대해 자세히...
고위험모아간호학1)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문제들과 해결방안 2)환아 스트레스감소 ...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증상과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2020 유아건강교육4공통][기말시험] 1.다음은 영유아 건강교육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A, B...
고위험모아간호학-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할 때 유념해야 할 점 고위험모아간호학 2)...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022년]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