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목적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예방
간호사정 (영양,통증,호흡, 순환,산소)
검사 (입원전 검사, 입원후 검사, 일반 혈액검사,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 약물)
케이스 (통증과 관련된 불안,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에 관련된 지식부족)
의학용어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예방
간호사정 (영양,통증,호흡, 순환,산소)
검사 (입원전 검사, 입원후 검사, 일반 혈액검사,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 약물)
케이스 (통증과 관련된 불안,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에 관련된 지식부족)
의학용어
본문내용
불안에 의해서 감소된다.(성인 상 p226)
6. 접촉, 압박, 마사지, 진동, 열과 냉의 적용과 같은 피부자극요법은 피부를 자극하여 통증경로를 방해한다. 또 통증을 완화하기위한 인지-행동요법에는 관심전환, 이완 술, 최면, 음악치료, 명상 등이 포함된다.(성인 상 p245)
간호수행
1. 위치 : 전신 , 양상 : 쑤심 , 강도 : 7(NRS), 정도 : moderate 기간:5분(14.9.16 PM10:00)
→ 처방된 진통제 MDICLO 75mg1A (IM)
→ 위치 : 전신, 양상 : 둔함, 강도 : 2 (NRS) , 정도 : Mild 기간:2분(14.9.16 PM 10:30)
위치 : 전신 , 양상 : 쑤심 , 강도 : 6(NRS), 정도 : moderate 기간:5분(14.9.19 AM 00:06)
→ 처방된 진통제 MDICLO 75mg1A (IM)
→ 위치 : 전신, 양상 : 둔함, 강도 : 2 (NRS) , 정도 : Mild 기간:2분(14.9.19 AM 00:30)
2.
9/16 6AM
9/16
1PM
9/16
8PM
9/17
6AM
9/17
1PM
9/17
8PM
BP
150/70
140/70
140/70
150/70
160/60
140/80
HR
88
78
83
82
80
84
RR
24
22
22
20
23
20
BT
36.6
36.6
36.6
36.2
36.5
36.5
3. 처방된 니트로글리세린 0.6mg 투여함(14.9.15 6AM)
처방된 진통제 MDICLO 75mg1A (IM) (14.9.16.10PM, 14.9.19 12AM)
4. 처방된 디아제팜 0.5tab 투여함(14.9.15~14.9.25 아침, 저녁식후 30분)
5. 통증이 있을 때에는 침상안정과 함께 비 약물적인 요법을 같이 시행하도록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교육함
평가
<장기평가>
대상자는 퇴원시(9/25)까지 불안에 대한 증상이 사라졌다.
<단기평가>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통증사정척도(NRS)점수가 7에서 2점으로 내려갔다고 말했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왜 나는 맨날 아픈지 모르겠어.”
“나는 당뇨 때문에 병원에 입원한 게 아닌데 당이 무슨 상관이라고 당 검사를 왜 이렇게 자주해?”
진단명: unstable angina
고혈압 (5년전) ,당뇨(15년전)
흡연(하루1갑,40년), 복부비만
중졸
간호진단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에 관련된 지식부족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협심증의 추후관리에 대해 바로 알고 실천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알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협심증의 위험인자에 대해 교육한다.
2.모든 활동을 적절히 조절한다.
3.콜레스테롤이나 염분을 줄이고 과식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1.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인자로는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가족력이 있다. (왜, 어떻게&무엇을 순환기 p9)
2. 흉부에 부담을 주게 되면 심근의 산소 요구도가 증가한다. (왜, 어떻게&무엇을 순환기 p5)
3.콜레스테롤이 혈중에 너무 많이 생기지 않도록 식사에 주의해야 한다.(왜, 어떻게&무엇을 순환기 p14)
간호수행
1. 흡연과 당뇨은 생활습관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활에 적용하도록 금연과 당뇨식이와 당뇨약을 통해 조절할수 있도록 교육함.
2. 급격하고 격렬한 운동을 피하며, 관상동맥의 연축을 유발하는 변비나 복압을 가하는 일과, 추위를 피하고 찬바람을 쏘이지 않도록 교육함.
3. 음식은 소량씩 먹도록 하고 카페인은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게 함.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9/25) 까지 협심증의 추후관리에 대해 바로 알고 실천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알았다.
결론 및 제언
류○○은 64세의 남성분이며 2014년 9월 15일부터 전남대학교 병원에 ER을 통해 내원하셨으며, 진단명은 unstable angina 이었다. 대상자를 사정하고 나서 두 가지 진단을 내린 뒤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수행함으로써 조금이나마 대상자에게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 된다. 비록 아직은 학생간호사로서의 한계점이 있지만 앞으로 열심히 공부한다면 실습 나가서 봐왔던 간호사 선생님들처럼 환자들에게 필요한 존재가 될 수 있을 날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성인간호학 상1 현문사
전남대학교병원 실무지침교육 자료
왜, 무엇을 & 어떻게 ④ 순환기, 응급 의학서원
서울대학교
http://www.druginfo.co.kr/ (의약품종합전문정보 사이트)
단어
ABR Absolute Bed Rest 절대 침상안정
A.C Abdominal Circumference 복위, 복부둘레
Amb Ambulation 운동, 이상
An Aneurysm 동맥류
asthma 천식
A.V Arteriovenous 동 정맥의
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 동 정맥 기형
BUN Blood Urea Nitrogen 혈액 요소 질소
CAG Carotid Angiography 경동맥 조영술
CBF Cerebral Blood Flow 뇌혈류
C.C Chief Complaint 주호소
chest pain 가슴통증
CVP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압
DM diabetes mellitus 당뇨
dyspnea 호흡곤란
EB Elastic Bandage 탄력붕대
EEG Electro Encephalography 뇌파검사
EMG Electromyogram 근전도 검사
HD Hemodialysis 혈액투석
syncope 실신
sputum 가래
HX history 과거력
NPO nothing by mouth 금식
FBS fasting blood sugar 공복시 혈당
FX fracture 골절
PT prothrombin time 혈액응고검사
F/U follow up 추후관리
wheezing 천명음
TR tricuspid regurgitation 삼첨판 역류
ISR in stent restenosis 관상동맥 조영술
AR aortic regurgitation 대동맥 역류
LV left ventricle 좌심실
6. 접촉, 압박, 마사지, 진동, 열과 냉의 적용과 같은 피부자극요법은 피부를 자극하여 통증경로를 방해한다. 또 통증을 완화하기위한 인지-행동요법에는 관심전환, 이완 술, 최면, 음악치료, 명상 등이 포함된다.(성인 상 p245)
간호수행
1. 위치 : 전신 , 양상 : 쑤심 , 강도 : 7(NRS), 정도 : moderate 기간:5분(14.9.16 PM10:00)
→ 처방된 진통제 MDICLO 75mg1A (IM)
→ 위치 : 전신, 양상 : 둔함, 강도 : 2 (NRS) , 정도 : Mild 기간:2분(14.9.16 PM 10:30)
위치 : 전신 , 양상 : 쑤심 , 강도 : 6(NRS), 정도 : moderate 기간:5분(14.9.19 AM 00:06)
→ 처방된 진통제 MDICLO 75mg1A (IM)
→ 위치 : 전신, 양상 : 둔함, 강도 : 2 (NRS) , 정도 : Mild 기간:2분(14.9.19 AM 00:30)
2.
9/16 6AM
9/16
1PM
9/16
8PM
9/17
6AM
9/17
1PM
9/17
8PM
BP
150/70
140/70
140/70
150/70
160/60
140/80
HR
88
78
83
82
80
84
RR
24
22
22
20
23
20
BT
36.6
36.6
36.6
36.2
36.5
36.5
3. 처방된 니트로글리세린 0.6mg 투여함(14.9.15 6AM)
처방된 진통제 MDICLO 75mg1A (IM) (14.9.16.10PM, 14.9.19 12AM)
4. 처방된 디아제팜 0.5tab 투여함(14.9.15~14.9.25 아침, 저녁식후 30분)
5. 통증이 있을 때에는 침상안정과 함께 비 약물적인 요법을 같이 시행하도록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교육함
평가
<장기평가>
대상자는 퇴원시(9/25)까지 불안에 대한 증상이 사라졌다.
<단기평가>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통증사정척도(NRS)점수가 7에서 2점으로 내려갔다고 말했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왜 나는 맨날 아픈지 모르겠어.”
“나는 당뇨 때문에 병원에 입원한 게 아닌데 당이 무슨 상관이라고 당 검사를 왜 이렇게 자주해?”
진단명: unstable angina
고혈압 (5년전) ,당뇨(15년전)
흡연(하루1갑,40년), 복부비만
중졸
간호진단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에 관련된 지식부족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협심증의 추후관리에 대해 바로 알고 실천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알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협심증의 위험인자에 대해 교육한다.
2.모든 활동을 적절히 조절한다.
3.콜레스테롤이나 염분을 줄이고 과식을 피하도록 교육한다.
1.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인자로는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가족력이 있다. (왜, 어떻게&무엇을 순환기 p9)
2. 흉부에 부담을 주게 되면 심근의 산소 요구도가 증가한다. (왜, 어떻게&무엇을 순환기 p5)
3.콜레스테롤이 혈중에 너무 많이 생기지 않도록 식사에 주의해야 한다.(왜, 어떻게&무엇을 순환기 p14)
간호수행
1. 흡연과 당뇨은 생활습관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활에 적용하도록 금연과 당뇨식이와 당뇨약을 통해 조절할수 있도록 교육함.
2. 급격하고 격렬한 운동을 피하며, 관상동맥의 연축을 유발하는 변비나 복압을 가하는 일과, 추위를 피하고 찬바람을 쏘이지 않도록 교육함.
3. 음식은 소량씩 먹도록 하고 카페인은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게 함.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9/25) 까지 협심증의 추후관리에 대해 바로 알고 실천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협심증의 위험인자와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알았다.
결론 및 제언
류○○은 64세의 남성분이며 2014년 9월 15일부터 전남대학교 병원에 ER을 통해 내원하셨으며, 진단명은 unstable angina 이었다. 대상자를 사정하고 나서 두 가지 진단을 내린 뒤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수행함으로써 조금이나마 대상자에게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 된다. 비록 아직은 학생간호사로서의 한계점이 있지만 앞으로 열심히 공부한다면 실습 나가서 봐왔던 간호사 선생님들처럼 환자들에게 필요한 존재가 될 수 있을 날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성인간호학 상1 현문사
전남대학교병원 실무지침교육 자료
왜, 무엇을 & 어떻게 ④ 순환기, 응급 의학서원
서울대학교
http://www.druginfo.co.kr/ (의약품종합전문정보 사이트)
단어
ABR Absolute Bed Rest 절대 침상안정
A.C Abdominal Circumference 복위, 복부둘레
Amb Ambulation 운동, 이상
An Aneurysm 동맥류
asthma 천식
A.V Arteriovenous 동 정맥의
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 동 정맥 기형
BUN Blood Urea Nitrogen 혈액 요소 질소
CAG Carotid Angiography 경동맥 조영술
CBF Cerebral Blood Flow 뇌혈류
C.C Chief Complaint 주호소
chest pain 가슴통증
CVP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압
DM diabetes mellitus 당뇨
dyspnea 호흡곤란
EB Elastic Bandage 탄력붕대
EEG Electro Encephalography 뇌파검사
EMG Electromyogram 근전도 검사
HD Hemodialysis 혈액투석
syncope 실신
sputum 가래
HX history 과거력
NPO nothing by mouth 금식
FBS fasting blood sugar 공복시 혈당
FX fracture 골절
PT prothrombin time 혈액응고검사
F/U follow up 추후관리
wheezing 천명음
TR tricuspid regurgitation 삼첨판 역류
ISR in stent restenosis 관상동맥 조영술
AR aortic regurgitation 대동맥 역류
LV left ventricle 좌심실
추천자료
협심증 문헌고찰 및 사례연구
UAP 협심증 케이스
[성인간호학][Angina pectoris][협심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 문헌고찰, 간호사정(건강사정),...
[성인간호학] [고혈압]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
급성심근경색, MI A+받은 특급자료입니다!!!!!!!! - 급성 심근 경색 AMI : Acute Myocardial ...
[성인 실습] 협심증(狹心症 / Angina pectoris)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Unstab...
난청 (hearing loss)
늑골골절, 혈흉 문헌고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