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I. 콜버그의 생애
II. 콜버그의 연구방법
III. 도덕성 발달의 단계
1. 전인습적 도덕수준(2~6세)
2. 인습적 도덕수준(6~12세)
3. 후인습적 도덕수준(12~20세)
IV.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한 비판 및 평가
* 참고문헌
I. 콜버그의 생애
II. 콜버그의 연구방법
III. 도덕성 발달의 단계
1. 전인습적 도덕수준(2~6세)
2. 인습적 도덕수준(6~12세)
3. 후인습적 도덕수준(12~20세)
IV.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한 비판 및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문화특성도 있으나, 어떤 문화에서는 이를 저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의 차이에도 그의 이론은 보편적 적용성을 지니는가. 그는 터키, 대만, 멕시코, 유가탄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권의 아동 등과 면담한 결과, 그의 이론을 지지해 주는 단계와 연령간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결과, 즉 발달속도(發達速度)에서 약간의 차이를 발견하기도 했다.
다섯째, 콜버그의 이론은 아동의 도덕적 사고에 관한 것이지 도덕적 행동(道德的 行動)에 관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동간의 일치성이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도덕적 사고의 수준에서는 6단계에 이론 사람이라도 나치독일과 같은 어떤 강압적, 공포적 상황에서도 불복종을 할 수 있을까? 이와 비슷한 많은 연구결과들은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동 간의 분명한 차이를 보고하고 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에서는 도덕적 합리성과 도덕적 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도덕적 합리성과 도덕적 행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원리로 제시하는 \"선(善)은 하나일 뿐 아니라 또한 덕(德)은 최선의 지식이다. 선을 아는 사람이 선을 선택한다.\"고 주장을 하면서 또한 이런 주장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에서 제시하고 있다. 크렙스(Krebs)의 시험부정행위 연구나, 밀그램(Milgram)의 전기충격 연구, 그리고 한(Hann) 등의 정치적 시민불복종 연구 등은 인습수준과 인습 이후 수준의 행위보장에 대한 차이를 설명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에서 도덕성의 3수준의 준거는 그의 주장과 같이 \'가역성으로서의 정의\'라 아니라 무도덕성 -1인습적 도덕성 )원리적 도덕성이다. 따라서 제1수준과 제2수준은 그 준거가 가치상대적인 사실적인 규범이며, 제3수준은 실재가 아닌 가상적 사회에 대한 이론적 구성물이며, 그 이상은 아니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콜버그에 대한 비판자들은 대체로 콜버그의 인습이전 수준과 인습수준의 단계변별만은 수용하면서도, 인습이후 수준(水準)은 전혀 인정하려고 하지 않고 있다. 즉 콜버그이론은 배아제의 \'타율적 도덕성\'과 \'자율적 도덕성\'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고도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콜버그의 인습 이후 수준은 버려야만 마땅한 것인가?
여섯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에서는 도덕의 원천으로서 이타심이나 사랑 등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배제, 누락 또는 결여되어 있다.
피아제는 제7단계로 \'아가페\'에 대한 상정이 바로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는 있지만, 논리적으로 상위단계가 하위단계를 포함한다는 도덕성 발달단계의 일반적 원리로 본다면, 그의 이론 노력도 마찬가지로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는가.
마지막으로, 콜버그는 도덕성은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발달하며, 남성은 여성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발달단계에 이른다고 하여, 도덕수준의 성차, 즉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도덕수준으로 인정하였는데, 이런 성차(性差)는 많은 쟁점이 되고 있다. 과연 그런가? 아니면 그의 연구방법론의 문제 탓인가?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다섯째, 콜버그의 이론은 아동의 도덕적 사고에 관한 것이지 도덕적 행동(道德的 行動)에 관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동간의 일치성이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도덕적 사고의 수준에서는 6단계에 이론 사람이라도 나치독일과 같은 어떤 강압적, 공포적 상황에서도 불복종을 할 수 있을까? 이와 비슷한 많은 연구결과들은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동 간의 분명한 차이를 보고하고 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에서는 도덕적 합리성과 도덕적 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도덕적 합리성과 도덕적 행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원리로 제시하는 \"선(善)은 하나일 뿐 아니라 또한 덕(德)은 최선의 지식이다. 선을 아는 사람이 선을 선택한다.\"고 주장을 하면서 또한 이런 주장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에서 제시하고 있다. 크렙스(Krebs)의 시험부정행위 연구나, 밀그램(Milgram)의 전기충격 연구, 그리고 한(Hann) 등의 정치적 시민불복종 연구 등은 인습수준과 인습 이후 수준의 행위보장에 대한 차이를 설명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에서 도덕성의 3수준의 준거는 그의 주장과 같이 \'가역성으로서의 정의\'라 아니라 무도덕성 -1인습적 도덕성 )원리적 도덕성이다. 따라서 제1수준과 제2수준은 그 준거가 가치상대적인 사실적인 규범이며, 제3수준은 실재가 아닌 가상적 사회에 대한 이론적 구성물이며, 그 이상은 아니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콜버그에 대한 비판자들은 대체로 콜버그의 인습이전 수준과 인습수준의 단계변별만은 수용하면서도, 인습이후 수준(水準)은 전혀 인정하려고 하지 않고 있다. 즉 콜버그이론은 배아제의 \'타율적 도덕성\'과 \'자율적 도덕성\'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고도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콜버그의 인습 이후 수준은 버려야만 마땅한 것인가?
여섯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에서는 도덕의 원천으로서 이타심이나 사랑 등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배제, 누락 또는 결여되어 있다.
피아제는 제7단계로 \'아가페\'에 대한 상정이 바로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는 있지만, 논리적으로 상위단계가 하위단계를 포함한다는 도덕성 발달단계의 일반적 원리로 본다면, 그의 이론 노력도 마찬가지로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는가.
마지막으로, 콜버그는 도덕성은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발달하며, 남성은 여성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발달단계에 이른다고 하여, 도덕수준의 성차, 즉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도덕수준으로 인정하였는데, 이런 성차(性差)는 많은 쟁점이 되고 있다. 과연 그런가? 아니면 그의 연구방법론의 문제 탓인가?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키워드
추천자료
도덕성발달이론(콜버그이론) 특징과 원리, 도덕성발달이론(콜버그이론) 발달단계와 내용, 도...
교육심리학4공통)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 교육적 시사점 2 에릭슨(Eri...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에...
[영어영문학과]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
[교육심리학] 2024년 2학기[교육심리학 2024년]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