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배경과 현황
2.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양면성
1) 주인공(승자)만 주목받음 – 다른 참가자들은 시청률을 위한 소재로 전락
2) 과도한 경쟁의식 조장하고 과몰입 상태에 빠지게 함
3.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10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
1) 10대 청소년들에게 대중 매체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
2)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4.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순기능
2)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앞서 서술한 순기능은 유지하되 역기능은 개선되어야 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배경과 현황
2.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양면성
1) 주인공(승자)만 주목받음 – 다른 참가자들은 시청률을 위한 소재로 전락
2) 과도한 경쟁의식 조장하고 과몰입 상태에 빠지게 함
3.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10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
1) 10대 청소년들에게 대중 매체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
2)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4.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순기능
2)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앞서 서술한 순기능은 유지하되 역기능은 개선되어야 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으로 편집하여 과도한 경쟁을 조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역기능이 미디어 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10대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제작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많은 사람들이 보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에는 시청률보다 사회적 책임을 갖고 신중히 제작해야 한다. 이러한 제작자들의 노력이 필수적이기는 하나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과몰입하지 않도록 청소년들이 대중매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눈을 갖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미영(2012),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의 복합적 가치지향」, 『문화와 사회』 13, 한국문화사회학회.
박경옥(2012), “서바이벌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용인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반정은(2014),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서울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
심미선(2007), 「지상 텔레비전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사회가치 개
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이션』, 8(2), 한국방송학회.
우루루·남윤재(2018), 「<프로듀스 101> 시즌2의 서사연구 경쟁과 육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7), 한국콘텐츠학회.
이다빈(2017.12.25.), 「경쟁, 계속 하시겠습니까? -무한경쟁사회 속 지친 우리들」, 대한민국청소년의회, https://youthassembly.or.kr/bbs/board.php?bo_table=B51&wr_id=41211976 (2020.06.09.).
전경원(2019.02.22.), 「살인적 경쟁교육, 이제는 멈춰야 한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13816 (2020.06.10.).
이숙정 외 3명(2016), 「전송 이론에 근거한 문화 계발 효과의 인과 모형 분석 오디션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수직적 개인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1), 한국언론학회.
정철운(2011.04.01.), 「신해철 “서바이벌 형식, 가수에게 모욕적”-MBC ‘100분토론’ 오디션 열풍 지적…‘나는 가수다’ 논쟁 이어져」, PD JOURNAL,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0966
(2020.06.01.).
최소망·강승묵(2012),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한국콘텐츠학회.
최현 외 3명(1992), 「청소년의 대중매체 이용실태와 활용방안」, 『한국청소년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khugnews(2011.12.05),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우리사회 속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보http://www.khugnews.co.kr/wp/?p=2136 (2020.06.03.).
Ⅳ. 참고문헌
김미영(2012),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의 복합적 가치지향」, 『문화와 사회』 13, 한국문화사회학회.
박경옥(2012), “서바이벌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용인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반정은(2014),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서울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
심미선(2007), 「지상 텔레비전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사회가치 개
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이션』, 8(2), 한국방송학회.
우루루·남윤재(2018), 「<프로듀스 101> 시즌2의 서사연구 경쟁과 육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7), 한국콘텐츠학회.
이다빈(2017.12.25.), 「경쟁, 계속 하시겠습니까? -무한경쟁사회 속 지친 우리들」, 대한민국청소년의회, https://youthassembly.or.kr/bbs/board.php?bo_table=B51&wr_id=41211976 (2020.06.09.).
전경원(2019.02.22.), 「살인적 경쟁교육, 이제는 멈춰야 한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13816 (2020.06.10.).
이숙정 외 3명(2016), 「전송 이론에 근거한 문화 계발 효과의 인과 모형 분석 오디션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수직적 개인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1), 한국언론학회.
정철운(2011.04.01.), 「신해철 “서바이벌 형식, 가수에게 모욕적”-MBC ‘100분토론’ 오디션 열풍 지적…‘나는 가수다’ 논쟁 이어져」, PD JOURNAL,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0966
(2020.06.01.).
최소망·강승묵(2012),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한국콘텐츠학회.
최현 외 3명(1992), 「청소년의 대중매체 이용실태와 활용방안」, 『한국청소년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khugnews(2011.12.05),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우리사회 속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보http://www.khugnews.co.kr/wp/?p=2136 (2020.06.03.).
추천자료
대중매체의 선정성과 사회적 영향
TV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언어사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청소년 비규범적 언어를 중심으로.ppt
사이버 섹스가 청소년의 성 의식과 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
10대 미혼모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을 위한 제언
오디션 프로그램의 인기비결에 관한 - 고찰 ‘슈퍼스타K’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가수][오락프로그램][저작권법][가수매니지먼트][팬클럽][팬픽][연예인][공인][기획사][대중문화][아이돌][대중가수]가수와 오락프로그램, 가수와 저작권법, 가수와 가수매니지먼트, 가수와 팬클럽 분석
[성윤리][성교육 프로그램][성교육]성윤리, 성교육 프로그램 고찰과 성교육의 문제점 및 성교육의 과제 분석(성교육 필요성, 성윤리 역사, 성교육프로그램 , 성문제 원인, 성교육 문제점, 성교육 과제)
대중매체의 선정성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악영향
[인문과학] 통신 언어의 특징과 문제점과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