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가?(10점)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1) 무차별곡선
2) 예산제약선
*참고문헌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가?(10점)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1) 무차별곡선
2) 예산제약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술수준이 후퇴하면 공급이 감소한다.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1) 무차별곡선
<그림4> 무차별곡선
무차별이란,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2차원 평면의 도시에서 각축에 다른 재화를 얻었을 때, 주 재화의 조합으로 나타내지는 그래프다. 가로축을 x 상품의 수량, 세로축을 y 상품의 수량으로 두고 x와 y의 여러 가지 가능한 조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본인이 느끼는 만족감이 동일하다고 하면, 두 지점은 소비자에게 있어 동일한 효용을 주기 때문에 무차별곡선의 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효용이란, 재화를 소비하는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감이다. 무차별곡선 위에 있는 소비자가 소비하는 물품은 모두가 같은 만족감을 준다. 차별곡선은 x가 늘어날수록 y가 줄어드는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이는 x를 많이 소비하면 y를 조금만 소비하더라도 같은 정도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모든 무차별곡선이 우하향을 하는 것은 맞으나, 두 재화의 관계에 따라서 아래로 볼록한 형태 또는 직선의 형태, ㄴ자의 형태 등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2) 예산제약선
예산선이란, 소비행위에 있어 제약조건을 표시한다. 소득이 있어야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예산선을 소비자의 소득제약을 나타내는 선이라고 하고, 가격선 또는 기회비용선이라고 한다.
예산선은 후하향을 하는 직선을 가지고, 에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한 제품을 많이 사면, 한 제품을 적게 사야 한다. 이와 같이 선택에 따라오는 비용과 결과로 얻게 되는 만족도를 고려해서 비용 대비 효용의 극대화를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스럽고 합리적인 선택이며, 최소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으려는 것은 경제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자원과 본인이 가지고 있는 예산 안에서 무엇인가를 선택하는 것은 동시에 무엇인가를 포기하는 것이다. 또한 희소한 자원을 어디에 분배할 것인가 등 선택의 문제다. 즉, 가능한 많은 것을 소비하려고 하는 성향은 경제학적으로 보았을 때 매우 자연스로운 현상이고, 균형을 이루고 또한 변화를 하는 시장에서 기회비용을 고려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다.
<그림4> 예산선
예산선을 포함한 예산선 내부의 배합점들은 주어진 소득으로 구입 가능한 배합점들이며, 예산선 외부의 배합점들은 주어진 소득으로 구입이 불가능한 배합점이다.
한정이 된 예산 내에서 X재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Y재 소비를 줄여야 하고, 이것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예산선의 기울기는 한정된 예산의 내에서 시장 가격이 다른 교환비율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주관적인 교환비율이 아닌, 시장에서의 객관적인 교환비율이라고 볼 수 있다.
예산선은 아래 식에서 보는 것과 같이 소득 M, X의 가격, Y재의 가격에 따라 X재, Y재 구매수량에 영향을 준다. 즉, 예산선이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5> 예산선의 변화
*참고문헌
노형규(2016). 기초미시경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충기, 이남형. 생활속의 경제(2019).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10점)
1) 무차별곡선
<그림4> 무차별곡선
무차별이란,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2차원 평면의 도시에서 각축에 다른 재화를 얻었을 때, 주 재화의 조합으로 나타내지는 그래프다. 가로축을 x 상품의 수량, 세로축을 y 상품의 수량으로 두고 x와 y의 여러 가지 가능한 조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본인이 느끼는 만족감이 동일하다고 하면, 두 지점은 소비자에게 있어 동일한 효용을 주기 때문에 무차별곡선의 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효용이란, 재화를 소비하는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감이다. 무차별곡선 위에 있는 소비자가 소비하는 물품은 모두가 같은 만족감을 준다. 차별곡선은 x가 늘어날수록 y가 줄어드는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이는 x를 많이 소비하면 y를 조금만 소비하더라도 같은 정도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모든 무차별곡선이 우하향을 하는 것은 맞으나, 두 재화의 관계에 따라서 아래로 볼록한 형태 또는 직선의 형태, ㄴ자의 형태 등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2) 예산제약선
예산선이란, 소비행위에 있어 제약조건을 표시한다. 소득이 있어야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예산선을 소비자의 소득제약을 나타내는 선이라고 하고, 가격선 또는 기회비용선이라고 한다.
예산선은 후하향을 하는 직선을 가지고, 에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한 제품을 많이 사면, 한 제품을 적게 사야 한다. 이와 같이 선택에 따라오는 비용과 결과로 얻게 되는 만족도를 고려해서 비용 대비 효용의 극대화를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스럽고 합리적인 선택이며, 최소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으려는 것은 경제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자원과 본인이 가지고 있는 예산 안에서 무엇인가를 선택하는 것은 동시에 무엇인가를 포기하는 것이다. 또한 희소한 자원을 어디에 분배할 것인가 등 선택의 문제다. 즉, 가능한 많은 것을 소비하려고 하는 성향은 경제학적으로 보았을 때 매우 자연스로운 현상이고, 균형을 이루고 또한 변화를 하는 시장에서 기회비용을 고려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다.
<그림4> 예산선
예산선을 포함한 예산선 내부의 배합점들은 주어진 소득으로 구입 가능한 배합점들이며, 예산선 외부의 배합점들은 주어진 소득으로 구입이 불가능한 배합점이다.
한정이 된 예산 내에서 X재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Y재 소비를 줄여야 하고, 이것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예산선의 기울기는 한정된 예산의 내에서 시장 가격이 다른 교환비율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주관적인 교환비율이 아닌, 시장에서의 객관적인 교환비율이라고 볼 수 있다.
예산선은 아래 식에서 보는 것과 같이 소득 M, X의 가격, Y재의 가격에 따라 X재, Y재 구매수량에 영향을 준다. 즉, 예산선이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5> 예산선의 변화
*참고문헌
노형규(2016). 기초미시경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충기, 이남형. 생활속의 경제(2019).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초미시경제론 중간과제물)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비...
2023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자원의 희소성, 무차별곡선)
기초미시경제론
[경영학과] 2023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자원의 희소성, 무차별곡선)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기초미시경제론(공통) -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
기초 미시 경제론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
기초미시경제 자원 희소성 설명하시오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
기초미시경제론) 1 생산가능곡선이 우하향하면서 원점에 대해 오목한 형태를 갖는 이유를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