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 감염병 발생과정 6요소와 생활 속 방안
(1) 1단계 – 병원체
(2) 2단계 – 병원소
(3) 3단계 – 병원체 탈출
(4) 4단계 – 전파
(5) 5단계 – 침입
(6) 6단계 – 숙주의 감수성
(7) 생활 속 예방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 감염병 발생과정 6요소와 생활 속 방안
(1) 1단계 – 병원체
(2) 2단계 – 병원소
(3) 3단계 – 병원체 탈출
(4) 4단계 – 전파
(5) 5단계 – 침입
(6) 6단계 – 숙주의 감수성
(7) 생활 속 예방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전파되기도 한다.
(5) 5단계 침입
병원체가 새로운 숙주에 침입하는 방법에는 소화기계 감염병 같은 경우는 경구 침입이 많고, 호흡기계 감염병은 호흡기 계통을 통해 침입한다. 곤충이나 주사기를 매개로 하는 기계적 침입도 있다. 직접 침입 가운데는 성병, 상처부위 침입 등이 있다.
(6) 6단계 숙주의 감수성
감수성 지수는 미감염자가 병원체에 감염되었을 때 발병하는 비율이다. 숙주의 면역력에 따라 발병비율이 다르다. 감수성은 저항력이 높으면 발병률이 낮아 감수성이 낮아지고, 반대로 감수성이 높으면 감염이 잘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7) 생활 속 예방 방법
각 단계별로 간단하게 생활 속 대처 방안을 알아보면, 먼저 첫 번째로는 병원체 과정에서 어떤 병원체가 유행인지를 살펴보고 각 병원체에 맞는 대응 방법을 알아둔다. 두 번째 병원소 과정에서는 각 병원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유의사항에 대처한다. 예를 들어 쯔쯔무가시의 경우 풀숲에 앉았을 때 진드기에 의해서 감염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풀밭에 가지 않는 것이 좋다. 세 번째로 병원체의 탈출에서는 병원체가 어떻게 병원소로부터 탈출하고 감염되는지를 파악하여 예방하는 것이 좋다. 코로나의 경우 호흡기 감염이 많아서 마스크로 예방을 한 경우가 일례이다. 네 번째인 전파도 병원체 탈출과 맥을 같이 한다. 감염 방식에 따라 그에 맞는 대처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 번째로 어떤 병원체이든 ‘나에게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지막 감수성의 경우 평소에 면역력과 저항력을 길러 감수성을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3. 결론
사스, 메르스부터 코로나까지 감염병은 멀리 있지 않다. 언제든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이 감염병이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빙하 속에 갇혀있던 병원체가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해당 병원체가 인류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우리는 늘 감염병을 경계하고 예방과 대처 방안을 숙지해야 한다.
본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평소에 알지 못했던 감염병의 경로에 대해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과정에서 생활 속 대응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1. 대구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PPT 자료
2. http://kocw-n.xcache.kinxcdn.com/data/document
/2022/cup/parkyounghee0928/06.pdf
공중보건학 수업자료
(5) 5단계 침입
병원체가 새로운 숙주에 침입하는 방법에는 소화기계 감염병 같은 경우는 경구 침입이 많고, 호흡기계 감염병은 호흡기 계통을 통해 침입한다. 곤충이나 주사기를 매개로 하는 기계적 침입도 있다. 직접 침입 가운데는 성병, 상처부위 침입 등이 있다.
(6) 6단계 숙주의 감수성
감수성 지수는 미감염자가 병원체에 감염되었을 때 발병하는 비율이다. 숙주의 면역력에 따라 발병비율이 다르다. 감수성은 저항력이 높으면 발병률이 낮아 감수성이 낮아지고, 반대로 감수성이 높으면 감염이 잘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7) 생활 속 예방 방법
각 단계별로 간단하게 생활 속 대처 방안을 알아보면, 먼저 첫 번째로는 병원체 과정에서 어떤 병원체가 유행인지를 살펴보고 각 병원체에 맞는 대응 방법을 알아둔다. 두 번째 병원소 과정에서는 각 병원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유의사항에 대처한다. 예를 들어 쯔쯔무가시의 경우 풀숲에 앉았을 때 진드기에 의해서 감염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풀밭에 가지 않는 것이 좋다. 세 번째로 병원체의 탈출에서는 병원체가 어떻게 병원소로부터 탈출하고 감염되는지를 파악하여 예방하는 것이 좋다. 코로나의 경우 호흡기 감염이 많아서 마스크로 예방을 한 경우가 일례이다. 네 번째인 전파도 병원체 탈출과 맥을 같이 한다. 감염 방식에 따라 그에 맞는 대처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 번째로 어떤 병원체이든 ‘나에게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지막 감수성의 경우 평소에 면역력과 저항력을 길러 감수성을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3. 결론
사스, 메르스부터 코로나까지 감염병은 멀리 있지 않다. 언제든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이 감염병이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빙하 속에 갇혀있던 병원체가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해당 병원체가 인류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우리는 늘 감염병을 경계하고 예방과 대처 방안을 숙지해야 한다.
본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평소에 알지 못했던 감염병의 경로에 대해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과정에서 생활 속 대응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1. 대구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PPT 자료
2. http://kocw-n.xcache.kinxcdn.com/data/document
/2022/cup/parkyounghee0928/06.pdf
공중보건학 수업자료
추천자료
공중보건학(KMS)강의내용정리-05
공중보건학 (위생사 요점정리)
서경대 미용예술학과 공중보건학 레포트 DISTINTION
2020년 1학기 보건의사소통 중간시험과제물 A형(코로나19 미디어 건강증진 캠페인)
보건의사소통a )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확산방지를 위한 미디어 건강증진 캠...
국가고시 물리치료 보건직 공무원 공중보건학 정리자료입니다.
공중보건학 합계출산율과 총재생산율을 비교하시오
공중보건학) 감염병의 문제와 해결방안 1) 감염병에 대해 간단하게 서술하시오 2) 우리나라에...
공중보건학_감염병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우리나라의 공중보건 발달과정을 기술하시오. 공중보건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