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1)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어떠한 인간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왜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는가?
3) 인간이 자연의 입법자라는 칸트의 말은 무슨 의미인가?
4)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5) 홉스에 따르면 사회계약은 어떤 이유로 체결될 수 있는가?
6) 흄은 도덕이 어떻게 성립된 것이라고 보았는가?
7) '무의식의 의식화'란 무슨 의미인가?
8) 프로이트에게 도덕은 무엇인가?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 에로스의 원래 뜻은 무엇인가?
2) 아리스토파네스는 에로스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3) 실존의 의미를 어원적 차원과 더불어 설명하라.
4) 사랑에 빠진 이들에게 하는 루크레티우스의 충고는 무엇이고, 왜 그러한 충고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본문내용
쾌락에 탐닉하되, 그로 인한 고통과 환상에 사로잡히지 말라\'는 충고를 합니다. 그는 사랑을 자연적인 육체적 욕구의 발현으로 보았으며, 맹목적인 정열은 고통과 망상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육체적 쾌락을 넘어서는 비이성적인 사랑의 감정, 즉 상대방을 미화하거나 자신을 잃어버리는 맹목성을 비판했습니다. 루크레티우스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영향을 받아, 육체적 쾌락은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 번민은 멀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그는 이성을 통해 사랑을 통제하고, 육체적 욕구를 충족시키되 정신적 평정심을 잃지 않도록 이성적이고 절제된 태도를 유지하라고 충고했습니다.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플라톤에게 에로스는 단순한 육체적 욕망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선(善)의 이데아를 향한 영혼의 끊임없는 상승 욕구\'입니다. 『향연』에서 소크라테스는 디오티마의 가르침을 빌어 에로스를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간자, 즉 \'다이몬\'으로 설명합니다. 에로스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존재로서, 처음에는 육체적 아름다움에서 시작하여 점차 영혼의 아름다움, 학문과 법의 아름다움, 나아가 모든 아름다움의 원천인 \'아름다움 자체의 이데아\'로 나아가려는 갈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간이 불완전하고 결핍된 존재로서 완전하고 영원한 진리와 아름다움을 찾아 끊임없이 노력하고, 그를 통해 영혼이 정화되고 성장하는 \'지적인 상승 운동\'의 원동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플라톤의 에로스는 인간의 영혼을 높은 곳으로 이끄는 철학적 사유와 미적 추구의 동력입니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육체적 욕망과 외적인 가치에 사로잡혀 내면의 진정한 가치를 보지 못하는 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외모가 아니라 그의 언변과 지적 탁월함, 그리고 영혼의 아름다움에 매력을 느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는 소크라테스를 자신의 명예나 정치적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려 하거나, 소크라테스의 내면적 지혜를 자신의 육체적 매력과 교환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입니다. 이는 진정으로 아름다움의 이데아를 향해 영혼을 상승시키려는 플라톤적 에로스가 아닌, 여전히 육체적이고 외적인 교환 가치에 머무르려는 모습입니다.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영혼의 아름다움은 인지했으나, 그 아름다움이 영원한 진리와 지혜를 향한 에로스의 상승 운동으로 나아가야 함을 깨닫지 못하고, 여전히 세속적인 욕망과 명예에 묶여 있는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황필호. (2018). 『서양철학사 이야기: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지성사 여행』. 철학아카데미.
이병정. (2019). 『니코마코스 윤리학 해설』. 이학사.
박이문. (2017). 『사랑과 미의 철학』. 한길사.
지정남. (2020). 『프로이트와 무의식의 세계』. 민음사.
정윤형. (2015). 「정언명령과 자율: 칸트 윤리학의 핵심」. 『철학연구』, 114집, 237-268.
5) 에로스를 플라톤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플라톤에게 에로스는 단순한 육체적 욕망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선(善)의 이데아를 향한 영혼의 끊임없는 상승 욕구\'입니다. 『향연』에서 소크라테스는 디오티마의 가르침을 빌어 에로스를 신과 인간 사이의 중간자, 즉 \'다이몬\'으로 설명합니다. 에로스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존재로서, 처음에는 육체적 아름다움에서 시작하여 점차 영혼의 아름다움, 학문과 법의 아름다움, 나아가 모든 아름다움의 원천인 \'아름다움 자체의 이데아\'로 나아가려는 갈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간이 불완전하고 결핍된 존재로서 완전하고 영원한 진리와 아름다움을 찾아 끊임없이 노력하고, 그를 통해 영혼이 정화되고 성장하는 \'지적인 상승 운동\'의 원동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플라톤의 에로스는 인간의 영혼을 높은 곳으로 이끄는 철학적 사유와 미적 추구의 동력입니다.
6)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알키비아데스의 태도는 \'육체적 욕망과 외적인 가치에 사로잡혀 내면의 진정한 가치를 보지 못하는 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외모가 아니라 그의 언변과 지적 탁월함, 그리고 영혼의 아름다움에 매력을 느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는 소크라테스를 자신의 명예나 정치적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려 하거나, 소크라테스의 내면적 지혜를 자신의 육체적 매력과 교환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입니다. 이는 진정으로 아름다움의 이데아를 향해 영혼을 상승시키려는 플라톤적 에로스가 아닌, 여전히 육체적이고 외적인 교환 가치에 머무르려는 모습입니다. 알키비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영혼의 아름다움은 인지했으나, 그 아름다움이 영원한 진리와 지혜를 향한 에로스의 상승 운동으로 나아가야 함을 깨닫지 못하고, 여전히 세속적인 욕망과 명예에 묶여 있는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황필호. (2018). 『서양철학사 이야기: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지성사 여행』. 철학아카데미.
이병정. (2019). 『니코마코스 윤리학 해설』. 이학사.
박이문. (2017). 『사랑과 미의 철학』. 한길사.
지정남. (2020). 『프로이트와 무의식의 세계』. 민음사.
정윤형. (2015). 「정언명령과 자율: 칸트 윤리학의 핵심」. 『철학연구』, 114집, 237-268.
키워드
추천자료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철학의 이해, 공통형)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2.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철학의이해 2025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 교재와 강의 4장을 공부하고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에로스로서의 사랑-결핍과 충족)에 딸린 6개 문항
2025 철학의이해 중간과제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8개 문항 + 교재 92페이지의 2번문제 (에로스로서의 사랑- 결핍과 충족) 6개 문항]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중간과제물)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2.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중간과제물 철학의이해,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유가의 도덕적 삶
(철학의이해) 20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교재와 강의 2장에서는 여러 철학자들의 인간관이 소개됩니다. 이를 공부하고 아래 두 문제를 작성합니다.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2.이번에는 가장 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철학의이해 2023년 2학기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철학의 이해)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