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않았으나 대장균의 경우에는 공사 중에 들어 공사전에 비하여 큰 폭으로 군수가 감소하였다.
조사지점의 여름철 초기우수의 경우 BOD와 SS, VSS 등의 항목이 같은 계절 평상시보다 수치가 증가하였고, DO, pH, 온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우수시에는 평상시보다 수질이 일시적으로 나빠지고 약간 산성화 되며, 온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가을철 조사에서는 COD, 색도, SS, VSS, 탁도 등이 공사전에 비하여 그 농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수질등급을 지시하는 BOD가 공사전 1~8.5㎎/ℓ(W1 제외)의 농도에 분포하였으나 공사중인 가을철에는 0.5~27.5㎎/ℓ에 분포하여 공사중에 수질이 두드러지게 악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04년 가을에 들어서면서 청계천 본류뿐 아니라 수질조사 포인트인 성북천, 정릉천 합류지점도 복원공사를 시작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식물상
조사지역에 출현한 식물은 총 71과 236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사지역별로는 W0지역에서 57과 151종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W2지역에서 23과 49종으로 가장 적은 분류군이 출현하는 등 서식환경이 양호할수록 출현종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2003년 결과와 비교하면 39종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올해의 경우 4월 조사로 인해 봄에 출현하는 분류군이 새로 편입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2004년 공사중 조사결과 우점하는 식물종은 국화과(37종)와 벼과(30종) 식물로서 2003년도와 같았다. 그 외 장미과(16종), 콩과(10종), 십자화과(9종)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이들 상위 5개 과의 식물은 약 43.2%를 차지하였다.
- 식생
식생의 경우 대부분 나대지나 교란지를 서식처로 하는 군락들이 우점하여 비교구간을 제외한 대상지의 생태적 안정성은 매우 불안정함을 나타내었다. 공사전과 공사중의 식물 및 식물상의 변화는 W3지점의 경우 출현종이 2배로 증가하면서 귀화종의 비율도 증가하였으나 다른 지점에서는 두드러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 야생조류상
조사대상지 구간에서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10목 21과 35종이었다. W0과 복개구간의 개체수는 각각 317개체와 325개체로 비슷하였으나 W4는 553개체로 가장 많았다. 또한 종수는 복개구간이 4종으로 W0의 24종과 W4의 18종에 비하여 매우 적은 종이 출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대상지에 출현한 야생조류의 종수와 개체수를 통하여 복개된 지역에는 도시화에 적응한 소수 종의 개체수는 많으나 다양한 야생조류의 서식은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야생조류의 개체수는 W0과 복개구간이 서로 비슷하였지만 종수는 W1, 2, 3지점에 비해 W0지점에서 매우 많았다. 이는 복개구간이 소수의 종이 다수의 개체로 우점하고 있는 도시화지역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W4에서는 천연기념물 323호인 황조롱이와 환경부에서 선정한 보호야생동물인 흰목물떼새가 확인되어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종다양도는 복개구간이 W0나 W4구간에 비하여 매우 낮았지만 복원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복개구간의 종다양도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 어류상
조사구간에서 밝혀진 어류는 모두 2과 6속 7종으로 잉어과 어류가 99.0%, 미꾸리과 어류가 1.0%를 자치하고 있었다. 또한 우점한 어류는 붕어로서 전체 개체수의 58.3%를 차지하였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였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2003년도 공사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어종의 수와 우점종은 같았지만, 아우점종은 공사전 피라미에서 공사중에 들어 버들치로 바뀌었다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004년 3회에 걸친 각 조사지점의 현지조사 결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2목 25과 32종이 확인되었으며, W4에서 4월에 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나타내었고, 복원 공사가 진행중인 W1에서는 출현종이 없었다. 또한 절지동물문이 상대적 우점율이 가장 높아 2003년 공사전 모니터링결과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양서파충류
2004년 4월과 5월 2회의 조사를 통 W0지역에는 북방산개구리와 청개구리, 누룩뱀(청문조사)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W4지역에서는 붉은귀거북만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본 조사 지역 중의 하나인 살곶이 다리 주변은 중랑천과 합류하는 지역으로서, 기존 보고자료인 한강생태계 조사연구(서울특별시, 2002)에서는 중랑천 일대에 참개구리, 청개구리, 옴개구리, 황소개구리 등 양서류 4종과 파충류 중 붉은귀거북 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붉은귀거북을 제외한 다른 종들은 본 조사지역까지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느낀점>
청계광장부터 신답철교까지 수많은 bridge를 통해서 방문자와(관람객) 이동자(just 통과)간에 꽤 자유롭운 연결고리를 만들어준다.
산책로를 지나면서 중간 중간 맞게 되는 폭포는 소음을 zero에 가깝게 만들어줌(상대적 데시빌)으로써 이것만(청각적 요소)으로도 잠시나마 도심을 떠나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 도심한복판을 가르는 청계천 산책길은 서울의 매우 실제적인 역사의 한 모습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4m가 넘는 좌우 수직벽의 높이와 그위로 지나가는 view를 통해 우리는 도심을 벗어나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을 느끼기 보다는 오히려 hierarchy(위계)에 압도되는 느낌도 받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또 그러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진정한 서울의 모습 (오랜 인내와, 기쁨, 슬픔, 아픔, 한이 서려있는 서울)인듯 싶다.
이러한 생각을 하니 세운교를 지나면서 보이는 세운상가의 모습에서 \'리차드 로저스\'의 계획안 말고 그대로 남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바뀌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자하하디드\'의 동대문 운동장 재개발 계획안 역시 그대로 남아야 좋은것일까? ‘좋은것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의문의식이 일었다. 사용자(시민)와 자연(생태), 경제적(정부), 생계유지(장사꾼), 서로의 입장에 맞게 잘 타협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에 대한 의견충돌 끝에 ‘모든 것이 주관적일 수밖에 없’음 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결
조사지점의 여름철 초기우수의 경우 BOD와 SS, VSS 등의 항목이 같은 계절 평상시보다 수치가 증가하였고, DO, pH, 온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우수시에는 평상시보다 수질이 일시적으로 나빠지고 약간 산성화 되며, 온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가을철 조사에서는 COD, 색도, SS, VSS, 탁도 등이 공사전에 비하여 그 농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수질등급을 지시하는 BOD가 공사전 1~8.5㎎/ℓ(W1 제외)의 농도에 분포하였으나 공사중인 가을철에는 0.5~27.5㎎/ℓ에 분포하여 공사중에 수질이 두드러지게 악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04년 가을에 들어서면서 청계천 본류뿐 아니라 수질조사 포인트인 성북천, 정릉천 합류지점도 복원공사를 시작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식물상
조사지역에 출현한 식물은 총 71과 236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사지역별로는 W0지역에서 57과 151종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W2지역에서 23과 49종으로 가장 적은 분류군이 출현하는 등 서식환경이 양호할수록 출현종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2003년 결과와 비교하면 39종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올해의 경우 4월 조사로 인해 봄에 출현하는 분류군이 새로 편입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2004년 공사중 조사결과 우점하는 식물종은 국화과(37종)와 벼과(30종) 식물로서 2003년도와 같았다. 그 외 장미과(16종), 콩과(10종), 십자화과(9종)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이들 상위 5개 과의 식물은 약 43.2%를 차지하였다.
- 식생
식생의 경우 대부분 나대지나 교란지를 서식처로 하는 군락들이 우점하여 비교구간을 제외한 대상지의 생태적 안정성은 매우 불안정함을 나타내었다. 공사전과 공사중의 식물 및 식물상의 변화는 W3지점의 경우 출현종이 2배로 증가하면서 귀화종의 비율도 증가하였으나 다른 지점에서는 두드러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 야생조류상
조사대상지 구간에서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10목 21과 35종이었다. W0과 복개구간의 개체수는 각각 317개체와 325개체로 비슷하였으나 W4는 553개체로 가장 많았다. 또한 종수는 복개구간이 4종으로 W0의 24종과 W4의 18종에 비하여 매우 적은 종이 출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대상지에 출현한 야생조류의 종수와 개체수를 통하여 복개된 지역에는 도시화에 적응한 소수 종의 개체수는 많으나 다양한 야생조류의 서식은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야생조류의 개체수는 W0과 복개구간이 서로 비슷하였지만 종수는 W1, 2, 3지점에 비해 W0지점에서 매우 많았다. 이는 복개구간이 소수의 종이 다수의 개체로 우점하고 있는 도시화지역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W4에서는 천연기념물 323호인 황조롱이와 환경부에서 선정한 보호야생동물인 흰목물떼새가 확인되어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종다양도는 복개구간이 W0나 W4구간에 비하여 매우 낮았지만 복원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복개구간의 종다양도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 어류상
조사구간에서 밝혀진 어류는 모두 2과 6속 7종으로 잉어과 어류가 99.0%, 미꾸리과 어류가 1.0%를 자치하고 있었다. 또한 우점한 어류는 붕어로서 전체 개체수의 58.3%를 차지하였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였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2003년도 공사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어종의 수와 우점종은 같았지만, 아우점종은 공사전 피라미에서 공사중에 들어 버들치로 바뀌었다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004년 3회에 걸친 각 조사지점의 현지조사 결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2목 25과 32종이 확인되었으며, W4에서 4월에 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나타내었고, 복원 공사가 진행중인 W1에서는 출현종이 없었다. 또한 절지동물문이 상대적 우점율이 가장 높아 2003년 공사전 모니터링결과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양서파충류
2004년 4월과 5월 2회의 조사를 통 W0지역에는 북방산개구리와 청개구리, 누룩뱀(청문조사)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W4지역에서는 붉은귀거북만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본 조사 지역 중의 하나인 살곶이 다리 주변은 중랑천과 합류하는 지역으로서, 기존 보고자료인 한강생태계 조사연구(서울특별시, 2002)에서는 중랑천 일대에 참개구리, 청개구리, 옴개구리, 황소개구리 등 양서류 4종과 파충류 중 붉은귀거북 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붉은귀거북을 제외한 다른 종들은 본 조사지역까지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느낀점>
청계광장부터 신답철교까지 수많은 bridge를 통해서 방문자와(관람객) 이동자(just 통과)간에 꽤 자유롭운 연결고리를 만들어준다.
산책로를 지나면서 중간 중간 맞게 되는 폭포는 소음을 zero에 가깝게 만들어줌(상대적 데시빌)으로써 이것만(청각적 요소)으로도 잠시나마 도심을 떠나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 도심한복판을 가르는 청계천 산책길은 서울의 매우 실제적인 역사의 한 모습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4m가 넘는 좌우 수직벽의 높이와 그위로 지나가는 view를 통해 우리는 도심을 벗어나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을 느끼기 보다는 오히려 hierarchy(위계)에 압도되는 느낌도 받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또 그러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 진정한 서울의 모습 (오랜 인내와, 기쁨, 슬픔, 아픔, 한이 서려있는 서울)인듯 싶다.
이러한 생각을 하니 세운교를 지나면서 보이는 세운상가의 모습에서 \'리차드 로저스\'의 계획안 말고 그대로 남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바뀌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자하하디드\'의 동대문 운동장 재개발 계획안 역시 그대로 남아야 좋은것일까? ‘좋은것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의문의식이 일었다. 사용자(시민)와 자연(생태), 경제적(정부), 생계유지(장사꾼), 서로의 입장에 맞게 잘 타협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에 대한 의견충돌 끝에 ‘모든 것이 주관적일 수밖에 없’음 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결
추천자료
친환경 도시 -인간과 자연의 공존-
주거학 친환경 주택
웰빙시대 친환경 농산물 마케팅 전략
한국의 친환경 유기농산물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경영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의 현황 및 활성화방안
조선호텔과 신라호텔의 친환경경영, 마케팅, 최종 - 웨스틴 조선호텔의 환경마케팅과 향후 전...
포트폴리오_내가 탈 친환경 자동차 스케치 도면으로 나타내기
공간예술空間藝術의 이해 제 1과제-친환경or지속가능한 공간 고찰
영국에서 친환경을 배우다
친환경차(전기자동차)의 필요성/기술 현황/정책대응방향에 대하여~*
생물과학 2017>우리나라에서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이들 농법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
생물과학=우리나라에서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이들 농법이 자연생태계에미치는 영향을...
생물과학)우리나라에서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이들 농법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