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러시아 혁명이 여성 평등과 해방에 끼친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여성 평등과 해방에 끼친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통사회의 여성의 지위와 사상적 배경
1) 러시아 전통사회와 여성
2) 사상적 선구자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Ⅲ. 러시아 혁명과 여성의 권리
1) 가족법과 여권의 신장
2) 노동법과 여성의 경제권
3) 제노트젤의 설립과 여성의 정치참여

Ⅳ. 결론

본문내용

, 「러시아 연구」는 서울대학교 러시아 연구소에서 연 2회 발행하는 전문학술지로서 러시아 및 동유럽 여러 나라들의 언어, 문학,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및 사회 전반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의 러시아 연구가 최근의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렇듯 러시아 연구가 부족한 국내에서 러시아 여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가족법에 관한 연구는 남석주 러시아의 여성과 관련된 저술로「소비에트 정권초기의 여성문제」, 「소비에트 정권초기의 가족법 변화」,「소비에트 정권초기의 가족법 변화」,『서양의 가족과 성』이 있다.
가 주(主)를 이루고 있으며, 대부분이 러시아의 역사를 전공한 사람들이 아닌 여성운동과 관련된 저서와 논문이 있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자가 없는 관계로 보다 다양한 시각이나 생각, 관점을 다루기는 어려우나 역사학자뿐만이 아니라 여성학자들에 의해 번역되고, 집필된 논문과 책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수용되었던 러시아 혁명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위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1917년 볼세비키 혁명을 중심으로 변한 여성의 위치의 변화를 자의와 타의 사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917년 혁명을 계기로 여성에 관한 법이 명문화 되었으나 이후 사회적, 정치적인 여성의 활동이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을 통하여 여성의 위치 변화가 스스로 획득한 것이 아닌 정치적 과정에서의 결과물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갖고 여성의 위치 변화의 주체에 대하여 생각하고 앞으로 러시아 여성에 관한 과제와 수용할 점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Ⅱ. 전통사회의 여성의 지위와 사상적 배경
1) 러시아 전통사회와 여성
18세기에 잇따라 여성들이 황제자리에 올랐다고 하는 유례 드문 역사를 자랑하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제외한 이 나라의 모든 여성들은 일체의 권리를 배제당하고 있었다 한정숙, 「혁명, 그리고 여성해방」,『여성사 연구회』제2호, 창작과 비평사, 1990. p.27참조
.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의 전통적 여성관은 가부장적이며 전형적인 남녀 간의 불평등 구조를 토대로 한 러시아적 가부장제(Патриархат) 구약성서에 하느님으로부터 전권을 부여받았던 아브라함, 이삭, 야곱 등에 의해 대표되었던 족장제적 가부장제를 의미한다.
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법적으로 성인이 된 여성들은 타인과 거래를 하거나 타인의 후견인 될 수 있는 자격을 갖는 독립적인 존재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가장인 남편에게 무조건적으로 복종해야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남편의 허락 없이 법적인 행사를 할 수가 없었다. 그 예로 시민들이 여행하기에 앞서 국내통행증을 발급 받도록 의무화하였는데, 여성은 자기 부모나 남편의 허락이 없으면 통행증을 받을 수 없었다. 리처드에번스, 정백현 외 옮김, 『페미니스트: 비교사적 시각에서 본 여성운동』, 창작과비평사, 1997, p.159
귀족층의 여성들도 정식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했으며 ‘신부수업’을 받은 후 사교계에 나와 가문과 재력 있는 남성으로부터 구혼을 기다리는 처지였다. 결혼 후에는 적출의 귀족 상속자를 출산하는 것이 가장 큰 의무였다. 김은실, 「소비에트 사회에서의 여성해방론 실험: 콜론타이의 여성해방론을 중심으로」,『아시아여성연구』
제43집 2호, 숙명여자대학교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p.170
공식적인 교육은 현실적으로 모스크바와 상뜨 뻬쩨르부르그에서만 가능했다. 남녀공학은 아예 있지도 않았으며 1856년에 러시아 각급 학교에 취학중인 여학생은 총 학생수의 10.7%에 달하는 5만 1632명이었다. 리처드에번스, 정백현 외 옮김, 위의 책 p.159
귀족층 여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성들은 노동력의 제공자였다. 러시아는 토지분배나 연공, 부역 및 조세의 부과에서 한 쌍의 농민부부를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였다. 여성농민들은 남성과 동등하게 경작노동에 종사하는 생산노동자였으면서도 가사와 출산, 육아를 떠맡아야 했다. 즉 이들은 농촌공동체인 미르(Мир)의 자치적 권리도, 토지에 대한 권리도 인정받지 못하고, 생산자로서, 2세 출산의 담당자로서 역할을 맡아왔다. 그러면서도 여성들은 남편들에게 바바(баба: 여성을 비하하는 말)라고 불렸으며 남성들의 구타와 폭언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김은실, 위의 논문, pp.170~171
심지어 상인계급에서조차 1870년대까지 여성이 집 밖으로 나다니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리처드에번스, 정백현 외 옮김, 위의 책, p.159
19세기 귀족 출신의 러시아 민속학자인 네볼신(П.Н. Небольсин)은 전통적인 러시아 여성들의 열악한 신분적 상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아내는 말이 아니다. 인간적으로 대해주어야만 한다.” 재인용, 남석주,「소비에트 정권초기의 여성문제」,『슬라브 학보』16호, 2001, p.419
В.Н. Мириов, Социальиая история россии, T.1, СПб 1999, p.237
러시아 속담에도 “머리카락은 긴 것이 생각하는 것은 짧다.”, “남정네와 개는 늘 마당에서 놀고, 여편네와 고양이는 늘 상 집구석에 박혀있다.”, “암탉은 새가 아니며 여편네는 사람이 아니다.”등이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정통적인 러시아 사회가 얼마나 남성 중심적 가부장 사회였으며 그 가운데서 여성들의 신분적 위치가 얼마나 열악하였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남석주, 위의 논문, p.426
이러한 러시아 여성의 혁명 전의 사회적 지위나 위치에 관하여 테렘, 남편에 의한 아내 구타, 이혼의 가족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테렘(Терем)은 16세기에서 17세기 러시아 귀족 여성들의 삶의 공간으로 자벨린(И.Е. Забелин)은 그의 저서 『16세기에서 17세기 러시아 왕실부인들의 생활양식』에서금욕주의 정신을 강조하는 비잔틴의 종교적 영향 때문에 생겼는데, 속세를 떠나 은둔생활을 함으로써 수도원적 이상 혹은 수도사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러시아인들의 종교적 열망에서 생겨났다고 이야기 한다. 푸쉬카레예바는 16세기 중반에 여인은 매우 값진 상품과 같은 존재였음을 상기시켰다. 세습귀족들과 공후들, 왕가들과의 정략결혼 등에 사용되기 위해서 처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3.26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