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심폐소생술의 정의
2.심폐소생술의 방법
Ⅱ.심폐소생술의 종류
1.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2.전문 인명 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 ALS)
Ⅲ.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1. 기본 인명 구조술의 기본개념
2. 방법
<1>성인
<2>소아
<3>영아
Ⅳ.전문 인명 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 ALS)
1.전문 심장 구조술
(1)1차 평가
(2)2차 평가 및 처치
(3)전문 심장 구조술의 절차(= 기본 + 진맥)
(4)빈맥(tachycardia)의 치료
(5)서맥(bradycardia)의 치료과정
(6)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무맥성 심실빈맥의 알고리즘
(7)무수축(asystole)의 치료과정
(8)무맥성 전기활동(PEA)의 치료과정
2.전문 소아 구조술
(1)호흡보조기구와 환기백과 마스크
(2)기관내 삽관법
(3)경구 기도기와 경비기도기 삽관법
(4)정맥내 약제 주입의 시작과 유지
(5)비침습적 호흡 모니터와 정맥내 약제 주입의 시작과 유지
(6)제세동, 심율동 전환, 외부조율기
Ⅴ.결론
Ⅵ.참고문헌
1.심폐소생술의 정의
2.심폐소생술의 방법
Ⅱ.심폐소생술의 종류
1.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2.전문 인명 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 ALS)
Ⅲ.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1. 기본 인명 구조술의 기본개념
2. 방법
<1>성인
<2>소아
<3>영아
Ⅳ.전문 인명 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 ALS)
1.전문 심장 구조술
(1)1차 평가
(2)2차 평가 및 처치
(3)전문 심장 구조술의 절차(= 기본 + 진맥)
(4)빈맥(tachycardia)의 치료
(5)서맥(bradycardia)의 치료과정
(6)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무맥성 심실빈맥의 알고리즘
(7)무수축(asystole)의 치료과정
(8)무맥성 전기활동(PEA)의 치료과정
2.전문 소아 구조술
(1)호흡보조기구와 환기백과 마스크
(2)기관내 삽관법
(3)경구 기도기와 경비기도기 삽관법
(4)정맥내 약제 주입의 시작과 유지
(5)비침습적 호흡 모니터와 정맥내 약제 주입의 시작과 유지
(6)제세동, 심율동 전환, 외부조율기
Ⅴ.결론
Ⅵ.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1.심폐소생술의 정의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과 폐의 정지현상은 급성심부전 및 폐부전증 등에 의하여 생기므로 그 원인을 분석해서 처치에 적용해야 한다. 호흡부전증의 원인으로는 저산소, 호흡기로 폐쇄 또는 폐질환,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이상, 중추성 호흡조절 능력 마비 등이 있고 심부전증의 원인으로는 심근수축력 억제, 흥분, 관상동맥혈류량 부족 등이 있다.
소생술은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된다. 시간에 따른 환자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① 0~4분 : 소생술을 실시하면 뇌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다.
② 4~6분 : 뇌 손상 가능성이 높다.
③ 6~10분 : 뇌 손상이 확실하다.
④ 10분 이상 : 심한 뇌 손상 또는 뇌사상태가 된다.
그러나 회복 불가능한 질환을 가진 사람이나 오랫동안 심장이 멈추어 살아날 가망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단, 예를 들어 물에 빠져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사람이나 어린 아이는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더라도 뇌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시행해야 한다.
2.심폐소생술의 방법
①환자평가
②구조요청
③호흡평가
④구조호흡
⑤순환평가
⑥흉부압박(분당 100회 속도) : 인공호흡(분당 12회) 30:2비율로 5번실시
⑦환자 재평가( 호흡과 맥박이 돌아왔는지 확인)
Ⅱ.심폐소생술의 종류
1.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기본 인명구조술은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한 후 조기에 환자상태를 평가하고 구조를 요청하며, 호흡 및 혈액순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단계이다. 기본 인명구조술의 목적은 전문적 인명구조술에 의하여 환자의 심박동이 회복되어 혈액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 인명구조술의 성공여부는 호흡 또는 심정지 후 얼마나 빠른 시간내에 시작되느냐에 달려있다.
2.전문 인명 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 ALS)
전문 인명 구조술이란 심정지가 발생한 성인 환자에게 기본 인명 구조술을 시행하고 전문적인 치료로서 응급약물 투여, 심전도 감시, 제세동기 등의 의료장비를 사용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술기를 말하며 의료인이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 기본 인명 구조술과 전문 인명 구조술 모두를 포함한다.
Ⅲ.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1. 기본 인명 구조술의 기본개념
○ 호흡이 정지되거나 심장이 멈추었을 때 4~6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으면 환자의 생존 가능성이 낮다.
○ 구급차가 환자에게 도착하기까지 적어도 4~5분 이상이 소요되므로 일반인들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 인명구조술은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한 후 조기에 환자상태를 평가하고 구조를 요청하며, 호흡 및 혈액순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단계이다. 기본 인명구조술의 목적은 전문적 인명구조술에 의하여 환자의 심박동이 회복되어 혈액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 인명구조술의 성공여부는 호흡 또는 심정지 후 얼마나 빠른 시간내에 시작되느냐에 달려있다.
2.방법
<1>성인
(1) 의식확인
○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발견하면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며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말한 후 반응을 살핀다. 환자를 지나치게 자극하면 목뼈를 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구조요청
○ 의식이 없으면 119로 즉시 소방서에 신고하여 장소, 환자 발생 상황등을 알려주어야 한다.
(3)환자의 자세교정
○ 필요할 경우 환자를 똑바로
1.심폐소생술의 정의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장과 폐의 정지현상은 급성심부전 및 폐부전증 등에 의하여 생기므로 그 원인을 분석해서 처치에 적용해야 한다. 호흡부전증의 원인으로는 저산소, 호흡기로 폐쇄 또는 폐질환,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이상, 중추성 호흡조절 능력 마비 등이 있고 심부전증의 원인으로는 심근수축력 억제, 흥분, 관상동맥혈류량 부족 등이 있다.
소생술은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된다. 시간에 따른 환자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① 0~4분 : 소생술을 실시하면 뇌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다.
② 4~6분 : 뇌 손상 가능성이 높다.
③ 6~10분 : 뇌 손상이 확실하다.
④ 10분 이상 : 심한 뇌 손상 또는 뇌사상태가 된다.
그러나 회복 불가능한 질환을 가진 사람이나 오랫동안 심장이 멈추어 살아날 가망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단, 예를 들어 물에 빠져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사람이나 어린 아이는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더라도 뇌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시행해야 한다.
2.심폐소생술의 방법
①환자평가
②구조요청
③호흡평가
④구조호흡
⑤순환평가
⑥흉부압박(분당 100회 속도) : 인공호흡(분당 12회) 30:2비율로 5번실시
⑦환자 재평가( 호흡과 맥박이 돌아왔는지 확인)
Ⅱ.심폐소생술의 종류
1.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기본 인명구조술은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한 후 조기에 환자상태를 평가하고 구조를 요청하며, 호흡 및 혈액순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단계이다. 기본 인명구조술의 목적은 전문적 인명구조술에 의하여 환자의 심박동이 회복되어 혈액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 인명구조술의 성공여부는 호흡 또는 심정지 후 얼마나 빠른 시간내에 시작되느냐에 달려있다.
2.전문 인명 구조술(Advanced Life Support : ALS)
전문 인명 구조술이란 심정지가 발생한 성인 환자에게 기본 인명 구조술을 시행하고 전문적인 치료로서 응급약물 투여, 심전도 감시, 제세동기 등의 의료장비를 사용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술기를 말하며 의료인이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 기본 인명 구조술과 전문 인명 구조술 모두를 포함한다.
Ⅲ.기본 인명 구조술(Basic Life Support : BLS)
1. 기본 인명 구조술의 기본개념
○ 호흡이 정지되거나 심장이 멈추었을 때 4~6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으면 환자의 생존 가능성이 낮다.
○ 구급차가 환자에게 도착하기까지 적어도 4~5분 이상이 소요되므로 일반인들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 인명구조술은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한 후 조기에 환자상태를 평가하고 구조를 요청하며, 호흡 및 혈액순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단계이다. 기본 인명구조술의 목적은 전문적 인명구조술에 의하여 환자의 심박동이 회복되어 혈액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 인명구조술의 성공여부는 호흡 또는 심정지 후 얼마나 빠른 시간내에 시작되느냐에 달려있다.
2.방법
<1>성인
(1) 의식확인
○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발견하면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며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말한 후 반응을 살핀다. 환자를 지나치게 자극하면 목뼈를 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구조요청
○ 의식이 없으면 119로 즉시 소방서에 신고하여 장소, 환자 발생 상황등을 알려주어야 한다.
(3)환자의 자세교정
○ 필요할 경우 환자를 똑바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