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냉알콜분획법를 이용하여 제조한 혈장분획제제.
알부민은 5% 용액 및 20% 용액의 제품이 상품화되어 있음.
5% 알부민은 혈장과 같은 콜로이드 삼투압 을 가지고 있으나 20% 알부민은 혈장보 다 4배 높은 삼투압 을 가지고 있음.
냉장온도에서 5년간 보존
쇼크나 화상을 가진 환 자의 줄어든 혈량을 확 장하기 위해.
저알부민혈증의 환자에 서 알부민의 증가를 위 해.
20% 알부민은 혈장보다 삼투압이 4배나 높 으므로 투여시 주의.
혈액량 과부하가 생기기 쉬운 환자에게 사용 할 때는 주의.
만성 저알부민혈증 환자는 알부민 투여로 알 부민치가 회복되기 어려우므로 장기적인 투 여는 권장되지 않음.
부작용으로 홍조, 두드러기, 오한, 발열 및 두통 등이 생길 수 있음.
factor Ⅶ 농축제제
: 수백-수천 단위 의 신선동결혈장 을 모아서 혈장 분획법을 이용하 여 factor VIII 성 분을 분리 농축 한 후 동결 건조 하여 제조.
한 병당 250단위,
500단위, 및 1,000
단위의 고순도 농축 factor VIII 제제가 상품화되어 있음.
중등증 또는 중증의 선 천성 Factor VIII 결핍 증 환자 (혈우병 A)
저역가의 Factor VIII
억제인자를 가지고 있 는 혈우병A 환자
순도가 높지 않은 factor VIII 농축제제는 비 교적 다량의 fibrinogen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여 후 환자의 fibrinogen이 증가 할 수 있음.
투여 후 부작용으로 불쾌감, 발열, 두드러
기, 오심 및 오한 등이 생길 수 있음.
factor Ⅸ 농축제제
: 수백-수천 단위 의 혈장을 모아 서 혈장분획술을 이용하여 factor IX 성분을 분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제조.
이 제제는 녹인 후 즉시 투여해야 함.
혈우병 B 또는 크리스 마스병이라고 알려진
Factor IX 결핍증 치료 Factor VIII 억제인자를 가지고 있는 혈우병 환 자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에 신중 을 기해야 함.
간질환 환자에게는 금기.
특히 antithrombin III 결핍시에는 절대 사용 금지.
->혈전증과 파종성혈관내응고가 유발될 가능 성이 높음.
후천성 Factor II, VIII, IX 또는 X 결핍증 환 자에게도 사용금지.
->이 경우에는 혈장이나 신선동결혈장을 쓰는 것이 더 좋음.
주입 속도가 빠르면 오한, 발열, 두통, 오심, 홍조 등이 생길 수 있음.
알부민은 5% 용액 및 20% 용액의 제품이 상품화되어 있음.
5% 알부민은 혈장과 같은 콜로이드 삼투압 을 가지고 있으나 20% 알부민은 혈장보 다 4배 높은 삼투압 을 가지고 있음.
냉장온도에서 5년간 보존
쇼크나 화상을 가진 환 자의 줄어든 혈량을 확 장하기 위해.
저알부민혈증의 환자에 서 알부민의 증가를 위 해.
20% 알부민은 혈장보다 삼투압이 4배나 높 으므로 투여시 주의.
혈액량 과부하가 생기기 쉬운 환자에게 사용 할 때는 주의.
만성 저알부민혈증 환자는 알부민 투여로 알 부민치가 회복되기 어려우므로 장기적인 투 여는 권장되지 않음.
부작용으로 홍조, 두드러기, 오한, 발열 및 두통 등이 생길 수 있음.
factor Ⅶ 농축제제
: 수백-수천 단위 의 신선동결혈장 을 모아서 혈장 분획법을 이용하 여 factor VIII 성 분을 분리 농축 한 후 동결 건조 하여 제조.
한 병당 250단위,
500단위, 및 1,000
단위의 고순도 농축 factor VIII 제제가 상품화되어 있음.
중등증 또는 중증의 선 천성 Factor VIII 결핍 증 환자 (혈우병 A)
저역가의 Factor VIII
억제인자를 가지고 있 는 혈우병A 환자
순도가 높지 않은 factor VIII 농축제제는 비 교적 다량의 fibrinogen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여 후 환자의 fibrinogen이 증가 할 수 있음.
투여 후 부작용으로 불쾌감, 발열, 두드러
기, 오심 및 오한 등이 생길 수 있음.
factor Ⅸ 농축제제
: 수백-수천 단위 의 혈장을 모아 서 혈장분획술을 이용하여 factor IX 성분을 분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제조.
이 제제는 녹인 후 즉시 투여해야 함.
혈우병 B 또는 크리스 마스병이라고 알려진
Factor IX 결핍증 치료 Factor VIII 억제인자를 가지고 있는 혈우병 환 자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에 신중 을 기해야 함.
간질환 환자에게는 금기.
특히 antithrombin III 결핍시에는 절대 사용 금지.
->혈전증과 파종성혈관내응고가 유발될 가능 성이 높음.
후천성 Factor II, VIII, IX 또는 X 결핍증 환 자에게도 사용금지.
->이 경우에는 혈장이나 신선동결혈장을 쓰는 것이 더 좋음.
주입 속도가 빠르면 오한, 발열, 두통, 오심, 홍조 등이 생길 수 있음.
추천자료
- 혈액형 검사법
- 혈액투석에 관한 레포트
- 혈액암(백혈병) 아동을 가진 부모 및 아동 교육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정보와 간호
- 혈액응고기전
- 혈액 종양 케이스 스터디
- 생물-혈액형
- 혈액형과_미맹의_유전은
- 혈액 투석 교실(Hemodialysis)
- 혈액형[blood groups 血液型]Blood Type Research
- 혈액대용제
- 혈액투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책을 이용하여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
- 혈액형별 성격 분석에 따른 마케팅 전략 조사
- [교수-학습 과정안] ICT활용 과학(생물)심화 탐구 과정 실험 -수혈과 혈액형(2) - ABO식 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