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계 대상자 간호사정 및 간호 진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계 대상자 간호사정 및 간호 진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무통의 덩어리를 호소
4)림프절
(1)결과 해석
①촉진 시 흉골의 민감성이나 통증을 경험→종격동 종양을 동반하는 백혈병과 림프종이 있을 경우
② 심장을 청진할 때 빈맥과 심잡음 有. →대상자가 빈혈이 심하면
→빈맥과 심잡음은 적혈구 농축액을 수혈하면 대개 사라짐
5)흉부
(1)방법
▨간과 비장의 크기는 타진과 촉진으로 사정
(2)결과 해석
①간비대나 비장비대→ 혈액과 조혈기관장애 대상자는 가 있을수 있음
→간비대는 압통과 상관없이 혈액장애에 있어 중요한 지표임
②성인의 비장은 정상적으로 촉진X
→비장비대는 만성 과립구성 백혈병과 같은 많은 혈액장애에서 나타나기 때문
→ 비장비대 혹은 비장의 끝부분이 촉진되면 더 자세한 검사 필요함
6)복부
(1)골격계에서는 일차적으로 통증, 관절변형, 관절염 등에 대해 사정
→뼈의 통증은 혈액계의 악성종양일 때 동반될 수 있음
▨뼈의통증은 백혈병환자같이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증식하는 경우 골수와 뼈에 침윤되어 축적되고 이것은 뼈에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됨
(2)결과 해석
①골막관절에 통증→ 백혈병환자는 골수에 백혈구가 침윤되어 축적됨
②요산(uric acid)의 생성이 증가되고 통풍(gout)의 발생률이 증가되는 경향↑
→ 용혈성 질환이나 혈액계의 악성종양
③관절의 통증&관절의 변형→출혈성 질환에서 관절내에 혈종
7)척추와 사지
8)근골격계
(1)근골격계 이상은 혈액과 조혈기관장애 환자에게 흔하지는 않음
(2)결과 해석
①관절기형 →혈우병과 겸상세포질환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음
▨관절에 반복되는 자연출혈은 결국 관절의 변형을 일으킨다.
▨겸상세포질환의 문제:
순환시 혈액점도 증가→순환시간↑→세포의 저산소상태악화→겸상세포증가→세포내PH와 산소분압↓
→혐기성대사시작→저산소증, 조직경색, 통증
▨겸상세포질환시 나타는 증상
빈혈(심각한수주느 망성적으로 진행), 용혈성질환, 혈관폐색, 통증(장골, 비장, 골반, 늑골,흉골의 국소적인 골수괴사가 원인)
(3)정상 관절운동범위(ROM)를 제한하여 운동 시에 통증을 유발하고 촉진 시에 압통을 일으킨다.
9)신경계
(1)결과 해석
①악성빈빈혈 환자, 즉 비타민B12결핍환자
→ 신경기능장애: 대뇌, 척수 혹은 말초신경의 침범이 원인
②백혈병이 진행되어 수막 침범시
→두통, 시력손상 혹은 뇌신경 침범증상을 나타남
③호중구 감소증이나 혈소판 감소증
→중추신경계 감염이나 출혈을 유발하여 신경계 기능장애를 나타남
2.진단검사
1)전혈구 측정검사(compete blood count, CBC)
(1)적혈구
①적혈구(erythrocyte)수 측정
결과
해석
증가
적혈구수는 높은 고도에서 생활할 때, 화상으로 인한 혈액농축 또는 원발성 다혈구혈증
감소
빈혈, 호지킨 병 혹은 백혈병 등
○정상: 남자 480만 ~550만개/ mm3, 여자 400만 ~500만개/ mm3
②혈색소(hemoglobin)
○정의: 적혈구의 혈색소 포함 량을 측정 하는 검사
혈액 100ml 당 Hb 의 무게 측정
○정상: 남자 13,0~16,5g/100ml , 여자 12~15.5g /100ml
결과
해석
증가
다혈구증, 적혈구 증가증, 화상으로 인한 혈액의 농축, 높은고도(high altitude)에서는 혈색소가 상승
감소
혈구파괴가 증가, 적혈구 생산이 감소되는 빈혈
③헤마토크리트(hematocrit, Hte)
○목적: 헤마토크리트나 적혈구 농축용적()은 전혈에 대한 적혈구의 용량을 비율로 측정
○정상: 남자 40~45% , 여자 37~45%
결과
해석
증가
원발성 다혈구혈증, 혈액이 농축될 때 .
감소
혈액생산의 감소, 적혈수 파괴의 증가, 백혈병, 림프종으로 인한 빈혈
④적혈구 지표(erythrocyte indices)
○정의: 적혈구 지표는 평균 적혈구의 크기, 무게, 혈색소 성분을 측정하는 검사.
구분
평균적혈구 용적
(mean corpuscular volume MCV)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
(mean corpuscular volume MCH)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정의
적혈구 1개의 평균 크기와 용적
적혈구당 평균 혈색소
농축 적혈구 100cc 내 Hct당 Hb 의양
공식
Hct/ RBC
Hb/RBC
Hb/Hct
정상
87 ±53
29±2
30~36g/100ml농축 적혈구
결과 해석
MCV<80: 정상 보다 작은세포
MCV>94: 정상 보다 큰 세포
MCH<27:Hb 결핍세포
MCH>32: 비정상 적으로 혈색소를 과량 포함 하고 있는 대적혈구
MCHC<32: Hb결핍
MCHC는 정상, MCH>32이면 적혈구가 정상 보다 커서 농축 적혈구 100ml 내에 존재하는 적혈구 수가 정상 보다 적다는 것을 의미
○목적:적혈구 지표검사는 다양한 종류의 빈혈을 진단하는 지표임.
⑤적혈구 염색검사(stained red cell examination)
→염색 혈액도말에 의해 염색되는 특성뿐만 아니라 적혈구의 크기, 모양, 구조의 이 상 파악.
→빈혈, 백혈병과 지중해 빈혈을 진단하고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부작용을 파악하 는것이 목적.
(2)백혈구
①백혈구수 측정
○목적:백혈구 수는 혈액1ml내에 순환하는 백혈구 수를 측정
○정상: 4.000~9,000개/mm
○감염 상태나 염증을 진단 하는데 유용하며 그 외 화학 요법이나 혹은 방사선 요법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평 가 할때도 시행
결과
해석
증가
감염, 백혈병, 조직 괴사
감소
골수저하
②백혈구 감별검사(white blood cell count and difference)
○정의: 100개의 백혈구 중에 다섯 중류의 백혈구 분포를 측정 하는 검사.
○인체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과 백혈병 확인 및 분류에 도움이 됨.
○정상
호중구
60~70%
호산구
0~5%
호염기성 구
0~3%
림프구
30~40%
단핵구
0~5%
구분
결과
해석
호중구
증가
염증성 질환, 조직 괴사
감소
골수 저하, 바이러스 감염
호산구
증가
앨러지 반응, 피부 질환
감소
스트레스 반응, 쿠씽 증후군
호염기구
증가
백혈병, 용혈성 빈혈
감소
앨러지 반응(정상 범위가 작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3.3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6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