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도상가 개선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시 지하도상가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하공간(Underground Space)의 기본개념
1.지하공간의 정의
2.지하공간 개발목적
3.지하공간의 개발방식

Ⅱ 국내 지하공간 개발현황 및 법제도
1.국내 지하공간 개발현황
2.지하공공보도시설
3.지하공간 관련 국내 법제도 분석

Ⅲ 국외 지하공간 개발현황
1.캐나다형 도시지하공간 개발
2.일본형 도시지하공간 개발

Ⅳ 서울소재 사업대상지(강남역, 강남터미널, 잠실역) 분석
1.사업대상지 시설현황
2.사업대상지 상가특징
3.사업대상지 피설문자 특성 및 상가운영 사항

Ⅴ 서울소재지 지하공공보도시설의 리모델링
1.서울소재지 지하공공보도시설 리모델링 이슈
2.관리운영 문제점 및 대안
3.당면과제 해결을 위한 대안

Ⅵ 결론
1.지하공간 개발의 기본 패러다임 설정
2.지하공간 활성화에 대한 법제도적인 문제점 도출
3.지하공공보도시설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안 설정

본문내용

1
31
기타
2
2
1
2
3
2
3
0
2
0
1
2
5
소계
132
226
164
238
284
162
360
51
205
131
90
45
522
분류
강남역
강남터미널
잠실역
IEQ 문제
공기질 개선(5명)
온도개선(10명)
공기질 개선(6명)
온도개선(5명)
환기시설
실내습도
먼지 방지
관리문제
같은 업종의 중복
화장실 청결(2명)
조도 높일 것
땡집(땡처리하는집) 없애고 고급 분위기 형성
임대료 인하(2명)
관리비 인하
화장실 청결개선(2명)
지나치게 높은 조도
임대료 인하(3명)
업종간 과다경쟁 방지
각종 범죄 방지
휴지통 설치/청결
업종 변경 관리
시설문제
휴게공간(2명)
알림판 설치(2명)
출입구 확대
지하분위기 없애는
나무/식물 확보
화장실 환경개선(2명)
전체적인 환경개선
자연광 도입
낙후시설의 전반적 개선
청결한 환경(2명)
화장실 부족
휴게공간
2)지하공공보도시설 활성화 방향 및 개선점
(6)지하공공보도시설 사용자 의식 종합
분류
강남역
강남터미널
잠실역
종합
시설불만
①열악한 실내환경
②디자인 부족
③안전 불안
①열악한 실내환경
②안전 불안
③디자인 부족
①열악한 실내환경
②공간협소와 복잡
③안전불안
상가수의 과다
①열악한 실내환경
②안전 불안
③디자인 부족
실내디자인 개선
①밝고 경쾌함
②개성과 특징
①밝고 경쾌함
②개성과 특징
①개성과 특징
②화려와 세련
①밝고 경쾌함
②개성과 특징
실내이동 문제점
①방향감 부족
②계단과다
③표지판 문제
①방향감 부족
②통로협소
③계단과다
①방향감 부족
②통로협소
③표지판 문제
①방향감 부족
②통로협소
③계단과다
④표지판 문제
점포개수
①많은 편
②적당
③너무 많음
①많은 편
②적당
③너무 많음
①적당
②많은 편
③너무 많음
①많은 편
②적당
③너무 많음
보강필요시설
①화장실
②휴게의자
③만남의 광장
④휴지통/
⑤표지판/안내도
①화장실
②휴게의자
③표지판/안내도
④휴지통/
만남의 광장
①휴게의자
②표지판/안내도/
휴지통
③만남의 광장
④화장실
①휴게의자
②화장실
③표지판/안내도/
휴지통
④만남의 광장
주변연결시 매출액영향
①상승
②영향없음
①상승
②영향없음
①상승
②영향없음
①상승
②영향없음
주변연결시 예상문제점
①임대료 상승
②경쟁과열
①임대료 상승
②경쟁과열
①경쟁과열
②임대료 상승
①임대료 상승,
경쟁과열
지하공간 선호이유
①기후안전
②차량안전
③쇼핑
①기후안전
②쇼핑
③차량안전
①기후안전
②쇼핑
③차량안전
①기후안전
②쇼핑
③차량안전
시설대표 개선점
①온도개선
②공기질 개선
①공기질 개선
②온도개선
①임대료 인하
②업종관리
①온도개선
②공기질개선
③화장실문제
④임대료 인하
Ⅴ 서울소재지 지하공공보도시설의 리모델링
1.서울소재지 지하공공보도시설 리모델링 이슈
(1)민간투자 이슈
기존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은 민간투자를 통해 개발할 수 있는 사회기반시설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고, 더구나 리모델링 비용이 투자금액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리모델링 공사에 대한 근본적인 제약
(2)시설기준 이슈
①천장설치
도로 지하부에 지하공공보도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천창설치 의무화
→ 천창 또는 선큰을 통한 채광창 설치 등으로 완화 필요
②지하보도 바닥에 계단 설치 금지
→ 고저차가 심할 경우 경사로 대신 엘리베이터 및 계단 설치가 가능토록 완화
③지하도 출입시설 내측간격은 100m 이내로 규정
→ 기능상 출입이 적합한 주변건물 연결통로는 출입시설로 인정
2.관리운영 문제점 및 대안
(1)관리운영현황
①상가관리현황
구분
상가수
총 규모
준공시기
인수시기
비고
공단관리
30개
146,440.32㎡
1967~81년
1984.4~2006.12
민간관리는 2006.12월로 소멸
②임대료 및 관리비 현황(2006년 12월 현재)
서울시 지하상가관리운영에 따른 2006년도 비용은 17,697백만원이며, 수입은 15,840백만원 으로 연 18억5천7백만원의 적자 발생. 개보수 비용은 별도
상가수
관리개시일
평균보증금(원/평당)
평균월임대료(원/평당)
평균관리비(원/평당)
30개
1984.4~2006.12
1,787,000
74,500
17,094
③리모델링 현황
리모델링 여부
개소
면적
개보수 비용
기간
실시
21
74,730.91㎡(22,606평)
564억
1998~2007년
미실시
9
71,709.41㎡(21,692평)
600억
2008년 이후 예정

30
146,440.31㎡(44,298평)
④개보수된 상가의 시설물 관리의 한계
지하공공보도시설은 공공시설물 임에도 불구하고 무상 사용기간 만료이후 기존 구조물의 외관 위주로 시행
공공 이용공간의 확보 미비
-공공보도 기능으로서의 공간확보 미흡
-휴게공간 기능으로서의 편의 공간확보 미흡
-공중이용시설 확보 및 개선 등이 미흡
기계실 공간 확보 미비
-지하공간 공기질 개선이 미흡
-방범, 방재, 화재대응, 정보화 등에 대해 대응이 미흡
상권관리기능의 비효율성
투자비 회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시설물 개보수
-서울시 재정 운용 기회 상실
(2)서울시의 현실적 당면과제
①현재 서울시는 매년 약 20억원의 순수한 상가 관리유지비의 적자와 현재까지의 개보수 비용 560억, 년 46억(감가상각)을 포함하면 매년 70억 이상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며 상가로부터 적자보전을 위해 임대료의 현실화 시행에 직면해 왔으나 상인들의 반발로 만성적인 적자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②2005년부터는 서울시가 임대료의 현실화를 위한 감정평가 등 공개경쟁 입찰제를 도입하여 마치 객관적 기준으로 한 공정한 임대가의 현실적 적용으로 보아지만 실상은 기존 상인들의 집단반발과 담합행위로 임대료의 현실화는 난관에 봉착해 있는 실정
③기존 시설물 개보수 역시 상인들의 집단민원의 발생으로 기존 점포면적을 축소할 수 없는 바, 휴게공간조성, 냉난방시설, 공조시설 등 질적 수준 향상없이 단순한 외관상의 형태로 21개 지하공공보도시설을 개보수 하였으며, 잔여 지하공공보도시설도 동일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
④상가의 관리는 시설물관리(청소, 경비) 위주로 민간외 외주 위탁. 그러나 상가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는 전혀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임차인은 영업이 되지
  • 가격4,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6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