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의 와인 실태
(1) 일반 와인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한국
(2) 한국 와인
(3) 유통 실태
(4) 국내 와인 생산 현황
(5) 주요 수입 대상국 현황
(6) 마케팅 현황
2. Benchmarking
(1) 일본
(2) 미국
3. Blue Ocean의 창출을 통한 변칙적 와인의 성공의 사례
(1) 호주의 Yellow Tale
4. 한국 와인의 SWOT분석
5. 결론 : 한국 와인의 세계화 전략방안
(1) 변칙적 와인의 개발 방안
(2) 포도 외, 과실로 만든 와인의 개발을 통한 세계화
(3)포도농가 모아 와인공장 설립
(4) 와인파크
(5) 홍보 방안
6. 참고문헌 및 자료
(1) 일반 와인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한국
(2) 한국 와인
(3) 유통 실태
(4) 국내 와인 생산 현황
(5) 주요 수입 대상국 현황
(6) 마케팅 현황
2. Benchmarking
(1) 일본
(2) 미국
3. Blue Ocean의 창출을 통한 변칙적 와인의 성공의 사례
(1) 호주의 Yellow Tale
4. 한국 와인의 SWOT분석
5. 결론 : 한국 와인의 세계화 전략방안
(1) 변칙적 와인의 개발 방안
(2) 포도 외, 과실로 만든 와인의 개발을 통한 세계화
(3)포도농가 모아 와인공장 설립
(4) 와인파크
(5) 홍보 방안
6.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문화적 풍미 + 저렴한 가격”을 모토로 한 와인 이미지 쇄신
- 가격에 있어 다양한 선택의 폭을 활용한 주류시장의 고가 저가 시장 모두 공략
- 건강을 주제로 한 와인에 대한 인식 확산 전략 수립
W (약점)
WO 전략
WT전략
- 아직은 소주와 같은 고도수 주류 선호 현상
- 마시고 취하자는 술문화
- 대국민 마케팅의 부재
(타켓 마케팅 위주)
- 수입되는 와인의 다양성 부재
- 맥주 소주와 같은 휴대성 부족
- 웰빙과 저도수 술을 연관시킨 인식 확산 변화 시도
- 수입선 다변화를 통한 시장 성장 전략 수립
- 여성남성, 젊은층중장년층 모두가 쉽게 즐길 수 술이라는 마케팅 실시
- 개선해야할 술 문화의 해법으로 와인소비를 제시
- 캔제품 출시 및 용량의 다양화로 휴대성 개선
- 유통망 정비 및 다양한 제품 수입 및 유통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확산시키고 시장 확대함
- 수입업체 구조적 정비를 통한 와인에 대한 통일되고 정리된 인식 확산 노력 강구
- 판매소 증대를 통한 소비자와의 접근성 개선, 그리고 이를 통한 소비자와의 친숙감 형성
5. 결론 : 한국 와인의 세계화 전략방안
(1) 변칙적 와인의 개발 방안 : 백세주
지금으로부터 1년 전, 백세주는 캐나다 온타리오州 주류관리국(LCBO : Liquor Control Board of Ontario)을 통해 정식으로 유통되기 시작했으며, 백세주의 도수는 와인과 비슷한 13도이기 때문에 실제로 와인류로 분류돼 판매됐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고 2004년 2월 토론토에서 열린 ‘2004 캐나다 세계 식음료 쇼 (The Canadian / International Food & Beverage Show)’ 에 몇몇 한국 업체와 함께 참가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백세주는 한국산 주류로서 캐나다에서의 입지를 넓혀 나갔다.
(2) 포도 외, 과실로 만든 와인의 개발을 통한 세계화
우리 나라 와인의 특징은 그 재료가 포도 외에 복분자, 산머루와 같은 원료로 만든 와인이 많다. 이런 와인의 맛과 향은 독특하다는 평이 많다. 또, 그 영양성분이 우수해 건강상의 효과가 더욱 높다. 그러므로 이런 와인의 효과를 이용한 홍보로 세계화의 한 몫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3) 포도농가 모아 와인공장 설립
시작 단계에 불과한 한국 와인을 만들고, 또 세계화 하기 위해서는 어느 특정인이나, 작은 단체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포도 농가를 모아 와인공장을 설립하고, 조합을 만들도록 한다. 이렇게 된다면, 표준화, 기계화, 고품질 생산, 경비의 절감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죽어가는 한국 농업을 살기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도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원료를 공급해 주는 조합을 만듬과 동시에 이들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연구팀, 대학의 학과 설치 등을 통해 기술적인 지원을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와 같은 와인 선진국을 견학해, 생산 노하우를 배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선진국의 노하우를 쉽게 전수 받기 힘들다면, 여러차례의 견학을 통해서라도 날카로운 눈썰미로 기억해 두었다가 기술을 접목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4)와인파크
이러한 위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와인 생산과 더불어 유통망까지 확보할 수 있는 와인 테마파크를 구상하게 되었다. 와인파크는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와인 파크에서 착안한 것으로 관광지와 더불어 와인생산, 유통까지 통합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상 다각적인 한국 와인산업 시장 조사를 통해 와인테마 파크라는 새로운 형태의 수익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는 한국의 와인산업이 유통망 정비와 다양한 제품 수입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확산 시킬수 있으며.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입업체 구조적 정비를 통한 와인에 대한 통일되고 정리된 인식과 확산 노력이 필요하며 가격에 있어 다양한 선택의 폭을 활용한 주류시장의 고가, 저가 시장을 모두 공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와인의 고풍스런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 마케팅과 건강에 높은 관심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한다면 한국의 와인산업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사례와 연구는 일본 모델의 벤치마킹을 통해 자국민의 입맛에 맞는 와인생산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했으며, 이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다양한 제품 수입 유통으로 소비자 관심을 유도하고 안정적인 수익원의 창출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을 맺었다.
결국 주제인 한국 와인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으며, 위의 예와 같은 전략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은 더욱 빠르고 실효성 있는 한국 와인산업 발전과 성장을 이루게 할 것이다.
(5) 홍보 방안
① ATL(Above the Line)
4대 매체(TV, 신문, 라디오, 잡지) 및 뉴미디어(인터넷, CATV 등)
② BTL(Below the Line)
이벤트, 전시, 스포츠마케팅, CI, PR, TM, PPL, CRM, PRM 등
③ CTL(Cross-over the Line)
입소문마케팅이나 공익활동, 스탤스마케팅(Stealth Marketing), 커뮤니티 지원, 프리플러그인(Free Plug-In), 파트너쉽의 활용 등
매체의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4대 매체를 활용한 직접적인 광고에 대한 제약이나 견제가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들에 있어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특히 와인은 주류업종으로 ATL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BTL도 생각해야 하는 입장입니다. CTL 방식은 고객 스스로에 의해 상품이 홍보되거나 기업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전개되며, 상대적으로 상업성을 덜 노출하기 때문에 좀더 효과적이고 자발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6. 참고문헌 및 자료
한국 무역협회(KOTIS)
10년 후 일본 다카하시 스스무 지금 [해냄]
오즈클라크의 와인이야기 오즈클라크 지음 [도서출판 푸른 길]
와인을 알면 비즈니스가 즐겁다 김명진 김기재 外 [세종서적]
한국무역협회 2006년 수입와인 현황
르 서울 잡지 일본특파원보고 “일본 로컬 와인은 어떠한가?” 外 다수
- 가격에 있어 다양한 선택의 폭을 활용한 주류시장의 고가 저가 시장 모두 공략
- 건강을 주제로 한 와인에 대한 인식 확산 전략 수립
W (약점)
WO 전략
WT전략
- 아직은 소주와 같은 고도수 주류 선호 현상
- 마시고 취하자는 술문화
- 대국민 마케팅의 부재
(타켓 마케팅 위주)
- 수입되는 와인의 다양성 부재
- 맥주 소주와 같은 휴대성 부족
- 웰빙과 저도수 술을 연관시킨 인식 확산 변화 시도
- 수입선 다변화를 통한 시장 성장 전략 수립
- 여성남성, 젊은층중장년층 모두가 쉽게 즐길 수 술이라는 마케팅 실시
- 개선해야할 술 문화의 해법으로 와인소비를 제시
- 캔제품 출시 및 용량의 다양화로 휴대성 개선
- 유통망 정비 및 다양한 제품 수입 및 유통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확산시키고 시장 확대함
- 수입업체 구조적 정비를 통한 와인에 대한 통일되고 정리된 인식 확산 노력 강구
- 판매소 증대를 통한 소비자와의 접근성 개선, 그리고 이를 통한 소비자와의 친숙감 형성
5. 결론 : 한국 와인의 세계화 전략방안
(1) 변칙적 와인의 개발 방안 : 백세주
지금으로부터 1년 전, 백세주는 캐나다 온타리오州 주류관리국(LCBO : Liquor Control Board of Ontario)을 통해 정식으로 유통되기 시작했으며, 백세주의 도수는 와인과 비슷한 13도이기 때문에 실제로 와인류로 분류돼 판매됐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고 2004년 2월 토론토에서 열린 ‘2004 캐나다 세계 식음료 쇼 (The Canadian / International Food & Beverage Show)’ 에 몇몇 한국 업체와 함께 참가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백세주는 한국산 주류로서 캐나다에서의 입지를 넓혀 나갔다.
(2) 포도 외, 과실로 만든 와인의 개발을 통한 세계화
우리 나라 와인의 특징은 그 재료가 포도 외에 복분자, 산머루와 같은 원료로 만든 와인이 많다. 이런 와인의 맛과 향은 독특하다는 평이 많다. 또, 그 영양성분이 우수해 건강상의 효과가 더욱 높다. 그러므로 이런 와인의 효과를 이용한 홍보로 세계화의 한 몫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3) 포도농가 모아 와인공장 설립
시작 단계에 불과한 한국 와인을 만들고, 또 세계화 하기 위해서는 어느 특정인이나, 작은 단체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포도 농가를 모아 와인공장을 설립하고, 조합을 만들도록 한다. 이렇게 된다면, 표준화, 기계화, 고품질 생산, 경비의 절감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죽어가는 한국 농업을 살기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도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원료를 공급해 주는 조합을 만듬과 동시에 이들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연구팀, 대학의 학과 설치 등을 통해 기술적인 지원을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와 같은 와인 선진국을 견학해, 생산 노하우를 배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선진국의 노하우를 쉽게 전수 받기 힘들다면, 여러차례의 견학을 통해서라도 날카로운 눈썰미로 기억해 두었다가 기술을 접목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4)와인파크
이러한 위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와인 생산과 더불어 유통망까지 확보할 수 있는 와인 테마파크를 구상하게 되었다. 와인파크는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와인 파크에서 착안한 것으로 관광지와 더불어 와인생산, 유통까지 통합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상 다각적인 한국 와인산업 시장 조사를 통해 와인테마 파크라는 새로운 형태의 수익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는 한국의 와인산업이 유통망 정비와 다양한 제품 수입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확산 시킬수 있으며.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입업체 구조적 정비를 통한 와인에 대한 통일되고 정리된 인식과 확산 노력이 필요하며 가격에 있어 다양한 선택의 폭을 활용한 주류시장의 고가, 저가 시장을 모두 공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와인의 고풍스런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 마케팅과 건강에 높은 관심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한다면 한국의 와인산업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사례와 연구는 일본 모델의 벤치마킹을 통해 자국민의 입맛에 맞는 와인생산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했으며, 이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다양한 제품 수입 유통으로 소비자 관심을 유도하고 안정적인 수익원의 창출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을 맺었다.
결국 주제인 한국 와인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으며, 위의 예와 같은 전략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은 더욱 빠르고 실효성 있는 한국 와인산업 발전과 성장을 이루게 할 것이다.
(5) 홍보 방안
① ATL(Above the Line)
4대 매체(TV, 신문, 라디오, 잡지) 및 뉴미디어(인터넷, CATV 등)
② BTL(Below the Line)
이벤트, 전시, 스포츠마케팅, CI, PR, TM, PPL, CRM, PRM 등
③ CTL(Cross-over the Line)
입소문마케팅이나 공익활동, 스탤스마케팅(Stealth Marketing), 커뮤니티 지원, 프리플러그인(Free Plug-In), 파트너쉽의 활용 등
매체의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4대 매체를 활용한 직접적인 광고에 대한 제약이나 견제가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들에 있어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특히 와인은 주류업종으로 ATL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BTL도 생각해야 하는 입장입니다. CTL 방식은 고객 스스로에 의해 상품이 홍보되거나 기업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전개되며, 상대적으로 상업성을 덜 노출하기 때문에 좀더 효과적이고 자발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6. 참고문헌 및 자료
한국 무역협회(KOTIS)
10년 후 일본 다카하시 스스무 지금 [해냄]
오즈클라크의 와인이야기 오즈클라크 지음 [도서출판 푸른 길]
와인을 알면 비즈니스가 즐겁다 김명진 김기재 外 [세종서적]
한국무역협회 2006년 수입와인 현황
르 서울 잡지 일본특파원보고 “일본 로컬 와인은 어떠한가?” 外 다수
추천자료
[바이오산업][바이오산업정책][바이오기술][바이오][생명공학]바이오산업의 정의, 바이오산업...
[물류][물류산업][물류체계][물류시스템][물류정보화][물류정책]물류의 개념, 물류산업의 특...
교육서비스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경영전략 - 국내 서비스 무역수지 분석, 국내외 교육서...
국내 리조트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산업기술][기술이전][국내외 기술이전 동향][기술이전정책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기술이...
[쌀시장][쌀산업][쌀시장개방]세계 쌀시장(쌀산업)의 수급동향과 구조, 국내 쌀시장(쌀산업)...
국내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과 연예기획사의 경영전략 고찰
[산업용품 도매업] 산업용품시장의 특성(특징)과 기능, 국내 산업용품 유통업 실태현황
국내 외식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과 특징 분석 - 국내 외식산업의 문제점 및 향후 전망 및 나...
한국화장품산업-아모레퍼시픽,내수시장조사,국내화장품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자동차산업에 대한 분석과 발전방안 (자동차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자동차산업 국내외 동...
[외식산업] 외식산업의 특징과 전망분석 {외식산업의 정의와 특징, 한국외식산업의 성장배경,...
국내의료 산업의 활성화 방안[의료관광을 중심으로] - 국내의료 산업
(국내 섬유패션산업)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