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말레이시아 정보
2. 말레이시아 음식문화
3. 말레이시아 관광정보
4.태국 정보
5. 태국 음식문화
6.조사를 마치며
7.References
1. 말레이시아 정보
2. 말레이시아 음식문화
3. 말레이시아 관광정보
4.태국 정보
5. 태국 음식문화
6.조사를 마치며
7.References
본문내용
남프라를 사용한다.
남프라 :생선을 소금에 절여 우려낸 즙으로 일본의 아키타 지방에서 나는 쇼츠르나 베트남의 느억맘과 비슷하다. 남프라는 액체로 간장처럼 사용된다.
중부의 음식은, 매운 칠리 고추와 고수(미나리과 초본)을 많이 사용한 매운맛이 북부 음식과 다르고 많은 요리에 코코넛유를 사용해서 단맛을 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라임 등의 감귤류와 양파, 마늘, 고수 등의 야채가 많이 쓰여 복합적인 맛을 내는 것도 특징이다. 중부인들은 북부와 북동부와는 다르게 찰진 밥을 선호하고 향기 있는 다양한 곡류를 좋아하는데, 대부분 일상적이로 쪄 먹고, 가끔 튀기거나 끓여서도 먹는다.
▷남부 음식
태국 남부는 말레이시아와 앗닿아 있는 긴 반도로 구성되어 dT다. 남부는 고무, 코코넛, 파인애플 등의 대 농원이 넓게 펼쳐져 있고,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많은 회교 인구의 덕택에 특이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음식은 그 모양만큼 독특하다. 태국 어디서나 자라는 코코넛은 많은 음식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 즙은 칠리를 탄 수프와 카레의 매운맛을 더해 주고, 기름은 튀김에 사용되며, 고기 요리에는 조미료로 사용된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신선한 해산물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 여러 가지 바닷고기, 참새우, 바다가재, 게, 오징어, 가라비, 대합, 홍합 등 다양하다. 이 지역 대농원에 얻은 캐슈는 닭고기와 말린 칠리와 함께 볶거나 그대로 먹는다. 또 스타우(Sttaw)라 불리는 매운 콩은 이국적인 맛을 낸다.
5.6 태국인의 식사 형태
태국인들은 하루 세기의 식사를 하지만 먹는 양은 비교적 적은 편으로 이러한 식습관은 불교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그 대신 열대성 과일과 떡류 등의 간식을 좋아한다. 아침식사로는 죽을 보편적으로 먹지만 태국식으로 조리한 커리밥을 먹기도 한다. 점심때는 밥과 여러 종류의 반찬으로 채소 볶음, 생선커리찌게, 또는 면류를 먹는다. 저녁식사는 하루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식사이다. 밥에 생선구이나 찜, 그리고 각종 ‘깽’요리를 먹는다. 향신료를 화강암 돌절구이에 찌어 “깽”요리를 만드는데 향시료의 가감에 따라 음식의 종류가 달라진다. 태국 가정에는 이 돌절구가 필수적인 조리기이다. 후식으로 각종 과일과 ‘카놈’이라는 과자를 먹는다. ‘컹완’이라는 말은 후식을 뜻하며, 태국에서는 어느 사회계층에서든지 ‘컹완’을 선호한다. 태국사람들은 돼지고기를 쇠고기보다 더 좋아하며, 돼지고기의 가격이 쇠고기보다 약 40% 가량 비싸다. 닭고기와 오리고기가 선호하는 육류이다.
태국의 북부지방에서는 찹쌀이 많이 생산되므로 주식이 찰밥이다. 대나무로 짠 바리에 찰밥을 담아 나뭇가지나 그늘진 곳에 걸어놓고 하루종일 드나들면서 배가 고플때 수시로 손으로 뜯어 먹는다. 여유가 있을 때는 돼지 소시지나 돼지고기를 기름에 튀겨 먹는다. 태국 음식문화에서 빼어 놓을 수 없는 것은 ‘남찜’이라 하는 소스로, 이것이 태국 음식의 맛의 다양성을 나타내게 한다. 음식의 종류에 따라 ‘남찜’을 사용하는 것이 다르며 종류만 해도 약 30여 가지가 있다.
5.7 태국의 식사예절
준비한 음식을 반상 또는 대나무나 원목으로 만든 마룻바닥에 모두 차려놓고 여럿이 둘러앉아 손으로 먹는 것이 전통적인 식사예절이다. 서구문화가 들어오면서 요즈음은 식탁을 사용하고, 음식에 따라 도구를 쓰기도 한다. 태국음식은 식품 재료를 잘게 썰어서 조리한 것이기 때문에 나이프는 사용하지 않는다. 국물이 있는 국수를 먹을 때에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튀긴 국수는 포크와 스푼을, 생선을 넣은 국수는 숟가락만을 사용해서 먹는다. 밥 종류는 접시에 담아 숟가락과 포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숟가락 하나로만 식사를 하는 사람들도 많다. 포크는 접시의 음식을 스푼으로 뜰 때 보죠역활을 하거나 스푼에 붙는 음식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식사 때 스푼과 포크의 부딪치는 소리가 많이 들린다. 전통적으로 음식을 모두 상 위에 차려놓고 개인이 각자의 접시에 덜어먹는데, 특별한 격식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예절을 지키도록 한다.
1.음식을 먹을때 소리를 내지 않는다
2. 입술을 오므리고 음식을 씹는다.
5.8 대표적인 태국 음식들
톰얌쿵
톰얌쿵은 신선로 처럼 생긴 냄비나 도자기 냄비에 담아 끓인다. 새우, 버섯 등이 들어가고, 레몬그라스, 라임 잎, 갈랑가, 라임즙, 남플라, 고수, 고추 등의 향신료와 조미료로 맛을 훌륭하게 조화시킨다. 톰얌은 대개 맑은 국물의 스프이다. 톰카카이는 코코넛밀크를 사용한 닭고기 코코넛 스프이다.
얌(yam)
얌은 고추, 남플라, 라임 등을 섞은 매콤하고 새콤한 소스이다. 즉 태국식 샐러드
얌누아(yam nua):당면, 해물, 채소를 얌으로 무친 샐러드
얌플라무크(yam pla muk):오징어를 넣은 샐러드
캥(kaeng, 커리)
깽 펫 가이 (부드러운 코코넛 밀크와 죽순을 곁드린 닭고기 레드 커리
깽 끼완 가이 ( 매콤한 고추와 가지, 코코넛 밀크가 곁드러진 닭고기 그린 커리)
태국의 캥은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볶음 처럼 만들고 아주 보편적인 음식으로 몇가지 향신료를 사용하는 커리이다.
인도커리보다 향신료를 적게사용하고 밥과 국수에 얹거나 손으로 뭉친 밥에 조금씩 싸 먹는다.
캥쿄완(kaeng keow wan)은 매운 청고추로 만든 커리페이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린커리(green curry)라고 한다.
6. 마치며
7.References
- 관련서적
자신만만 세계여행 동남 아시아, 김진용 저, 2000년, 삼성출판사
식생활과 문화, 문수재 손경희 공저, 2004년, 신광출판사
문화와 식생활, 김혜영 외 4名 공저, 2005년, 효일출판사
식생활과 문화, 김광호 외 5名 공저, 2000, 광문각
세계를 간다 동남아 13 개국, 유승삼 저 , 2000, 중앙m&b
코스따라 세계여행 동남 아시아. 김성기 저 ,2000 민서 출판사
- Web Site
www.naver.com
www.malay.co.kr
www.geographia.com/malaysia/
www.regit.com/regitour/malaysia/regitour.htm
blog.naver.com/ilji93
blog.naver.com/yem0919
남프라 :생선을 소금에 절여 우려낸 즙으로 일본의 아키타 지방에서 나는 쇼츠르나 베트남의 느억맘과 비슷하다. 남프라는 액체로 간장처럼 사용된다.
중부의 음식은, 매운 칠리 고추와 고수(미나리과 초본)을 많이 사용한 매운맛이 북부 음식과 다르고 많은 요리에 코코넛유를 사용해서 단맛을 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라임 등의 감귤류와 양파, 마늘, 고수 등의 야채가 많이 쓰여 복합적인 맛을 내는 것도 특징이다. 중부인들은 북부와 북동부와는 다르게 찰진 밥을 선호하고 향기 있는 다양한 곡류를 좋아하는데, 대부분 일상적이로 쪄 먹고, 가끔 튀기거나 끓여서도 먹는다.
▷남부 음식
태국 남부는 말레이시아와 앗닿아 있는 긴 반도로 구성되어 dT다. 남부는 고무, 코코넛, 파인애플 등의 대 농원이 넓게 펼쳐져 있고,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많은 회교 인구의 덕택에 특이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음식은 그 모양만큼 독특하다. 태국 어디서나 자라는 코코넛은 많은 음식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 즙은 칠리를 탄 수프와 카레의 매운맛을 더해 주고, 기름은 튀김에 사용되며, 고기 요리에는 조미료로 사용된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신선한 해산물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 여러 가지 바닷고기, 참새우, 바다가재, 게, 오징어, 가라비, 대합, 홍합 등 다양하다. 이 지역 대농원에 얻은 캐슈는 닭고기와 말린 칠리와 함께 볶거나 그대로 먹는다. 또 스타우(Sttaw)라 불리는 매운 콩은 이국적인 맛을 낸다.
5.6 태국인의 식사 형태
태국인들은 하루 세기의 식사를 하지만 먹는 양은 비교적 적은 편으로 이러한 식습관은 불교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그 대신 열대성 과일과 떡류 등의 간식을 좋아한다. 아침식사로는 죽을 보편적으로 먹지만 태국식으로 조리한 커리밥을 먹기도 한다. 점심때는 밥과 여러 종류의 반찬으로 채소 볶음, 생선커리찌게, 또는 면류를 먹는다. 저녁식사는 하루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식사이다. 밥에 생선구이나 찜, 그리고 각종 ‘깽’요리를 먹는다. 향신료를 화강암 돌절구이에 찌어 “깽”요리를 만드는데 향시료의 가감에 따라 음식의 종류가 달라진다. 태국 가정에는 이 돌절구가 필수적인 조리기이다. 후식으로 각종 과일과 ‘카놈’이라는 과자를 먹는다. ‘컹완’이라는 말은 후식을 뜻하며, 태국에서는 어느 사회계층에서든지 ‘컹완’을 선호한다. 태국사람들은 돼지고기를 쇠고기보다 더 좋아하며, 돼지고기의 가격이 쇠고기보다 약 40% 가량 비싸다. 닭고기와 오리고기가 선호하는 육류이다.
태국의 북부지방에서는 찹쌀이 많이 생산되므로 주식이 찰밥이다. 대나무로 짠 바리에 찰밥을 담아 나뭇가지나 그늘진 곳에 걸어놓고 하루종일 드나들면서 배가 고플때 수시로 손으로 뜯어 먹는다. 여유가 있을 때는 돼지 소시지나 돼지고기를 기름에 튀겨 먹는다. 태국 음식문화에서 빼어 놓을 수 없는 것은 ‘남찜’이라 하는 소스로, 이것이 태국 음식의 맛의 다양성을 나타내게 한다. 음식의 종류에 따라 ‘남찜’을 사용하는 것이 다르며 종류만 해도 약 30여 가지가 있다.
5.7 태국의 식사예절
준비한 음식을 반상 또는 대나무나 원목으로 만든 마룻바닥에 모두 차려놓고 여럿이 둘러앉아 손으로 먹는 것이 전통적인 식사예절이다. 서구문화가 들어오면서 요즈음은 식탁을 사용하고, 음식에 따라 도구를 쓰기도 한다. 태국음식은 식품 재료를 잘게 썰어서 조리한 것이기 때문에 나이프는 사용하지 않는다. 국물이 있는 국수를 먹을 때에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튀긴 국수는 포크와 스푼을, 생선을 넣은 국수는 숟가락만을 사용해서 먹는다. 밥 종류는 접시에 담아 숟가락과 포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숟가락 하나로만 식사를 하는 사람들도 많다. 포크는 접시의 음식을 스푼으로 뜰 때 보죠역활을 하거나 스푼에 붙는 음식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식사 때 스푼과 포크의 부딪치는 소리가 많이 들린다. 전통적으로 음식을 모두 상 위에 차려놓고 개인이 각자의 접시에 덜어먹는데, 특별한 격식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예절을 지키도록 한다.
1.음식을 먹을때 소리를 내지 않는다
2. 입술을 오므리고 음식을 씹는다.
5.8 대표적인 태국 음식들
톰얌쿵
톰얌쿵은 신선로 처럼 생긴 냄비나 도자기 냄비에 담아 끓인다. 새우, 버섯 등이 들어가고, 레몬그라스, 라임 잎, 갈랑가, 라임즙, 남플라, 고수, 고추 등의 향신료와 조미료로 맛을 훌륭하게 조화시킨다. 톰얌은 대개 맑은 국물의 스프이다. 톰카카이는 코코넛밀크를 사용한 닭고기 코코넛 스프이다.
얌(yam)
얌은 고추, 남플라, 라임 등을 섞은 매콤하고 새콤한 소스이다. 즉 태국식 샐러드
얌누아(yam nua):당면, 해물, 채소를 얌으로 무친 샐러드
얌플라무크(yam pla muk):오징어를 넣은 샐러드
캥(kaeng, 커리)
깽 펫 가이 (부드러운 코코넛 밀크와 죽순을 곁드린 닭고기 레드 커리
깽 끼완 가이 ( 매콤한 고추와 가지, 코코넛 밀크가 곁드러진 닭고기 그린 커리)
태국의 캥은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볶음 처럼 만들고 아주 보편적인 음식으로 몇가지 향신료를 사용하는 커리이다.
인도커리보다 향신료를 적게사용하고 밥과 국수에 얹거나 손으로 뭉친 밥에 조금씩 싸 먹는다.
캥쿄완(kaeng keow wan)은 매운 청고추로 만든 커리페이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린커리(green curry)라고 한다.
6. 마치며
7.References
- 관련서적
자신만만 세계여행 동남 아시아, 김진용 저, 2000년, 삼성출판사
식생활과 문화, 문수재 손경희 공저, 2004년, 신광출판사
문화와 식생활, 김혜영 외 4名 공저, 2005년, 효일출판사
식생활과 문화, 김광호 외 5名 공저, 2000, 광문각
세계를 간다 동남아 13 개국, 유승삼 저 , 2000, 중앙m&b
코스따라 세계여행 동남 아시아. 김성기 저 ,2000 민서 출판사
- Web Site
www.naver.com
www.malay.co.kr
www.geographia.com/malaysia/
www.regit.com/regitour/malaysia/regitour.htm
blog.naver.com/ilji93
blog.naver.com/yem0919
추천자료
기러기가족에 관한 총체적 이해
더페이스샵의 성공전략 분석 및 문제점
[관광통계] 최근3년 주요국 한국인 출국 통계 ,한국출국,관광,출국현황
대학생들의 편의점 이용현황
배드민턴의 역사와 발달 경기 진행방법
Tourism Technology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 · 태평양 경제협력체]조사
경영]더페이스샵 마케팅분석
케이트 스페이드 (Kate spade)
웅진코웨이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특...
배드민턴 역사 경기규칙 관련 자료입니다.
세계 주요국가 관광정책 동향 및 사례분석
지속 가능 경영 Case Study (SK이노베이션, 삼성전자, Posc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