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윷의 종류
Ⅲ. 윷놀이의 종류
1. 밀어주기 윷놀이
2. 사랑 도 윷놀이
3. 개량 윷놀이
Ⅳ. 윷가락의 의미
Ⅴ. 윷놀이의 방법
Ⅵ. 윷놀이에 숨겨진 비밀
참고문헌
Ⅱ. 윷의 종류
Ⅲ. 윷놀이의 종류
1. 밀어주기 윷놀이
2. 사랑 도 윷놀이
3. 개량 윷놀이
Ⅳ. 윷가락의 의미
Ⅴ. 윷놀이의 방법
Ⅵ. 윷놀이에 숨겨진 비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번 밝아지는 것이 아니듯이, 1947년에 당장 후천이 오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진짜 후천이 오는 시기는 언제일까?
남사고는 격암유록 말중운에서 우리나라 운수를 \'오묘일걸 말판운\'에 \'묘진지년운발\'이라 했다. \'오묘일걸 말판운\'은 윷놀이에서 모(모를 음이 비슷한 묘 = 토끼로 봄)를 연달아 다섯 번하고 걸을 한 번 하면 승리하는, 최단의 거리로 가장 먼저 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선입자-선출자들을 다 제치고 승리자가 되는 것을 말한다. 묘진년의 말판운수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전체에 닥칠 선천의 마지막 운수이다. 그리고 오묘일걸로 나는 윷판의 1/4은 밭(田)의 1/4모양을 나타내므로, 후천개벽 시 우리나라 땅 규모가 지구전체의 1/4이 된다는 것을 암암리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걸이란 원래 중앙에 위치하는 단군 대황제처럼 후천개벽을 주도할 우리나라의 인걸, 즉 진인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김종만,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우리교육, 1993
심우성, 우리나라 민속놀이, 동문선
이강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사업기념사업회, 2000
임동권 외 2명, 민속론, 집문당, 1989
최향, 박지훈 역, 저절로 흥이 난다(민속놀이), 대교출판, 2005
남사고는 격암유록 말중운에서 우리나라 운수를 \'오묘일걸 말판운\'에 \'묘진지년운발\'이라 했다. \'오묘일걸 말판운\'은 윷놀이에서 모(모를 음이 비슷한 묘 = 토끼로 봄)를 연달아 다섯 번하고 걸을 한 번 하면 승리하는, 최단의 거리로 가장 먼저 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선입자-선출자들을 다 제치고 승리자가 되는 것을 말한다. 묘진년의 말판운수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전체에 닥칠 선천의 마지막 운수이다. 그리고 오묘일걸로 나는 윷판의 1/4은 밭(田)의 1/4모양을 나타내므로, 후천개벽 시 우리나라 땅 규모가 지구전체의 1/4이 된다는 것을 암암리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걸이란 원래 중앙에 위치하는 단군 대황제처럼 후천개벽을 주도할 우리나라의 인걸, 즉 진인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김종만,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우리교육, 1993
심우성, 우리나라 민속놀이, 동문선
이강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사업기념사업회, 2000
임동권 외 2명, 민속론, 집문당, 1989
최향, 박지훈 역, 저절로 흥이 난다(민속놀이), 대교출판,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