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가계기록][조상][성씨][시조][가문][족보이전의 가계기록][족보의 의의][족보의 역사][족보의 용어][족보의 간행 과정]족보이전의 가계기록과 족보의 의의, 족보의 역사, 족보의 용어 및 족보의 간행 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족보][가계기록][조상][성씨][시조][가문][족보이전의 가계기록][족보의 의의][족보의 역사][족보의 용어][족보의 간행 과정]족보이전의 가계기록과 족보의 의의, 족보의 역사, 족보의 용어 및 족보의 간행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족보이전의 가계기록
1. 고대사회의 조상숭배와 가계전승
2. 가계의 분화와 기록의 정리(신라)
3. 고려시대의 가계기록

Ⅲ. 족보의 의의

Ⅳ. 족보의 역사

Ⅴ. 족보의 용어
1. 시조 비조 중시조
2. 계와 세계
3. 세와 대
4. 이름자
1) 아명과 관명
2) 호
3) 시호
4) 함과 휘
5) 사손과 사손
6) 출계와 제자

Ⅵ. 족보의 간행 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에 의뢰하여 간행한다.
(1) 종친회(宗親會)에서 족보(波譜)편찬이나 족보증보(增補)계획이 결정될 때. 이 임무를 맡은 관계 위원회는 종중(宗中)의 모든 가족들에 개인역사 기록사항을 전해줄 것을 요청한다.
(2) 이 요청에 응(應)한 가족은 그들이 전해 준 자료대로 족보에 실리게 되지만, 응하지 않은 가족과 응하지 못한 가족은 종중 족보에 실려지지 않는다.
(3) 족보를 증보(增補)하는 경우, 편집자들은 이 증보 계획에 응하지 않거나 응하지 못한 가족들에 대해 기존(旣存)의 족보에 실린 그대로 신간(新刊)족보에 싣는다.
(4) 개인역사 기록란(榜註)의 기록범위는 족보에 등재(登梓)된 자의 신분에 따라 달라진다.
(5) 종중(宗中) 사람들이 자기 가족 또는 친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때 인적사항을 불완전하게 전하는 수가 있다. 이 경우 족보 편집자들은 입수된 자료가 불완전하게 전하는 수가 있다. 이 경우 족보 편집자들은 입수된 자료가 불완전한 상태 그대로 족보에 실리게 된다.
(6) 어떤 족보편집자들은 역대 군왕들의 재위기간 및 즉위 연수표를 정확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 그렇게 때문에 족보에 나오는 출생/사망의 해(年) 기록이 신빙성(信憑性)있는 공인(公認) 연대표와 맞지 않는 결과가 생긴다.
(7) 종중(宗中)족보가 만들어지기 전의 선조들을 족보에 싣기 위하여 우리 조상들은 선조의 개인 역사가 담긴 자료나 문헌을 상고했다. 그리하여 문헌에 선조의 개인역사가 단 한가지라도 기재되어 있으면 그것을 뽑아 족보에 실었다.
(8) 여러 이유로 하여 족보 안의 개인기록이 개인따라 길기도 하고 짧기도 하며 또는 오류(誤謬)가 있을 수 있다. 방주(傍註)마다 동일한 서식(書式)과 표제자(標題字)가 있으며 이 서식과 표제자만 알아두면 문장 속에 띄어쓰기나 콤마가 없어도 글 뜻의 단락(段落)이 있는 곳을 알아낼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인적사항을 뽑아 낼 수 있음을 발견한다.
참고문헌
김치홍(1992) / 한국족보를 통한 성서족보교육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신대학 신학대학원
송준호(1987) / 조선사회사연구, 일조각
안춘근(1994) / 옛 책, 대원사
정진영(2003) / 족보에도 가짜가 있나요,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청년사
정병완(1987) / 한국씨족구보서집, 아세아문화사
청화(1989) / 한국족보대전(정), 한국씨족사연구회
최재석 / 조선시대의 족보와 동족조직, 역사학보81집

키워드

족보,   가계기록,   조상,   성씨,   시조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