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釋譜詳節 第六 - 석보상절 6권>
1. 석보상절의 편찬 동기
2. 석보상절의 내용
3. 전본 및 소장처
4. 석보상절의 가치
5. 석보상절의 등장인물
6. 원문 해석 및 주석
1. 석보상절의 편찬 동기
2. 석보상절의 내용
3. 전본 및 소장처
4. 석보상절의 가치
5. 석보상절의 등장인물
6. 원문 해석 및 주석
본문내용
지 못하였을 것이며, 더구나 임진왜란·병자호란의 두 난리로 인해서 그나마 전해지던 책도 없어져서 현재 초간본은 권6·권9·권13·권19·권23·권24가 각 1책씩 전할 뿐이다. 복각된 중간본도 권3·권11의 2책만 전한다. 권3은 16세기 중엽의 중간목판본으로 천병식(千柄植)이 소장하고 있다.
보물 제523호로 지정된 석보상절은 7책으로 각권의 소장처와 영인상황은 다음과 같다.
① 권6·권9·권13·권19는 초간활자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으며, 한글학회에서 영인(1955)하였다.
② 권11은 16세기 중엽의 중간목판본으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어문학회에서 영인(1959)하였다.
③ 권23·권24는 초간활자본으로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악어문학회에서 영인(1967)하였다.
4. 석보상절의 가치
≪석보상절≫이 학문적으로 갖는 가치는 첫째, 불교학적인 면에서 당시의 불교를 조직화한 것으로 조선 초기의 불교학 수준을 말하는 것이며, 최초의 번역불경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둘째, 문학적인 면에서 국문으로 된 최초의 산문작품이지만, 문장이 유창하고 세련되어 후대의 고전소설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셋째, 국어학적으로는 그 풍부한 어휘와 이에 따른 어법·음운·표기법 등 15세기 중엽의 국어연구 및 한자음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서지학적으로는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최초의 국문활자본이란 점에서 값진 문화재로서 가치가 인정된다.
5. 석보상절의 등장인물
▶세존(世尊:婆伽婆, 薄伽梵, buddha-bhagavat) : 부처의 10가지 칭호(여래십호) 중 하나, 복덕(福德)을 갖춘 자, 즉 높은 스승을 말한다.
▶정반왕(淨飯王) : 석가의 실부(實父)이며 아버지는 사자협왕(師子頰王)이다. 정반은 산스크리트 슈도다나(uddhodna)의 음사(音寫)이며, 수두단(輸頭檀)·수도타나(首圖馱那)·설두(屑頭) 등으로 음역한다. 백정왕(白淨王)이라고도 한다. 구리성의 왕인 선각왕의 누이동생 마야(磨耶)를 왕비로 맞았는데, 왕비가 싯다르타(석가)를 낳고 죽자, 그녀의 동생을 후계 왕비로 맞아들여 싯다르타를 기르게 하였으며, 그후에 그녀에게서 난타(難陀)가 태어났다. 만년에 병들어 석가·난타 등의 간호를 받으면서 죽었다.
▶대애도 [大愛道] : 석존(釋尊)의 이모(姨母). 어머니 마하마야(摩訶摩耶)가 죽은 뒤 석존을 양육하였고, 뒤에 맨 처음으로 비구니(比丘尼)가 되었음. 대한불교보문종 [大韓佛敎普門宗]이 바로 이 대애도를 종조(宗祖)로, 신라 때의 비구니 법류니(法流尼)를 중흥조(中興祖)로 삼고 있다.
▶마야부인 [摩耶夫人] : 석가의 어머니로 룸비니 동산의 사라수(沙羅樹)아래서 석가를 낳았다. 석가 출산 후 7일 만에 타계했다고 전해진다.
▶야수다라 耶輸陀羅, 야수 : 석가모니가 출가하기 전의 왕비. 석가모니의 외사촌으로 석가모니가 도를 깨달은 후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었다.
▶라후라 [羅羅] :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아들. 어머니는 구이(俱夷).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뒤에 출가(出家)하여 제자가 됨. 석가의 큰 열 제자 가운데 한 사람. 밀행(密行)에 제일. 라호(羅)라고도 함.
▶목련(目連), 마우드갈리아야나 [Maudgalyayana] :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 마가다의 브라만 출신으로, 부처의 교화를 펼치고 신통(神通) 제일의 성예(聲譽)를 얻었다. ≒나복(羅卜)·목건련·목련(目連).
▶구담 [瞿曇]①사라드바트라고 하는 옛 선인의 이름으로, 석가족(釋迦族)의 조상(祖上) ②석가(釋迦) 종족의 성(姓) ③도를 닦아 이루기 전의 석가(釋迦)를 이르는 말
▶전륜왕 [轉輪王] 수미산(須彌山) 둘레의 사천하(四天下) 곧 사주(四洲)의 세계를 통솔하는 대왕. 윤왕(輪王). 금륜왕(金輪王)은 수미(須彌) 사주(四洲)를 다스리고, 은륜왕(銀輪王)은 동남서 삼주(三洲)를 다스리고, 동륜왕(銅輪王)은 동남 이주(二洲)를 다스리고, 철륜왕(鐵輪王)은 남녘 염부제(閻浮提) 일주(一洲)를 다스린다고 함.
6. 원문 해석 및 주석
世尊이 象頭山애 가샤 龍과 鬼神과 위야 說法더시다.
≪龍鬼 위야 說法샤미 부로 나히 셜흔 둘히러시니 穆王 여슷 찻
乙酉ㅣ라.≫
세존이 상두산에 가시어서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시었다.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심이(하신 것이) 부처님의 나이가(연세가) 서른둘이시더니(둘이시었는데), <중국의> 목왕 여섯째 해인 을유년이다.
①世尊이: 주격조사 ‘이’
②象頭山애(상두산)애: 인도 중부 가야산.모양이 코끼리 머리 비슷하다고 함.
석가가 수행한 곳.
‘애’-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조 건
예 문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인 경우 : 예
세세예,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 애/에
상두산애,
속격조사와 같은 형태이나 처격을 나타내는 특수한 처격조사
: /의
얄,
▶ 처격조사
龍과 鬼神과(용과 귀신과): ‘공동’의 의미를 지닌 보조사 ‘와/과’는 현대국어에서와 달리 마지막 체언의 뒤에서도 나타나며 격조사와 결합한다. 여기서는 ‘鬼神과’에서 ‘’이 생략되었다.이처럼 접속 조사 ‘와/과’가 현대 국어와 달리 중세 국어에서는 연결되는 마지막 체언 뒤에도 붙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모든 경우에 그런 것은 아니다. 단지 현대 국어에 비해 중세 국어에 그런 현상이 더 자주 나타난다는 것일 뿐이다.
說法더시다(설법더시다):설법하더시다→설법하+더+시+다
(※ ‘더’와 ‘시’의 어순이 현대와 반대임.)
위야:석보상절이 동국정운식 표기를 따르고 있으나 훈민정음으로 씌어진 한자어에는 적용시키 지 않았다.(예: 爲윙야)
說法샤미(설법샤미):설법하샤미 →설법하+시+오+ㅁ+이 (ㅁ 앞).
이처럼 의도법은 ‘ㅁ, ’ 앞에서는 반드시 나타난다.
부로: 속격조사 ‘ㅅ’.무정물 지칭, 유정물 지칭의 존칭 : ㅅ
둘히러시니: 둘히러시니→ 둘ㅎ + 이 + 러(더) + 시+ 니 , 서술격조사:‘이다’
부톄 目連이 려 니샤 네 迦毗羅國에 가아 아바긔와 아마긔와 ≪아마니 大愛道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兄니미시니 摩耶夫人만
보물 제523호로 지정된 석보상절은 7책으로 각권의 소장처와 영인상황은 다음과 같다.
① 권6·권9·권13·권19는 초간활자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으며, 한글학회에서 영인(1955)하였다.
② 권11은 16세기 중엽의 중간목판본으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어문학회에서 영인(1959)하였다.
③ 권23·권24는 초간활자본으로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악어문학회에서 영인(1967)하였다.
4. 석보상절의 가치
≪석보상절≫이 학문적으로 갖는 가치는 첫째, 불교학적인 면에서 당시의 불교를 조직화한 것으로 조선 초기의 불교학 수준을 말하는 것이며, 최초의 번역불경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둘째, 문학적인 면에서 국문으로 된 최초의 산문작품이지만, 문장이 유창하고 세련되어 후대의 고전소설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셋째, 국어학적으로는 그 풍부한 어휘와 이에 따른 어법·음운·표기법 등 15세기 중엽의 국어연구 및 한자음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서지학적으로는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최초의 국문활자본이란 점에서 값진 문화재로서 가치가 인정된다.
5. 석보상절의 등장인물
▶세존(世尊:婆伽婆, 薄伽梵, buddha-bhagavat) : 부처의 10가지 칭호(여래십호) 중 하나, 복덕(福德)을 갖춘 자, 즉 높은 스승을 말한다.
▶정반왕(淨飯王) : 석가의 실부(實父)이며 아버지는 사자협왕(師子頰王)이다. 정반은 산스크리트 슈도다나(uddhodna)의 음사(音寫)이며, 수두단(輸頭檀)·수도타나(首圖馱那)·설두(屑頭) 등으로 음역한다. 백정왕(白淨王)이라고도 한다. 구리성의 왕인 선각왕의 누이동생 마야(磨耶)를 왕비로 맞았는데, 왕비가 싯다르타(석가)를 낳고 죽자, 그녀의 동생을 후계 왕비로 맞아들여 싯다르타를 기르게 하였으며, 그후에 그녀에게서 난타(難陀)가 태어났다. 만년에 병들어 석가·난타 등의 간호를 받으면서 죽었다.
▶대애도 [大愛道] : 석존(釋尊)의 이모(姨母). 어머니 마하마야(摩訶摩耶)가 죽은 뒤 석존을 양육하였고, 뒤에 맨 처음으로 비구니(比丘尼)가 되었음. 대한불교보문종 [大韓佛敎普門宗]이 바로 이 대애도를 종조(宗祖)로, 신라 때의 비구니 법류니(法流尼)를 중흥조(中興祖)로 삼고 있다.
▶마야부인 [摩耶夫人] : 석가의 어머니로 룸비니 동산의 사라수(沙羅樹)아래서 석가를 낳았다. 석가 출산 후 7일 만에 타계했다고 전해진다.
▶야수다라 耶輸陀羅, 야수 : 석가모니가 출가하기 전의 왕비. 석가모니의 외사촌으로 석가모니가 도를 깨달은 후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었다.
▶라후라 [羅羅] : 석가여래(釋迦如來)의 아들. 어머니는 구이(俱夷). 석가(釋迦)가 성도(成道)한 뒤에 출가(出家)하여 제자가 됨. 석가의 큰 열 제자 가운데 한 사람. 밀행(密行)에 제일. 라호(羅)라고도 함.
▶목련(目連), 마우드갈리아야나 [Maudgalyayana] :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 마가다의 브라만 출신으로, 부처의 교화를 펼치고 신통(神通) 제일의 성예(聲譽)를 얻었다. ≒나복(羅卜)·목건련·목련(目連).
▶구담 [瞿曇]①사라드바트라고 하는 옛 선인의 이름으로, 석가족(釋迦族)의 조상(祖上) ②석가(釋迦) 종족의 성(姓) ③도를 닦아 이루기 전의 석가(釋迦)를 이르는 말
▶전륜왕 [轉輪王] 수미산(須彌山) 둘레의 사천하(四天下) 곧 사주(四洲)의 세계를 통솔하는 대왕. 윤왕(輪王). 금륜왕(金輪王)은 수미(須彌) 사주(四洲)를 다스리고, 은륜왕(銀輪王)은 동남서 삼주(三洲)를 다스리고, 동륜왕(銅輪王)은 동남 이주(二洲)를 다스리고, 철륜왕(鐵輪王)은 남녘 염부제(閻浮提) 일주(一洲)를 다스린다고 함.
6. 원문 해석 및 주석
世尊이 象頭山애 가샤 龍과 鬼神과 위야 說法더시다.
≪龍鬼 위야 說法샤미 부로 나히 셜흔 둘히러시니 穆王 여슷 찻
乙酉ㅣ라.≫
세존이 상두산에 가시어서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시었다. 용과 귀신을 위하여 설법하심이(하신 것이) 부처님의 나이가(연세가) 서른둘이시더니(둘이시었는데), <중국의> 목왕 여섯째 해인 을유년이다.
①世尊이: 주격조사 ‘이’
②象頭山애(상두산)애: 인도 중부 가야산.모양이 코끼리 머리 비슷하다고 함.
석가가 수행한 곳.
‘애’-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조 건
예 문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인 경우 : 예
세세예,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 애/에
상두산애,
속격조사와 같은 형태이나 처격을 나타내는 특수한 처격조사
: /의
얄,
▶ 처격조사
龍과 鬼神과(용과 귀신과): ‘공동’의 의미를 지닌 보조사 ‘와/과’는 현대국어에서와 달리 마지막 체언의 뒤에서도 나타나며 격조사와 결합한다. 여기서는 ‘鬼神과’에서 ‘’이 생략되었다.이처럼 접속 조사 ‘와/과’가 현대 국어와 달리 중세 국어에서는 연결되는 마지막 체언 뒤에도 붙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모든 경우에 그런 것은 아니다. 단지 현대 국어에 비해 중세 국어에 그런 현상이 더 자주 나타난다는 것일 뿐이다.
說法더시다(설법더시다):설법하더시다→설법하+더+시+다
(※ ‘더’와 ‘시’의 어순이 현대와 반대임.)
위야:석보상절이 동국정운식 표기를 따르고 있으나 훈민정음으로 씌어진 한자어에는 적용시키 지 않았다.(예: 爲윙야)
說法샤미(설법샤미):설법하샤미 →설법하+시+오+ㅁ+이 (ㅁ 앞).
이처럼 의도법은 ‘ㅁ, ’ 앞에서는 반드시 나타난다.
부로: 속격조사 ‘ㅅ’.무정물 지칭, 유정물 지칭의 존칭 : ㅅ
둘히러시니: 둘히러시니→ 둘ㅎ + 이 + 러(더) + 시+ 니 , 서술격조사:‘이다’
부톄 目連이 려 니샤 네 迦毗羅國에 가아 아바긔와 아마긔와 ≪아마니 大愛道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兄니미시니 摩耶夫人만
추천자료
국어교육과 텔레비전 언어
[국어교육] 구비문학에서 바라본 국어의 위기와 그에 따른 국어 교육 방향
[국어교육] 7차 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학 교육의 의의
[교육평가][초등학교 교육평가]초등학교2학년 국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2학년 수학과교육평가...
초등학교1학년 국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1학년 수학과교육평가, 초등학교1학년 우리들은1학년...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교육연극][연극]교육연극의 의미, 교육연극의 기대효과, 교육연극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
[수업전략][수업방법][교육]수업의 개념, 좋은 수업의 개념, 영어과(영어교육) 수업전략, 국...
[학습원리][교육원리][사회과][국어과][음악과][체육과]사회과교육 학습원리, 국어과교육 학...
[학습지도][수학과][국어과][사회과][실과과][도덕과]학습지도 이론, 학습지도 원리, 학습지...
수학교육 도형과 국어교육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실과교육 창의력개발과 제과제빵 ...
드라마와 국어교육
[성취기준][국어과][영어과][수학과][공통과학과][한문과]성취기준의 개념, 국어과교육의 성...
[국어과교육] 5-6학년의 <읽기 영역>의 내용과 <교과서>와의 연관 (읽기 내용 체계, 5-6학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