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수행동-학생행동-목표
2. 스펙트럼 수업 틀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4가지 이유
3. 수업 스타일의 전제
4. 수업스펙트럼의 구조
5. 수업스타일의 종류
2. 스펙트럼 수업 틀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4가지 이유
3. 수업 스타일의 전제
4. 수업스펙트럼의 구조
5. 수업스타일의 종류
본문내용
1. 교수행동(T) - 학생행동(L) - 목표(O) 관계
1) 교수행동, 학생행동, 목표 사이의 유대 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음
2) 각 스타일은 교사의 특정 행동(교사가 하는 의사 결정), 학습자의 특정 행동(학생이 하는 의사 결정), 도달 목표로 정의되기 때문에 각 스타일은 독특한 T-L-O 관계 구조를 가지고 있음
3)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에는 교과 내용 목표와 행동 목표라는 두 가지 목표가 존재함
① 첫 번째 목표는 특정한 에피소드 내용에 속하는 교과 내용 목표를 포함
② 두 번째 목표는 인간의 행동 목표를 포함
4) 단일 에피소드의 전체 과정을 총괄하는 최소한의 교육적 단위는 목표의 흐름과 상호 작용, 교수 행동, 학습 행동 및 학습 결과(O-T-L-O)로 구성됨
2. 스펙트럼 수업 틀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4가지 이유
1) 개인 스타일의 필요성 2) 학생 집단의 다양성
3) 복합적인 교육 목표 4) 일관성 있고 포괄적이며 통합적인 수업 구조의 필요성
3. 수업스타일의 전제
대전제 → 수업스타일의 구성 → 의사결정자 → 스펙트럼 → 스펙트럼 → 클러스터 → 발달효과
1) 대전제 : 수업활동은 연속되는 의사결정의 과정이다.
2) 수업스타일의 구성 : 수업전․수업중․수업후 결정군
① 수업전 결정군(의도-목표, 계획) : 수업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반드시 행해져야 하는 결정사항들
② 수업중 결정군(행위-실행, 실행) : 실제 수업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결정사항들
③ 수업후 결정군(평가-피드백, 평가) : 수업의 평가와 관련된 결정사항들
3) 의사결정자 : 교사와 학생의 의사결정으로, 주도권에 따라 11가지 스타일이 달라짐
4) 스펙트럼 : 수업전․중․후 결정군에 대한 의사 결정 정도에 따라 ‘누가’, ‘무엇에 대한’, ‘어떤 결정
을’, ‘언제’ 내리는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 중심으로부터 학생중심으로 11개의 ‘모범스타일’ 제시
5) 클러스터
① 수업스펙트럼의 구조는 ‘모사’와 ‘창조’라는 두 가지 인간의 기본능력을 반영
② A-E : 기존의 지식이나 기술을 재생산하는 능력을 강조 => 모사
F-K :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내는 능력을 강조 => 창조
③ 스타일 A-E의 목적 : 기초기능의 습득, 절차와 모형의 암기, 문화적 전통의 유지
스타일 A-E의 수업활동 : 기존과 과거의 지식을 다루는 암기, 회상, 파악, 구분 등과 같은 인지적 활동을 주로 함 => 사실적 자료, 사건, 날짜, 이름, 계산절차, 규칙, 악기연주, 무용공연, 스포츠 등을 하기 위한 지식 등을 포함
④ 스타일 F와 G : 한 가지 정확한 개념의 ‘발견’을 북돋아주는 수업방법들
⑤ 스타일 H-K : ‘창의력’의 개발과 새로운 개념과 대안의 ‘발견’을 위한 방법들
⑥ 스타일 F-K : 학생으로
1) 교수행동, 학생행동, 목표 사이의 유대 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음
2) 각 스타일은 교사의 특정 행동(교사가 하는 의사 결정), 학습자의 특정 행동(학생이 하는 의사 결정), 도달 목표로 정의되기 때문에 각 스타일은 독특한 T-L-O 관계 구조를 가지고 있음
3)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에는 교과 내용 목표와 행동 목표라는 두 가지 목표가 존재함
① 첫 번째 목표는 특정한 에피소드 내용에 속하는 교과 내용 목표를 포함
② 두 번째 목표는 인간의 행동 목표를 포함
4) 단일 에피소드의 전체 과정을 총괄하는 최소한의 교육적 단위는 목표의 흐름과 상호 작용, 교수 행동, 학습 행동 및 학습 결과(O-T-L-O)로 구성됨
2. 스펙트럼 수업 틀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4가지 이유
1) 개인 스타일의 필요성 2) 학생 집단의 다양성
3) 복합적인 교육 목표 4) 일관성 있고 포괄적이며 통합적인 수업 구조의 필요성
3. 수업스타일의 전제
대전제 → 수업스타일의 구성 → 의사결정자 → 스펙트럼 → 스펙트럼 → 클러스터 → 발달효과
1) 대전제 : 수업활동은 연속되는 의사결정의 과정이다.
2) 수업스타일의 구성 : 수업전․수업중․수업후 결정군
① 수업전 결정군(의도-목표, 계획) : 수업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반드시 행해져야 하는 결정사항들
② 수업중 결정군(행위-실행, 실행) : 실제 수업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결정사항들
③ 수업후 결정군(평가-피드백, 평가) : 수업의 평가와 관련된 결정사항들
3) 의사결정자 : 교사와 학생의 의사결정으로, 주도권에 따라 11가지 스타일이 달라짐
4) 스펙트럼 : 수업전․중․후 결정군에 대한 의사 결정 정도에 따라 ‘누가’, ‘무엇에 대한’, ‘어떤 결정
을’, ‘언제’ 내리는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 중심으로부터 학생중심으로 11개의 ‘모범스타일’ 제시
5) 클러스터
① 수업스펙트럼의 구조는 ‘모사’와 ‘창조’라는 두 가지 인간의 기본능력을 반영
② A-E : 기존의 지식이나 기술을 재생산하는 능력을 강조 => 모사
F-K :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내는 능력을 강조 => 창조
③ 스타일 A-E의 목적 : 기초기능의 습득, 절차와 모형의 암기, 문화적 전통의 유지
스타일 A-E의 수업활동 : 기존과 과거의 지식을 다루는 암기, 회상, 파악, 구분 등과 같은 인지적 활동을 주로 함 => 사실적 자료, 사건, 날짜, 이름, 계산절차, 규칙, 악기연주, 무용공연, 스포츠 등을 하기 위한 지식 등을 포함
④ 스타일 F와 G : 한 가지 정확한 개념의 ‘발견’을 북돋아주는 수업방법들
⑤ 스타일 H-K : ‘창의력’의 개발과 새로운 개념과 대안의 ‘발견’을 위한 방법들
⑥ 스타일 F-K : 학생으로
추천자료
적외선 분광광도법(IR)
상생의 철학
[사범/법학]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집단상담실기
자동차 금융업에서의 현대 캐피탈의 전략적 접근 - 오토리스 서미스 '클라스오토'를 중심으로
알바로 피에리(Alvaro Pierri)
사회적기본권 에대한 모든것
[유아교육]유아교육의 평가 (유아평가 및 프로그램의 평가)
학교 없는 사회 (이반 일리히)
Mutagen (돌연변이원, 변이원)
청소년 범죄의 요인과 대책,사회, 학교, 가정, 법 측면에서,청소년 범죄의 심각성
유아에게 문학이 필요한 이유를 서술하고 유아문학작품 1권을 골라 소개한 후 관련 독후 활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