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전라도][제주도][경주][전라도(전라남북도) 자연환경][제주도 자연환경][경주 자연환경]전라도(전라남북도)의 자연환경과 제주도의 자연환경 및 경주의 자연환경 분석(자연환경, 전라도, 제주도, 경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환경][전라도][제주도][경주][전라도(전라남북도) 자연환경][제주도 자연환경][경주 자연환경]전라도(전라남북도)의 자연환경과 제주도의 자연환경 및 경주의 자연환경 분석(자연환경, 전라도, 제주도, 경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전라도(전라남북도)의 자연환경
1. 전라남도의 자연환경
2. 광주와 영산강유역의 내륙지방
1) 광주
2) 담양
3) 나주
3. 남서해안지방
1) 목포
2) 해남
3) 진도
4. 섬진강유역과 남동임해지방
1) 순천
2) 여수
3) 여천
4) 동광양
5. 전라북도의 자연환경
6. 서부 평야 지방
1) 전주
2) 군산
3) 이리
4) 김제
5) 정주
6) 부안
7. 동부산간지방
1) 진안군
2) 무주군
3) 남원

Ⅲ. 제주도의 자연환경

Ⅳ. 경주의 자연환경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넘어오면 나오는 첫 번째 고을이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남원은 현재 상업, 서비스업이 탁월한 지방중심도시이다. 남원은 춘향전의 고장으로 이름이 높고, 광한루는 연중 관광객이 많다. 그러나 관광자원의 개발이 불충분하다. 운봉은 예로부터 목기가 유명하고 목장이 널리 알려졌다.
Ⅲ. 제주도의 자연환경
제주도는 여름철이 고온 다우할 뿐만 아니라 연평균 기온도 높고, 연평균 강수량도 많은 곳이다. 하지만 제주도에서 냇물이나 강물은 보기가 어렵다. 제주도는 검은 색을 띠는 다공질의 현무암이 많아서 비가 많이 온다고 해도 빗물은 곧바로 현무암의 많은 구멍을 타고 땅속으로 스며들기 때문이다. 지하로 스며든 빗물은 해발 고도가 높은 지하 수 백 m 아래를 흐르는 지하수가 되어 해안가에 가까이 다다르면 샘처럼 물이 솟아오르게 된다. 이러한 곳을 용천대라고 한다.
또 제주도에서 해발 고도가 200m만 되면 마을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 제주도의 마을은 용천대를 중심을 발달하기 때문이다. 제주도에서 용수 확보를 위한 다른 방법은 빗물을 받는 것이었다. 그래서 제주도에서의 갈대 묶음을 나무에 매달고 그 밑에 항아리를 놓아 빗물을 받는 갈대 항아리와 같은 특수한 생활도구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제주도에서는 벼농사가 이루어지는 논을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것은 비록 강수량은 많아도 논물을 담아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주도에서 토지는 오랫동안 밭농사 지역으로 이용되었다. 농업이 중심이었던 옛날에 인구 부양력이 가장 큰 벼를 재배할 수 없는 조건에서 제주도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갔을까? 섬 지방인 제주도 주민들은 당연히 바다로 눈을 돌렸을 것이다. 제주도는 바람이 많고, 돌이 많고, 여자가 많아 일찍부터 삼다도라고 하였다. 바람과 돌이 많다는 자연적인 조건은 남자들을 먼 바다로 내보냈으므로 바다에서 죽은 남자들도 많고, 그것이 여자를 많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홀로 남은 여자들은 자신들의 생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닷물 속으로 들어갔다. 이것이 제주도에서 해녀가 많아지게 된 이유이다.
Ⅳ. 경주의 자연환경
경주는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천년의 고도로서 동북쪽으로는 포항시, 남쪽으로는 울산광역시 북구, 북쪽으로는 영천시, 서북쪽으로는 청도군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경주시의 면적은 1,323.75㎢로서 전국 시군 단위 중에서 홍천군(1,817.85㎢), 인제군(1,621.20㎢), 안동시(1,519.18㎢), 평창군 (1,463.46㎢)에 이어 다섯 번째로 넓은 면적이다. 이 가운데 전체 면적의 2.6%인 34.66㎢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적보존지구는 전체 면적의 약 0.9%인 12.25㎢에 달한다.
대부분 경상분지지체(慶尙盆地地體)에 속하고, 일부지역(양북면 어일리범곡리, 천북면)은 포항분지지체에 속한다. 경상분지 지역은 경상계(系)의 퇴적암층을 뚫고 관입한 불국사관입암층(佛國寺貫入岩層)으로, 화강암과 반암이 주로 분포한다. 포항분지는 신생대 제3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화성암수성암역암사암응회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해안지역은 대체로 경사가 급하여 하천이 짧고, 남부지역인 외동에는 울산만으로 흘러가는 태화강의 지류인 동천이 남으로 흐르며, 단석산계 서편인 산내지역은 산악이 중첩하고 낙동강의 지류인 동창천이 흐르고 있다. 명활산(明活山, 245m)금오산(金鰲山, 495m)옥녀봉(玉女峰, 214m)선도산(仙挑山, 381m)금강산(金剛山, 143m) 등 구릉성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는 자연요새를 이루고 있다. 시가지의 서쪽에는 형산강의 상류인 인천(麟川)이 남쪽으로 흐르면서 서쪽 경계를 이루는 서천, 중심부를 관통하는 북천, 반월성(半月城)을 싸고도는 남천과 합류하여 형산강 본류가 형성되어 영일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기후는 서부지역이 한서의 차가 심한 편이고 동부지역은 동대산계와 동해의 영향으로 다소 따뜻한 편이며, 기온교차가 비교적 심한 내륙성 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연평균 기온은 12.2도, 강우량은 1,091mm 로 최근 몇 년 동안 가뭄을 겪고 있으며, 여름에는 태풍이 자주 내습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번웅 외 : 환경행정론, 대영문화사, 1997
최종범 외 : 자연환경과 국제법, 범양사 출판부, 1994
최병두 외 : 인간과 환경, 대구대학교출판부
한국자연지리연구회 : 자연환경과 인간, 한울, 2000
현창국 : 제주다워야 제주가 산다, 한울
환경부 :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지침, 1997
환경부 : 환경백서, 1997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