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한국음식(한국요리)의 특성
Ⅲ. 한국의 상차림
1. 반상차림
1) 3첩 반상
2) 5첩 반상
3) 7첩 반상
4) 9첩 반상
5) 12첩 반상(수라상)
2. 장국장 차림
3. 죽상 차림
4. 주안상 차림
5. 다과상 차림
Ⅳ. 강원도요리(강원도음식)
1. 오징어 불고기
2. 메밀막국수
3. 그 외의 요리
Ⅴ. 경기도요리(경기도음식)
1. 신선로
2. 설렁탕
3. 너비아니
4. 그 외의 요리
Ⅵ. 충청도요리(충청도음식)
1. 호박꿀단지
2. 굴냉국
3. 그 외의 요리
Ⅶ. 전라도요리(전라도음식)
1. 홍어어시욱
2. 전주비빔밥
3. 두루치기
4. 그 외의 요리
Ⅷ. 경상도요리(경상도음식)
1. 안동식혜와 건진국수
2. 재첩국
3. 그 외의 요리
Ⅸ. 한국의 궁중요리(궁중음식)
1. 고종이 드시던 냉면
2. 상추쌈과 계지차
3. 궁중의 장독대
4. 한말의 서양요리
Ⅹ. 한국의 서양요리(서양음식) 전래
참고문헌
Ⅱ. 한국음식(한국요리)의 특성
Ⅲ. 한국의 상차림
1. 반상차림
1) 3첩 반상
2) 5첩 반상
3) 7첩 반상
4) 9첩 반상
5) 12첩 반상(수라상)
2. 장국장 차림
3. 죽상 차림
4. 주안상 차림
5. 다과상 차림
Ⅳ. 강원도요리(강원도음식)
1. 오징어 불고기
2. 메밀막국수
3. 그 외의 요리
Ⅴ. 경기도요리(경기도음식)
1. 신선로
2. 설렁탕
3. 너비아니
4. 그 외의 요리
Ⅵ. 충청도요리(충청도음식)
1. 호박꿀단지
2. 굴냉국
3. 그 외의 요리
Ⅶ. 전라도요리(전라도음식)
1. 홍어어시욱
2. 전주비빔밥
3. 두루치기
4. 그 외의 요리
Ⅷ. 경상도요리(경상도음식)
1. 안동식혜와 건진국수
2. 재첩국
3. 그 외의 요리
Ⅸ. 한국의 궁중요리(궁중음식)
1. 고종이 드시던 냉면
2. 상추쌈과 계지차
3. 궁중의 장독대
4. 한말의 서양요리
Ⅹ. 한국의 서양요리(서양음식) 전래
참고문헌
본문내용
, 삼계탕, 따로국밥, 녹두빈대떡, 장어구이, 오골계백숙, 위어회, 황복탕, 송차, 백마강장어구이, 소곡주, 홍합죽, 해삼물회, 굴밥, 버섯탕, 버섯수제비, 송기떡, 구기자차, 구기자강정, 집장, 호박칼국수, 밀국낙지칼국수, 보쌈김치, 호박게국지, 꿩백숙, 무시루떡, 산자, 호박죽, 꿩육회, 밀국낙지탕, 게국지김치, 홍어시육, 굴전골, 마장, 두견주, 송순주, 밤묵, 박고지정과, 무밥, 장떡, 호도조림이 있다.
Ⅶ. 전라도요리(전라도음식)
1. 홍어어시욱
홍어의 껍질을 벗겨 꾸덕꾸덕하게 말린 다음 짚을 사이에 넣고 쪄서 양념장에 찍어 먹거나, 아예 양념장을 발라서 찌기도 한다. 말린 홍어를 불려서 쓰기도 한다.
2. 전주비빔밥
전라도 음식 가운데에서 가장 널리 전국에 퍼진 음식이다. 그릇에 밥과 이 지역의 풍부한 산물로 만든 찬을 골고루 얹어 낸다. 철에 따라 여러가지 나물을 얹고 청포묵과 육회도 넣는다. 밥을 지을 때 육수로 짓기도 하고, 콩나물 맑은탕을 빼놓지 않고 곁들인다.
3. 두루치기
두루치기는 여러가지 재료가 들어가는 호화로운 음식이다. 콩나물, 간, 처녑, 쇠고기, 부, 배추, 박고지, 버섯류를 고루 합하여 볶다가 국물을 붓고 끓인다. 여기에 밀가루를 풀어 약간 걸쭉하게 한 다음 잣, 은행, 실고추 따위를 고명으로 얹어 만든다.
4. 그 외의 요리
전라북도 대표음식에는 청포묵, 콩나물잡채, 오봉족편, 감장아찌, 계약, 질경이장아찌, 감식초, 진안유과, 민물고기어죽, 올챙이국수, 찹쌀엿, 산서산자, 나물무침, 쌀엿, 연산자반, 토란탕, 통닭찜, 더덕장아찌, 신선로, 닭죽, 과하주, 백일주, 동아정과, 참게장, 김부각, 추어탕, 유과, 찹쌀고추장, 굴비장아찌, 백합죽, 송순주, 홍어어시육, 장어구이, 머위탕, 쌀술이 있고 전라남도 대표음식에는 영계찜, 굴비장아찌, 동외정과, 육포, 삼해주, 도토리묵, 기정떡, 게된장박이, 말린 마늘쫑조림, 호박나물, 동동주, 꼬들배기김치, 쑥음료, 나주곰탕, 추어탕, 장어구이, 죽순회, 죽순정과, 창평쌀엿, 유과, 콩과자, 경옥고, 매실쥬스, 매실엑기스, 돌산갓김치, 전어밤젓, 김장아찌, 더덕장아찌, 진석화젓, 차잎튀김, 차밥, 가죽잎부각, 이서양탕, 쏘가리탕, 더덕구이, 팥영양갱, 구강태김치, 토하젖, 진양주, 어란, 고구마고추장, 고구마엿, 배술, 오리탕, 가물치곰탕, 깨묵장, 엽삭젓, 감잎부각, 감단자, 전복죽, 유자청, 유자전과, 유자화채, 홍주, 송어애탕국, 송어젓, 가지연포, 홍어찜이 있다.
Ⅷ. 경상도요리(경상도음식)
1. 안동식혜와 건진국수
안동 식혜는 보통 식혜와는 달리 찹쌀을 쪄서 엿기름물에 삭힐 때에 고춧가루를 헝겊에 싸서 넣어 붉게 물들이고, 무를 채썰거나 납작하게 썰어 넣는다. 안동 식혜는 정월에 차게 해서 먹으면 좋다. 건진 국수는 밀가루와 콩가루를 섞어서 반죽한 다음 홍두깨로 얇게 밀어 가늘게 채썰어 만든 국수를 끓는 물에 삶아 건져서 따로 준비해 식혀 놓은 멸치장국에 말아서 쇠고기 볶은 것과 지단을 웃기를 얹어낸 것이다.
2. 재첩국
낙동강 하류에서 많이 잡히는 재첩으로 끓인 맑은 국이다.
3. 그 외의 요리
경상북도 대표음식에는 추어탕, 대구육개장, 도토리차시루떡, 사과강정, 밥식혜(2), 교동법주, 집장(집지), 수란채, 사연지, 과하주, 추어두부, 삼계탕, 곰탕, 하향주, 떡보리, 호박잎죽, 순두부, 부편, 호박범벅, 마늘장아찌, 돔배기, 석감주, 식혜, 안동식혜, 하회약과, 약과, 잡과편, 무설기, 쑥설기, 미역쑥국, 잔유과, 점주, 닭백숙, 밥식혜(음료), 쑥부각, 산채비빔밥, 시금장, 곡유과, 대추초, 손국수, 콩나물휘집, 보리딩기장, 도라지정과, 인삼취나물, 계피떡, 석감주, 선산약주, 태평추, 인삼동동주, 쇠고기육회, 옥수수술, 대추고리, 매화쌀엿, 천초묵, 호박오가리엿이 있고 경상남도 대표음식에는 동래파전, 해물산적, 도토리묵, 아구찜, 쇠고기산적, 고동찜, 비빔밥, 고구마죽, 생선야채소오스, 호박선, 미더덕찜, 낚지볶음, 전복죽, 멸치젓, 어리굴젓, 콩나물미나리찜, 장떡, 말린고구마죽, 쑥콩국, 초교탕, 소바, 곶감화전, 각색송편, 쌀엿, 유과, 빈사, 현미식초, 수수강정, 북어식혜, 석이편, 고추장, 양파범벅, 꽃감네비빔밥, 은어조림, 방문주, 해삼채수란, 논고동회, 논고동국, 송이닭, 개떡장, 기장어묵, 재첩찜국, 추어탕, 곤달비장아찌, 곤달비무침, 쇠갈비구이, 가죽자반, 찹쌀부꾸미, 단감장아찌, 땅콩두부, 땅콩조림, 굴밥, 동타리국, 해물찜, (바다)메기찜, 멸치회, 숭어국찜, 돼지고기볶음, 양하장아찌, 곤달비김치, 엉겅퀴단술, 토란찜국, 돌나물물김치, 가리장, 감자장전, 오리영양죽, 가오리찜, 감단자, 전어밤젓, 은어튀김, 신선주, 차잎튀김, 더덕구이, 탕수이, 버섯밥, 호박편숙, 무왁자, 짚장, 조기식혜, 향조기찜, 무정과, 율란, 백편이 있다.
Ⅸ. 한국의 궁중요리(궁중음식)
1. 고종이 드시던 냉면
고종은 면을 특히 좋아하고 맵거나 짠 것을 못 진어(進御)하는 까닭에 고종이 즐긴 냉면의 꾸미는 가운데에 십(十)자로 편육을 얹고 나머지 빈 곳에는 배와 잣을 덮은 것이었다. 배는 칼로 썰지않고 수저로 얇게 저며 얹었는데 \'꾸미\'에 편육과 배, 잣 뿐이었다. 국물은 육수가 아니고 시원한 동치미 말국으로 배를 많이 넣어 담근 것이라 무척 달고 시원했다 한다. 배는 칼로 썰지 않고 수저로 얇게 저며 그릇에 담았다고 삼축당(三祝堂)이 전한다.
2. 상추쌈과 계지차
조선조 말기 한희순 상궁이 전해준 궁중의 상추쌈은 참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궁중 상추쌈의 찬은 고기와 생선, 그리고 된장, 고추장, 참기름 등 다양한 재료가 쓰인다. 된장찌개인 절미된장조치와 고추장찌개인 병어감정은 쌈을 싸서 먹기 좋게 되직하게 끓인다. 마른 찬으로 보리새우를 볶고, 쇠고기를 가늘게 채썰어 윤기나게 조린 장똑똑이 자반과 고추장에 다진 고기를 넣어 볶은 약고추장을 준비한다. 쌈을 싸 먹을 때는 보통은 상추잎의 안쪽에 밥을 얹어 먹지만 궁에서는 반대이다. 상추를 씻을 때 마지막에 참기름 한방울을 떨어뜨려서 헹구어 건져 놓고, 가는 실파와 쑥갓을 끊어 놓는다. 쌈을 쌀 때는 잎의
Ⅶ. 전라도요리(전라도음식)
1. 홍어어시욱
홍어의 껍질을 벗겨 꾸덕꾸덕하게 말린 다음 짚을 사이에 넣고 쪄서 양념장에 찍어 먹거나, 아예 양념장을 발라서 찌기도 한다. 말린 홍어를 불려서 쓰기도 한다.
2. 전주비빔밥
전라도 음식 가운데에서 가장 널리 전국에 퍼진 음식이다. 그릇에 밥과 이 지역의 풍부한 산물로 만든 찬을 골고루 얹어 낸다. 철에 따라 여러가지 나물을 얹고 청포묵과 육회도 넣는다. 밥을 지을 때 육수로 짓기도 하고, 콩나물 맑은탕을 빼놓지 않고 곁들인다.
3. 두루치기
두루치기는 여러가지 재료가 들어가는 호화로운 음식이다. 콩나물, 간, 처녑, 쇠고기, 부, 배추, 박고지, 버섯류를 고루 합하여 볶다가 국물을 붓고 끓인다. 여기에 밀가루를 풀어 약간 걸쭉하게 한 다음 잣, 은행, 실고추 따위를 고명으로 얹어 만든다.
4. 그 외의 요리
전라북도 대표음식에는 청포묵, 콩나물잡채, 오봉족편, 감장아찌, 계약, 질경이장아찌, 감식초, 진안유과, 민물고기어죽, 올챙이국수, 찹쌀엿, 산서산자, 나물무침, 쌀엿, 연산자반, 토란탕, 통닭찜, 더덕장아찌, 신선로, 닭죽, 과하주, 백일주, 동아정과, 참게장, 김부각, 추어탕, 유과, 찹쌀고추장, 굴비장아찌, 백합죽, 송순주, 홍어어시육, 장어구이, 머위탕, 쌀술이 있고 전라남도 대표음식에는 영계찜, 굴비장아찌, 동외정과, 육포, 삼해주, 도토리묵, 기정떡, 게된장박이, 말린 마늘쫑조림, 호박나물, 동동주, 꼬들배기김치, 쑥음료, 나주곰탕, 추어탕, 장어구이, 죽순회, 죽순정과, 창평쌀엿, 유과, 콩과자, 경옥고, 매실쥬스, 매실엑기스, 돌산갓김치, 전어밤젓, 김장아찌, 더덕장아찌, 진석화젓, 차잎튀김, 차밥, 가죽잎부각, 이서양탕, 쏘가리탕, 더덕구이, 팥영양갱, 구강태김치, 토하젖, 진양주, 어란, 고구마고추장, 고구마엿, 배술, 오리탕, 가물치곰탕, 깨묵장, 엽삭젓, 감잎부각, 감단자, 전복죽, 유자청, 유자전과, 유자화채, 홍주, 송어애탕국, 송어젓, 가지연포, 홍어찜이 있다.
Ⅷ. 경상도요리(경상도음식)
1. 안동식혜와 건진국수
안동 식혜는 보통 식혜와는 달리 찹쌀을 쪄서 엿기름물에 삭힐 때에 고춧가루를 헝겊에 싸서 넣어 붉게 물들이고, 무를 채썰거나 납작하게 썰어 넣는다. 안동 식혜는 정월에 차게 해서 먹으면 좋다. 건진 국수는 밀가루와 콩가루를 섞어서 반죽한 다음 홍두깨로 얇게 밀어 가늘게 채썰어 만든 국수를 끓는 물에 삶아 건져서 따로 준비해 식혀 놓은 멸치장국에 말아서 쇠고기 볶은 것과 지단을 웃기를 얹어낸 것이다.
2. 재첩국
낙동강 하류에서 많이 잡히는 재첩으로 끓인 맑은 국이다.
3. 그 외의 요리
경상북도 대표음식에는 추어탕, 대구육개장, 도토리차시루떡, 사과강정, 밥식혜(2), 교동법주, 집장(집지), 수란채, 사연지, 과하주, 추어두부, 삼계탕, 곰탕, 하향주, 떡보리, 호박잎죽, 순두부, 부편, 호박범벅, 마늘장아찌, 돔배기, 석감주, 식혜, 안동식혜, 하회약과, 약과, 잡과편, 무설기, 쑥설기, 미역쑥국, 잔유과, 점주, 닭백숙, 밥식혜(음료), 쑥부각, 산채비빔밥, 시금장, 곡유과, 대추초, 손국수, 콩나물휘집, 보리딩기장, 도라지정과, 인삼취나물, 계피떡, 석감주, 선산약주, 태평추, 인삼동동주, 쇠고기육회, 옥수수술, 대추고리, 매화쌀엿, 천초묵, 호박오가리엿이 있고 경상남도 대표음식에는 동래파전, 해물산적, 도토리묵, 아구찜, 쇠고기산적, 고동찜, 비빔밥, 고구마죽, 생선야채소오스, 호박선, 미더덕찜, 낚지볶음, 전복죽, 멸치젓, 어리굴젓, 콩나물미나리찜, 장떡, 말린고구마죽, 쑥콩국, 초교탕, 소바, 곶감화전, 각색송편, 쌀엿, 유과, 빈사, 현미식초, 수수강정, 북어식혜, 석이편, 고추장, 양파범벅, 꽃감네비빔밥, 은어조림, 방문주, 해삼채수란, 논고동회, 논고동국, 송이닭, 개떡장, 기장어묵, 재첩찜국, 추어탕, 곤달비장아찌, 곤달비무침, 쇠갈비구이, 가죽자반, 찹쌀부꾸미, 단감장아찌, 땅콩두부, 땅콩조림, 굴밥, 동타리국, 해물찜, (바다)메기찜, 멸치회, 숭어국찜, 돼지고기볶음, 양하장아찌, 곤달비김치, 엉겅퀴단술, 토란찜국, 돌나물물김치, 가리장, 감자장전, 오리영양죽, 가오리찜, 감단자, 전어밤젓, 은어튀김, 신선주, 차잎튀김, 더덕구이, 탕수이, 버섯밥, 호박편숙, 무왁자, 짚장, 조기식혜, 향조기찜, 무정과, 율란, 백편이 있다.
Ⅸ. 한국의 궁중요리(궁중음식)
1. 고종이 드시던 냉면
고종은 면을 특히 좋아하고 맵거나 짠 것을 못 진어(進御)하는 까닭에 고종이 즐긴 냉면의 꾸미는 가운데에 십(十)자로 편육을 얹고 나머지 빈 곳에는 배와 잣을 덮은 것이었다. 배는 칼로 썰지않고 수저로 얇게 저며 얹었는데 \'꾸미\'에 편육과 배, 잣 뿐이었다. 국물은 육수가 아니고 시원한 동치미 말국으로 배를 많이 넣어 담근 것이라 무척 달고 시원했다 한다. 배는 칼로 썰지 않고 수저로 얇게 저며 그릇에 담았다고 삼축당(三祝堂)이 전한다.
2. 상추쌈과 계지차
조선조 말기 한희순 상궁이 전해준 궁중의 상추쌈은 참으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궁중 상추쌈의 찬은 고기와 생선, 그리고 된장, 고추장, 참기름 등 다양한 재료가 쓰인다. 된장찌개인 절미된장조치와 고추장찌개인 병어감정은 쌈을 싸서 먹기 좋게 되직하게 끓인다. 마른 찬으로 보리새우를 볶고, 쇠고기를 가늘게 채썰어 윤기나게 조린 장똑똑이 자반과 고추장에 다진 고기를 넣어 볶은 약고추장을 준비한다. 쌈을 싸 먹을 때는 보통은 상추잎의 안쪽에 밥을 얹어 먹지만 궁에서는 반대이다. 상추를 씻을 때 마지막에 참기름 한방울을 떨어뜨려서 헹구어 건져 놓고, 가는 실파와 쑥갓을 끊어 놓는다. 쌈을 쌀 때는 잎의
추천자료
인간과 식품-사회변천에 관한 식생활 변화와 한국인의 음식 문화에 관한 분석
전통음식으로 바라본 한국의 문화
한국 중국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사회과학] 대학생 식생활 변화에 따른 전통 한국 음식점 활성화 방안
[한국의 전통문화]사회적 음식과 음식적 사회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다른나라의 음식문화비교(한국,중국,일본)
한국의 전통문화(음식, 차, 술, 간식)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한국 전통 음식과 그 발생 배경 분석
하동 개천대제, 비슬산 참꽃축제, 남도 음식큰잔치축제, 여주 도자기축제, 경주 한국술과떡축...
한국과 중국의 음식문화 비교
[음식문화사] 밀가루 음식의 이해 - 밀(형태, 재배사, 한국의 밀생산 역사), 밀 음식(국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