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음식과 그 발생 배경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 음식과 그 발생 배경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 전통 음식
2. 음식문화의 발전과 다양성
3. 하루 식사(끼니)
4. 우리의 主食 문화
5. 특별음식
6. 그밖의 음식
7. 외식문화 : 새로운 음식문화
8. 한국 전통 음식과 그 발생 배경 분석
9. 해방이후 식생활
10. 외식의 대중화 : 80년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야기.
4) 국 종류
- 뼈, 고기, 채소, 해초류 등을 적당한 크기로 썰어 물을 넣고 끓여 국물을 우려냄(국물과 건더기)
- 국, 찌개, 탕(몽고풍-설렁탕, 곰탕)
* 밥상은 반찬 가지수에 따라 3첩, 4첩 등으로 부르지만, 김치와 국은 반찬의 기본이므로 첩수에 계산하지 않음
5) 그 밖의 반찬 : 나물, 구이, 산적(炙), 전, 불고기, 밑 반찬(마른 반찬) 등
6) 숟가락과 젖가락의 문화
- 오늘날 세계적으로 맨손으로 음식을 먹는 인구 4할, 나이프와 포크로 먹는 인구 3할, 젖가락을 사용하는 인구 3할.
* 유렵에서 포크가 사용된 것은 비잔티움에서 10세기 경부터, 18세기 이후에 보편화 그 이전에는 손으로 식사.
- 젖가락과 숟가락을 쓰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 물기 많은 음식 때문인 듯(국 문화, 물만 밥, 국밥 등) - 정교한 손 기술을 발달시킴.
- 무녕왕릉에서 청동 숟가락과 젖가락 출토, 고려시대에 숟가락과 젖가락.
- 독상 문화 : 고구려 고분 벽화(무용총), 조선후기에 그려진 回婚禮圖 등에 나타남.
5. 특별음식
① 떡 : 명절 때나 기념일의 특식(인절미, 시루떡, 증편, 송편, 절편)
② 節食 : 떡국(설), 오곡밥(정월 대보름), 花煎(3월3일), 송편(추석), 팥죽(동지) 등
③ 강장음식(복날) : 보신탕, 삼계탕
④ 밀가루 음식 : 만두와 빵, 국수
6. 그밖의 음식
① 다과 : 숭늉, 유자차, 인삼차, 쌍화차, 한과
② 술 : 막걸리, 소주, 청주, 과일주/ 문배주, 안동소주, 경주법주/ 영광소주, 진양주(해남), 배로나인, 梨露酒(나주), 홍주(진도)
③ 외래 식품
- 원으로부터 : 소주, 만두, 곰탕 등.
- 조선후기 : 고추, 호박, 토마토, 옥수수, 낙화생, 완두, 동부, 감자, 고구마, 수박 등
- 서양 : 피자, 돈까스, 스파게티, 햄버거...
- 중국 : 짜장면, 짬봉, 탕수욕...
④ 구황식품 : 솔잎, 소나무 껍질, 느릅나무 겁질, 도토리, 칡뿌리, 쑥, 피/ 고구마, 감자, 옥수수, 토마토/ 라면
- 솔잎만 먹으면 변비 + 콩
7. 외식문화 : 새로운 음식문화
* 외식 : 상품으로 만든 음식과 서비스를 구매하여 소비하는 행위.
① 전근대의 외식 : 주막, 장터 노천 음식점(앙국밥, 비빔밥, 국수 등)
② 개화기 및 일제시기
- 일부 부유한 조선인, 일본인 고관, 중국인 무역가들.
- 밀실정치 : 태화관(3.1 독립선언서 낭독), 식도원(이승훈 등의 민립대학 설립 발기대회), 아서원(1925년 조선공산당 결성) --- cf.요정정치, 고급 룸사롱, 안가, 부산 복집사건 등
8. 한국 전통 음식과 그 발생 배경 분석
고흥지방에서 생산된 곡류나 어패류 채소 등으로 밥, 죽 또는 국을 조리하여 만든 음식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밥은 동양사람의 주식으로서 곡류를 주로 하여 만든 요리 중 가장 중요한 음식이다. 하루에 세 끼니씩 먹는데 한끼만 못 먹으면 죽는줄로 알 정도로 우리의 식생활에서 아주 중요하다. 또 밥은 영양의 공급원이다. 밥은 만든 재료에 따라 쌀밥, 보리밥, 피밥, 조밥, 수수밥, 콩밥, 팥밥, 잡곡밥 등으로 구분한다. 한편 각 지방에서 생산되는 곡식에 따라 밥의 종류가 달라진다.
쌀밥은 쌀로 지은 밥인데 쌀에는 멥쌀과 찹쌀이 있어 멥쌀로 지은 밥을 흰밥이라 하고 찹쌀로 지은 밥을 찰밥이라 한다. 찹쌀에는 멥쌀에 비하여 전분(澱粉)의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찰밥은 찰기가 많다. 지금보다 살기 어려워 배고품이 일상적일때 흰쌀밥에 고기국을 먹어봤으면 하는 소원이 한때 있었다. 지금은 쌀 자급율이 높아지고 경제소득이 늘어나면서 쌀밥에 대한 애착이 그리 높지 않다. 그러나 쌀은 우리의 주식이며 밥은 가장 좋은 영향의 공급원이다.
우리 고유의 간장, 된장은 물론, 식탁에 빼놓을 수 없는 김치류는 주산지답게 감칠맛이 있는 것이 특징이고 또 자랑이기도 하다.
특히 떡[餠]은 정취 있는 음식으로 깊은 전통을 지니고 있다. 식생법(食生法)은 인류의 발상과 함께 당연히 시작된 기본생활의 하나이고 한 민족의 식생활은 그 민족의 자연적 환경, 역사, 문화의 변천에 영향을 받으면서 독특한 기호와 음식의 조리방식에 따라 고유의 맛을 내는 것이다. 떡은 명절, 잔칫상은 물론 제수 상에도 오르며 이사할 경우 이웃에 떡을 나누어 먹으면서 일종의 신고식을 하였다. 지금은 쌀밥이나 떡이 예전만큼 국민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다. 밥이나 떡 대신에 편하고 다양하게 먹을 수 있는 대용식이 많이 개발된 것도 조그만 변화이다. 또 우리의 전통음식 대신에 외국의 음식이 들어와 우리의 식탁에 한 자리를 잡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우동이나 자장면, 잡채, 짬뽕, 울면, 탕수육 같은 중국음식이 사랑을 받으며 애용되고 있다. 중국음식은 대개 기름을 많이 쓰고 고기로는 돼지고기를 많이 사용한다. 우리 나라는 1920년대부터 가족들끼리 외식을 하거나 손님 접대용으로 중국요리는 우리 식생활의 중요한 일부를 점하게 되었다. 지금은 어디를 가나 중국음식이 생소하지 않게 되었으며 웬만한 가정이면 중국음식 한 두가지 정도는 손수 집에서 만들어 먹기까지에 이르렀다.
그러나 중국음식의 보급은 특수층에 국한된 것이었고 우리의 전통적인 식생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본군에도 중국음식점이 48개소가 있는데 이를 면별로 보면 고흥읍 21개소, 도양읍 12개소, 풍양면 1개소, 도덕면 2개소, 금산면 2개소, 도화면 1개소, 포두면 3개쇼, 봉래면 1개소, 점암면 1개소, 과역면 1개소 대서면 1개소 등이다.
중국 음식으로 호떡빵이 잇다. 이것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둥글고 넓적하게 만들어 그 속에 설탕이나 팥의 소를 넣어 번철에 구운 중국식 떡의 하나로 고병(嗜餠)이라고도 한다.
왜떡이라 불리는 일본 음식도 있다. 우리 나라 찰떡과 같이 만들어 속에 단팥이나 참깨로 소를 넣고 둥글게 만들어 전분의 고물을 묻쳐서 만든 일본의 전통적인 찹쌀떡의 하나이다. 추운 겨울밤에 여관이나 시장 등지를 돌아다니며 ´모찌 사려 찹쌀떡 사려´하고 외치며 팔기도 한 적이 있었다. 근래에는 제과점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수퍼마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