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남북한의 언어관
Ⅲ.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과 특징
1. 맞춤법의 차이
1) 자모 명칭과 배열법
2) 두음법칙
3) [ㅔ]로 소리나는 ꡐㅖꡑ
4) ꡐ이오, 아니오, -시오 ꡑ등
5) 어머 ꡐ-아/ -어, -았-/-었-ꡑ
6) 부사로 된 단어의 ꡐ어ꡑ
7) 사이시옷
2. 띄어쓰기의 비교
1) 띄어쓰기의 원칙
2) 의존 명사
3) 수사
4) 성명, 호나 자, 호칭어, 직명 등
5) 고유 명사
6) 전문 용어
7) 성구, 속담
Ⅳ. 남북한의 언어정책
1. 남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70) - 정책 형성기
2) 제 2기(1971~90) - 정책의 전개기
3) 제 3기(1991~현재) - 정책의 발전기
2. 북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63) - 언어정책의 형성기
2) 제 2기(1964~83) - 언어 정책 전개기
3) 제 3기(1984~94)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형성기
4) 제 4기(1997~현재)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전개기
Ⅴ. 남북한의 언어정책 이질화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Ⅱ. 남북한의 언어관
Ⅲ.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과 특징
1. 맞춤법의 차이
1) 자모 명칭과 배열법
2) 두음법칙
3) [ㅔ]로 소리나는 ꡐㅖꡑ
4) ꡐ이오, 아니오, -시오 ꡑ등
5) 어머 ꡐ-아/ -어, -았-/-었-ꡑ
6) 부사로 된 단어의 ꡐ어ꡑ
7) 사이시옷
2. 띄어쓰기의 비교
1) 띄어쓰기의 원칙
2) 의존 명사
3) 수사
4) 성명, 호나 자, 호칭어, 직명 등
5) 고유 명사
6) 전문 용어
7) 성구, 속담
Ⅳ. 남북한의 언어정책
1. 남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70) - 정책 형성기
2) 제 2기(1971~90) - 정책의 전개기
3) 제 3기(1991~현재) - 정책의 발전기
2. 북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63) - 언어정책의 형성기
2) 제 2기(1964~83) - 언어 정책 전개기
3) 제 3기(1984~94)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형성기
4) 제 4기(1997~현재)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전개기
Ⅴ. 남북한의 언어정책 이질화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의 비교
1) 띄어쓰기의 원칙
2) 의존 명사
3) 수사
4) 성명, 호나 자, 호칭어, 직명 등
5) 고유 명사
6) 전문 용어
7) 성구, 속담
Ⅳ. 남북한의 언어정책
1. 남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70) - 정책 형성기
2) 제 2기(1971~90) - 정책의 전개기
3) 제 3기(1991~현재) - 정책의 발전기
2. 북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63) - 언어정책의 형성기
2) 제 2기(1964~83) - 언어 정책 전개기
3) 제 3기(1984~94)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형성기
4) 제 4기(1997~현재)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전개기
Ⅴ. 남북한의 언어정책 이질화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Ⅰ. 서론
광복과 함께 국토가 분단이 되면서 남북은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 체제를 갖게 되었다. 그 결과로 이념과 단절은 민족어 이질화의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남은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북은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하여 각기 다른 세계관과 제도를 갖게 되면서 북은 유물론과 기능적 관점, 남은 이성주의적 관점의 언어관을 견지하게 되었다. 사회주의 건설과 혁명의 힘있는 무기라는 그들의 말대로 북한은 언어를 의사소통의 도구로 보았다. 이러한 언어관에 바탕을 두고 남과 북은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수립해 왔다. 북은 사회주의 종주국인 소련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그들의 언어이론과 언어관을 수용하고 그 바탕에서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필요한 신어를 양산하고 기존의 어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사회주의 이념을 빠르고도 광범위하게 전파시키고 동시에 그 체제를 굳건히 다지기 위해 새로운 세계관을 반영하는 사회주의 용어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미 1920년대부터 사회주의가 전파되어 사회주의 관련 용어들이 일본을 거쳐 차용되기 시작하였지만 광복 이후에는 종주국이자 동맹국인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이념과 관련된 직접차용어와 번역차용어가 수입되었다. 한편, 남은 민족어의 보존과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외국어나 비표준적인 말을 순화하여 보급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미국을 비롯한 서구 자본주의 국가의 영향으로 영어 중심의 외국어가 대량으로 들어와 쓰이게 되었다. 남북에서 흔히 쓰이는 마이너스/미누스, 트랙터/뜨락또르, 그?그루빠, 매트리스/마다라스, 캠페인/깜빠니야와 같은 외래어가 그것을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이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 구도로 재편된 세계 질서의 흐름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어서 우리뿐만 아니라 전후 독일의 경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한편, 해방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발전으로 이와 관련된 새 용어가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남과 북은 독자적으로 신어를 만들어 씀으로써 언어적 차이는 더욱 벌어지게 되었다. 또 신어를 생산하는 방식도 달라서 남은 한자에 많이 의존하고 북은 순수고유어에 의존하였다. 다만, 북도 정치·군사·과학·기술 용어나 김일성 부자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는 말 등은 한자 조어가 많다. 때문에 남한에서는 북한 사람들이 알 수 없는 한자어 가전품(家電品), 교도소(矯導所), 교통체증(交通滯症), 부도(不渡), 예식장(禮式場), 운전기사(運轉技士), 영안실(靈安室), 파출부(派出婦), 학점(學點)과 같은 한자어가 생겨났고, 반대로 북한에서는 남한 주민이 알 수 없는 가두녀성(街頭女性), 보양소(保養所), 점적대(點滴臺), 망원초(望遠哨), 적구(敵區), 타승(打勝), 합영법(合營法)과 같은 한자어가 생겨났다. 또 남북한에서 다 함께 쓰이는 한자어지만 그 의미가 약간 달라진 예도 있다. 군중(群衆), 긴장(緊張), 담보(擔保), 사업(事業), 장악(掌握)과 같은 말이 그것이다.
Ⅱ. 남북한의 언어관
남북한의 사전들에서 언어에 관한 풀이를 인용해 보면, 언어란 사람이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나 글로 나타내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본질적 뜻바탕에는 서로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언어를 인식하는 면과 기능면에서 다름을 나타낸다.
남북의 사전에 나타난 언어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남한 : 사람이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나 글자로 나타내는 수단이다.
○ 북한
① 사람들이 서로 교제하며, 사상을 표현하며, 호상 리해(이해)를 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단 말이다. <조선말 사전>(1962년)
② 사람들이 사상을 나타내며 서로 교제하는 데 쓰이는 중요한 수단이다.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된다. 언어는 혁명과 건설의 힘있는 무기로서 사람들의 자주 적이며 창조적인 생활에 힘있게 복무한다. <현대조선말 사전>, 제2판(1981년)
③ 언어는 민족문제와 관련되고 국가적 문제와 관련 되여(되어) 있으며 사람들의 모든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회적 현상의 하나이고,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된다. <조선말대사전>(1992년)
그런데, 북한에서는 이와 아울러 언어의 기능적인 면과 특성에 대해 무척 강조하고 있다. 언어를 과학 발전과 혁명의 무기로, 민족과 문화의 표징(본질적 특징)으로 생각하는 점 등이 그것이다. 북한의 <현조>와 <조대> 사전의 언어 풀이에서 언어는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된다라는 내용은 김일성 저작집에서 인용한 풀이이다. 특히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혁명과 건설의 무기로 다루는 언어란 공산주의 사회 건설의 강력한 도구의 하나로 통제되는 언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김정일 시대에도 이러한 주체사상 언어관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Ⅲ.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과 특징
1. 맞춤법의 차이
1) 자모 명칭과 배열법
남한에서는 한글 맞춤법에 의거하여 자음의 명칭을 - 기역, - 니은, - 디귿, - 리을, - 미음, - 비읍, - 시옷... 과 같이 부르지만 북한에서는 자음 글자의 이름에서 뒤 음정의 모음을 ㅡ로 통일하여 - 기윽, - 니은, - 디
1) 띄어쓰기의 원칙
2) 의존 명사
3) 수사
4) 성명, 호나 자, 호칭어, 직명 등
5) 고유 명사
6) 전문 용어
7) 성구, 속담
Ⅳ. 남북한의 언어정책
1. 남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70) - 정책 형성기
2) 제 2기(1971~90) - 정책의 전개기
3) 제 3기(1991~현재) - 정책의 발전기
2. 북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63) - 언어정책의 형성기
2) 제 2기(1964~83) - 언어 정책 전개기
3) 제 3기(1984~94)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형성기
4) 제 4기(1997~현재) - 김정일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정책 전개기
Ⅴ. 남북한의 언어정책 이질화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Ⅰ. 서론
광복과 함께 국토가 분단이 되면서 남북은 서로 다른 이념과 정치 체제를 갖게 되었다. 그 결과로 이념과 단절은 민족어 이질화의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남은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북은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하여 각기 다른 세계관과 제도를 갖게 되면서 북은 유물론과 기능적 관점, 남은 이성주의적 관점의 언어관을 견지하게 되었다. 사회주의 건설과 혁명의 힘있는 무기라는 그들의 말대로 북한은 언어를 의사소통의 도구로 보았다. 이러한 언어관에 바탕을 두고 남과 북은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수립해 왔다. 북은 사회주의 종주국인 소련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그들의 언어이론과 언어관을 수용하고 그 바탕에서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필요한 신어를 양산하고 기존의 어휘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사회주의 이념을 빠르고도 광범위하게 전파시키고 동시에 그 체제를 굳건히 다지기 위해 새로운 세계관을 반영하는 사회주의 용어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미 1920년대부터 사회주의가 전파되어 사회주의 관련 용어들이 일본을 거쳐 차용되기 시작하였지만 광복 이후에는 종주국이자 동맹국인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이념과 관련된 직접차용어와 번역차용어가 수입되었다. 한편, 남은 민족어의 보존과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외국어나 비표준적인 말을 순화하여 보급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미국을 비롯한 서구 자본주의 국가의 영향으로 영어 중심의 외국어가 대량으로 들어와 쓰이게 되었다. 남북에서 흔히 쓰이는 마이너스/미누스, 트랙터/뜨락또르, 그?그루빠, 매트리스/마다라스, 캠페인/깜빠니야와 같은 외래어가 그것을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이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 냉전 구도로 재편된 세계 질서의 흐름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어서 우리뿐만 아니라 전후 독일의 경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한편, 해방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발전으로 이와 관련된 새 용어가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남과 북은 독자적으로 신어를 만들어 씀으로써 언어적 차이는 더욱 벌어지게 되었다. 또 신어를 생산하는 방식도 달라서 남은 한자에 많이 의존하고 북은 순수고유어에 의존하였다. 다만, 북도 정치·군사·과학·기술 용어나 김일성 부자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는 말 등은 한자 조어가 많다. 때문에 남한에서는 북한 사람들이 알 수 없는 한자어 가전품(家電品), 교도소(矯導所), 교통체증(交通滯症), 부도(不渡), 예식장(禮式場), 운전기사(運轉技士), 영안실(靈安室), 파출부(派出婦), 학점(學點)과 같은 한자어가 생겨났고, 반대로 북한에서는 남한 주민이 알 수 없는 가두녀성(街頭女性), 보양소(保養所), 점적대(點滴臺), 망원초(望遠哨), 적구(敵區), 타승(打勝), 합영법(合營法)과 같은 한자어가 생겨났다. 또 남북한에서 다 함께 쓰이는 한자어지만 그 의미가 약간 달라진 예도 있다. 군중(群衆), 긴장(緊張), 담보(擔保), 사업(事業), 장악(掌握)과 같은 말이 그것이다.
Ⅱ. 남북한의 언어관
남북한의 사전들에서 언어에 관한 풀이를 인용해 보면, 언어란 사람이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나 글로 나타내는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본질적 뜻바탕에는 서로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언어를 인식하는 면과 기능면에서 다름을 나타낸다.
남북의 사전에 나타난 언어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남한 : 사람이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나 글자로 나타내는 수단이다.
○ 북한
① 사람들이 서로 교제하며, 사상을 표현하며, 호상 리해(이해)를 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단 말이다. <조선말 사전>(1962년)
② 사람들이 사상을 나타내며 서로 교제하는 데 쓰이는 중요한 수단이다.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된다. 언어는 혁명과 건설의 힘있는 무기로서 사람들의 자주 적이며 창조적인 생활에 힘있게 복무한다. <현대조선말 사전>, 제2판(1981년)
③ 언어는 민족문제와 관련되고 국가적 문제와 관련 되여(되어) 있으며 사람들의 모든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회적 현상의 하나이고,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된다. <조선말대사전>(1992년)
그런데, 북한에서는 이와 아울러 언어의 기능적인 면과 특성에 대해 무척 강조하고 있다. 언어를 과학 발전과 혁명의 무기로, 민족과 문화의 표징(본질적 특징)으로 생각하는 점 등이 그것이다. 북한의 <현조>와 <조대> 사전의 언어 풀이에서 언어는 민족을 이루는 공통성의 하나이며, 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힘있는 무기이며, 문화의 민족적 형식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징으로 된다라는 내용은 김일성 저작집에서 인용한 풀이이다. 특히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혁명과 건설의 무기로 다루는 언어란 공산주의 사회 건설의 강력한 도구의 하나로 통제되는 언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김정일 시대에도 이러한 주체사상 언어관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Ⅲ. 남북한 언어의 차이점과 특징
1. 맞춤법의 차이
1) 자모 명칭과 배열법
남한에서는 한글 맞춤법에 의거하여 자음의 명칭을 - 기역, - 니은, - 디귿, - 리을, - 미음, - 비읍, - 시옷... 과 같이 부르지만 북한에서는 자음 글자의 이름에서 뒤 음정의 모음을 ㅡ로 통일하여 - 기윽, - 니은, - 디
추천자료
남북한 관련 영작
남북한의향가
북한의 특구 육성과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관한 고찰
남북한을 아우를 수 있는 통일 철학 및 가치체계 탐색
종교의 개념,영역, 종교의 본질, 종교적 상징,상징물, 광복 후 종교상황, 종교의 필요성과 무...
[홍익인간사상][통일교육]신홍익인간의 의미와 통일교육적 의의, 홍익인간사상과 남북한 교육...
남북한을 아우르는 통일철학의 모색
[한민족공동경제권][공동경제권][남북한][남한과 북한][남북관계][남북통일]한민족 공동경제...
[지역갈등][갈등역사][갈등양상][지역주의]지역갈등과 갈등역사, 지역갈등과 갈등양상, 지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종류, 전통놀이(민속놀이)와 세시풍속, 전...
[북한의이해] 북한의 식생활에 대한 모든 것 - 북한의 음식문화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지역...
[유아교육사와 보육] 한국 유아교육과 북한의 유아교육의 이해 (남북한 유아교육) - 유아교육...
2016년 2학기 통일인사이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동서독 통일과 남북한 통일)
소개글